• Title/Summary/Keyword: 시 치료

Search Result 5,58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umor Motion Tracking during Radiation Treatment using Image Registration and Tumor Matching between Planning 4D MDCT and Treatment 4D CBCT (치료계획용 4D MDCT와 치료 시 획득한 4D CBCT간 영상정합 및 종양 매칭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 시 종양 움직임 추적)

  • Jung, Julip;Hong, Helen
    • Journal of KIISE
    • /
    • v.43 no.3
    • /
    • pp.353-361
    • /
    • 2016
  • During image-guided radiation treatment of lung cancer patients, it is necessary to track the tumor motion because it can change during treatment as a consequence of respiratory motion and cardiac mo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tracking the motion of the lung tumor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from planning 4D MDCT and treatment 4D CBCT images. First, to effectively track the tumor motion during treatment, the global motion of the tumor is estimated based on a tumor-specific motion model obtained from planning 4D MDCT images. Secon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tumor motion tracking, the local motion of the tumor is estimated based on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the tumor from 4D CBCT imag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estimated the tracking results of proposed method using digital phantom. The results show that the tumor localization error of local motion estimation is reduced by 45% as compared with that of global motion estimatio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 of the Sacro Occipital Technique Blocking with Acupuncture Treatment (요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침구 치료 및 Sacro Occipital Technique Blocking 기법 병행 시에 환자 호전도에 관한 고찰)

  • Song, Soo-Cheol;Jung, Da-Un;Yeo, Kyeong-Chan;Park, Hoi-Jin;Kim, Eun-Geol;Moon, Sung-Il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27-40
    • /
    • 2008
  • 목적 : 요통 환자에서 Sacro Occipital Technique(SOT)의 블로킹 기법을 침구 치료와 동시에 사용했을 때 Oswestry 장애 지수와 VAS의 변화 및 호전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요통으로 내원한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SOT 기법을 통해 하위 세 분류로 나누고 이에 따라 SOT 기법대로 침구 치료 시 블로킹 가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처음 방문 시에는 치료 전에 설문지를, 그 이후로는 치료 후에 설문지를 기입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단독 침 치료군에 비해서 Category II와 Category III는 초진과 2차 방문 사이에 효과가 있었다. Category II는 초진과 3차 방문 사이에서 유의성이 더 있었으나 Category III는 유의성이 없었다. Category I은 단독 침 치료군에 비해서 효과가 없었다. VAS로 측정한 경우에는 SOT군 치료군 어느 군에서도 단독 침 치료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결론 : 요통에 침구치료를 겸한 SOT 블로킹 치료는 선택적으로 효과를 보이며 그 가운데 Category II로 진단된 요통환자에게서 높은 효과를 보인다.

  • PDF

두경부암의 6MV 광자선 치료 시 표면선량 증가를 위한 Spoiler의 유용성 평가

  • 이강혁;김원택;이화중;김대영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14 no.1
    • /
    • pp.41-47
    • /
    • 2002
  • 1.목적 두경부암(head and neck Ca)과 쇄골상부(Supraclavicular)에 6MV 광자선으로 치료 시 치료부위(Target volume)가 피부에서 대략 $1^{\sim}2mm$정도 깊이에 위치할 경우, 6MV 광자선의 선량분포는 표면선량이 낮아서 치료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Bolus와 같이 사용하지만 Skin Sparing(피부보호)효과의 손실로 피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의 보호와 치료 시 표면선량의 증가를 위해 Spoiler(산란판)를 제작하여 측정 후 그 특성을 이해하고 선량의 분포를 통하여 Bolus와 비교한 후에 Spoiler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2.방법 Siemens사 선형가속기(PRIMUS)의 6MV 광자선을 사용하여 Spoiler의 사용여부 및 Spoiler의 사용 시에는 조사면의 크기를 $5{\times}5,\;7{\times}7,\;10{\times}10,\;15{\times}15,\;20{\times}20cm^2$로 하고 Spoiler와 표면과의 거리는 6, 10, 15cm로 바꾸어 가면서 물팬톰(PTW. 독일)을 이용해 깊이와 측방에 따른 선량분포를 Markus 전리함(PTW. 독일)으로 측정하였으며 전리함의 방수를 위해 씌어진 방수 캡 때문에 표면선량을 별도의 고형 팬톰으로 측정하였다. 표면의 측정선량은 전리함의 측면 벽 등에 의한 선량 측정치의 증가 현상으로 과 반응을 보였으며 이를 교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데이터를 치료계획 시스템(Pinnacle 6.0m)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3.결과 Spoiler의 사용 시 3cm깊이 측정선량 백분율과 Spoiler를 사용하지 않은 해당 치료 조사면의 3cm깊이 선량의 백분율에 일치하도록 하여 가상의 치료 깊이인 2mm에서 측정값을 비교하여 본 결과 조사면 $5{\times}5,\;10{\times}10,\;20{\times}20cm^2$에서 OPEN시 62, 64, $70\%$, Bolus는 97, 97, $99\%$로 Spoiler의 사용 시 표면과의 거리가 6cm에서 82, 98, $103\%$, 10cm에는 72, 89, $101\%$, 15m에 65, 79, $96\%$로 나타났으며 표면에서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본 결과 OPEN시 11, 17, $27\%$, Bolus는 84, 84, $86\%$, Spoiler의 사용 시 6cm에서 40, 71, $93\%$, 10cm에는 25, 50, $81\%$, 15cm에 18, 36, $67\%$를 나타내었다. 또한 3m깊이에서의 측방 선량분포에서 Spoiler의 거리변화(6, 10cm)는 심부선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실험측정치를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선량분포를 확인한 결과 Spoiler를 사용하는 경우 OPEN에 비해 선량분포 영역을 표면으로 끌어 올릴 수 있으며 Bolus 보다 피부 보호효과는 어느 정도 유지가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4.결론 이와 같이 Spoiler는 Bolus와 비교하여 6MV 광자선의 build up 영역을 표면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Skin Sparing(피부보호)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Spoiler의 사용이 가능한 조건으로는 조사면이 $5{\times}5cm^2$에서 Spoiler와 표면과의 거리가 6cm일 때, $7{\times}7cm^2$에서 6cm, 10cm였고 $10{\times}10cm^2$는 10cm, 15cm로, $15{\times}15cm^2$는 15cm의 간격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20{\times}20cm^2$의 조사면, Spoiler가 6cm 간격 인 경우 Bolus를 사용한 것 보다 더욱 높은 표면선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poiler와 표면간의 거리를 다르게 함으로써 깊이에 따라 선량분포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표면선량의 증가와 피부의 보호를 위해 환자의 피부 두께, 실제 치료 부위의 깊이 등을 고려한다면 Spoiler를 사용하는 것이 bolus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DEPENDENT JAW를 이용한 인접한 HALF BEAM 조사야 경계에서 조작방법과 조작자에 따른 선량오차의 경향

  • 서정민;박용철;주상규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13 no.1
    • /
    • pp.126-129
    • /
    • 2001
  • I. 목적 : Half beam을 이용하여 인접한 조사면 치료시, 경계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Jaw Position에 의한 기하학적 오차는 정확한 선량전달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본 저자는 QA용 필름을 이용하여 조사면 setting 방법과 조작자간의 오차를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II.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은 6MV선(CL2100C, Varian, USA)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폴리스틸렌팬톰($25{\times}25cm2$)을 SSD 100 cm으로 고정한 후, 측정용 필름(X-omat V2, Kodak, USA)을 5 cm 깊이에 위치 시켜 조사면의 중심에서 경계를 이루는 비대칭 조사면 ($0/7.5{\times}15,7.5/0{\times}15 cm$)을 쌍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필름은 자동현상기를 이용하여 현상한 후 농도계(Densitometer, Multidata, USA)를 이용하여 중심축상에서의 농도분포를 측정하여 인접한 조사면에서의 오차를 분석하였다. 조작방법과 조작자간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5명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auto및 manual set-up을 실시하였고 각 방법의 평균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5회 반복하였다. III. 결과 : 필름 농도곡선을 이용하여 두 조사면이 만나는 경계에서의 오차를 분석한 결과, remote console set-up의 경우 주변 조사면에 비해 $-0.16{\pm}3.44\%$, pendant방식에서는 $+5.04{\pm}4.37\%$로 나타났고, 조작자간의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IV. 결론 : 비대칭 조사면을 이용한 근접 조사면의 치료시 pendant 방식보다 remote console 방식에서 오차가 적 게 나타나므로 Auto set-up 기능의 이용은 치료시에 조사면 경계에서의 선량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anual 방식으로 set-up 시 오차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치료시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and Non-coplanar Fixed-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for Irregular Target adjacent to Organ At Risk (손상위험장기에 인접한 불규칙한 모양의 타겟 치료 시, 용적변조회전 방사선치료와 비동일평면상의 빔을 이용한 세기변조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평가 및 비교)

  • Kim, Kyung Ah;Na, Kyung Soo;Seo, Seok Jin;Lee, Je Hee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29 no.1
    • /
    • pp.57-6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VMAT) with fixed-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 using non-coplanar beam when the shape of target is irregular and the location is adjacent to organ at risk(OAR).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6 patients who had radiation therapy for whole scalp(2 patients), partial scalp(2 patients), and whole ventricle(2 patients) by True Beam STX(Varian Medical Systems, USA). VMAT plans consisted of coplanar or non-coplanar arcs which can minimize the volume of OAR included in beamlets. All fixed-field IMRT plans consisted of non-coplanar beams using more than 2 angles of Couch. Results: The VMAT and IMRT plan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maximum dose of both lens, both optic nerves, optic chiasm, and brain stem and the mean dose of both eyeballs and hippocampus. VMAT plans showed higher dose than ncIMRT plans at more than 6 of all OARs in every patient, and the ratio was from 1.1 times to 8.2 times. In case of total scalp and partial scalp, the volume of brain which received more than 20 Gy in the VMAT plans was 2 times larger than the volume in the ncIMRT plans. In case of whole ventric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arget coverage was satisfied in both plans($PTV_{100%}=95%$). The maximum dose in target volume and required monitor unit(MU) of ncIMRT were higher than them of VMAT plans. Conclusion: Even though ncIMRT is less efficient than VMAT with regard to required MU and treatment time, the dose to OARs is much lower than VMAT and PTV Coverage is similar with VMAT. If the shape of target is irregular and location is adjacent to OAR, comparison VMAT plan with ncIMRT plan deserves to be considered.

  • PDF

Comparison Analysis of MR Images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in Brachytherapy (근접치료 시 외부 방사선 치료 전후의 MR 영상 비교분석)

  • Choi, Eun-Hye;Baek, Chung-Seok;Lee, Sung-Yong;Byun, Young-Sik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23 no.1
    • /
    • pp.7-12
    • /
    • 2011
  • Purpose: To analyze availability of MR images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in brachytherapy, we will acquire MR images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d compare the change of direction of uterine cavity and analyze the accuracy of applicator inser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we compared MR images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ncer only with radical purpose treatment. MR images which was acquire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has done with inserted status of CT/MR applicator. Results: As a consequence, the tumor was markedly reduce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The change of anteflexion of uterus turned into retroflexion of the uterine cavity was 17.1%. The case of wrong insertion of tandem include direction or length was 14.3%. Conclusion: According to MR images taken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we recognized not only reduced the tumor volume but the marked change of exact direction or length of the uterine cavity. So the confirmation of accurate insertion based on MR images before brachytherapy could be very helpful for optimal brachytherapy treatment planning with reduced applicator insertion errors.

  • PDF

3차원 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영상증강을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이상규;이석;김주호;백종걸;조정희;신동봉;박재일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14 no.1
    • /
    • pp.15-22
    • /
    • 2002
  • 1. 목적 : 방사선종양학과에서 3차원 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촬영 시 조영제 주입율에 따른 CT 값(hounsfield unit, H.U)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영상증강효과 및 방사선치료계획을 위한 기초 프로토콜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대상 및 방법: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3차원 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상복부(폐암)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영제 양(130mL)은 일정하게 고정하였고, 조영제주입율을 1.2, 1.5, 2.0 mL/sec로 변화시켜가며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영상에 적합한 조영제주입율(contrast flow rate)과 지연시간(delay time)을 도출하였고, CT 값을 측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관심부위는 폐동맥과 폐정맥으로 하였다. 그리고, 환자 기본정보, 조영제주입율, H.U 등 영상증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기초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3. 결과 : 폐암환자의 전산화단층촬영영상 획득 시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에 적합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조건중 조영제주입율은 1.5 mL/sec 이었고, 지연시간은 $60{\sim}70$초이었다. 통계처리를 수행한 결과 환자의 기본정보 및 조영제주입율 등이 영상증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작성한 기초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시 정확한 종양 및 정상조직 설정이 용이하게 되어 방사선치료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4. 결론 : 방사선종양학과에서 3차원 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촬영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영상획득 프로토콜을 도출하였고, 향후 더 많은 임상경험과 정량적 평가가 수반된다면 임상에 적극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Clinical Effect of Avocado/Soybean Unsaponifiables on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치료에서 Avocado/Soybean Unsaponifiables의 효용성)

  • Kim, Hee-Jin;Park, June-Sang;Ko, Myung-Yun;Ahn, Yong-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1 no.2
    • /
    • pp.185-197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 of a daily dose of 300 mg of ASU taken for more than 3 months on the subjects diagnosed as osteoarthrit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by RDC/TMD. Total 68 outpatients(15-54y) of female except menopause in Orofacial Pain Clinics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ASU group(n=36) or a placebo group(n=32). The pain, noise and limited mouth opening(LOM) were evaluated by numerical analogue scale(NAS, range 0-10) and maximum comfortable opening(MCO) were measured by milimeter scale. The difference of simple uptake rate(SUR) on bone scan, hot spot(HS) on coronal SPECT, condylar bony changes on CT between the ASU and placebo group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objective effec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the NAS of pain, noise, LOM and MCO before treatment and 3, 6 and 9 months after trea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SU and placebo groups. 2. Comparison of the NAS of pain, noise, LOM and MCO before treatment and 3, 6 and 9 months after trea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SU and placebo groups without splint treatment, but showed more increased MCO in the ASU group than the placebo group with splint treatment at 6, 9 months after treatment. 3. Comparison of the NAS of pain before treatment and 3, 6 and 9 months after treatment that the NAS of pain at first visit divided into two groups(above or below 6) showed more decreased the NAS of pain in the ASU group than the placebo group that the NAS of pain at first visit was above 6. 4. Comparison of the NAS of pain, noise, LOM and MCO during 6 months period showed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within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s. 5. The simple uptake ratio(SUR) on bone scan and hot spot(HS) on coronal SPECT showed more increased SUR and HS in affected side than non-affected side of the ASU and placebo groups. 6. Comparing of condylar bony changes, osseous remodeling were observed highest, osteophyte lowest in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of the two groups. After treatment, comparison of condylar bony changes were observed more decreased erosive features in the ASU group than the placebo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