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Relation of the Sacro Occipital Technique Blocking with Acupuncture Treatment

요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침구 치료 및 Sacro Occipital Technique Blocking 기법 병행 시에 환자 호전도에 관한 고찰

  • Song, Soo-Cheol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National Medical Center) ;
  • Jung, Da-U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National Medical Center) ;
  • Yeo, Kyeong-Cha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National Medical Center) ;
  • Park, Hoi-Ji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Dong Seo Oriental Hospital) ;
  • Kim, Eun-Geol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Moon, Sung-Il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National Medical Center)
  • 송수철 (국립의료원 침구과) ;
  • 정다운 (국립의료원 침구과) ;
  • 여경찬 (국립의료원 침구과) ;
  • 박회진 (동서한방병원 침구과) ;
  • 김은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경주한방병원 침구과) ;
  • 문성일 (국립의료원 침구과)
  • Published : 2008.04.20

Abstract

목적 : 요통 환자에서 Sacro Occipital Technique(SOT)의 블로킹 기법을 침구 치료와 동시에 사용했을 때 Oswestry 장애 지수와 VAS의 변화 및 호전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요통으로 내원한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SOT 기법을 통해 하위 세 분류로 나누고 이에 따라 SOT 기법대로 침구 치료 시 블로킹 가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처음 방문 시에는 치료 전에 설문지를, 그 이후로는 치료 후에 설문지를 기입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단독 침 치료군에 비해서 Category II와 Category III는 초진과 2차 방문 사이에 효과가 있었다. Category II는 초진과 3차 방문 사이에서 유의성이 더 있었으나 Category III는 유의성이 없었다. Category I은 단독 침 치료군에 비해서 효과가 없었다. VAS로 측정한 경우에는 SOT군 치료군 어느 군에서도 단독 침 치료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결론 : 요통에 침구치료를 겸한 SOT 블로킹 치료는 선택적으로 효과를 보이며 그 가운데 Category II로 진단된 요통환자에게서 높은 효과를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