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화호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1초

시화호 산업지역 강우유출수 내 중금속 유출특성 및 위해성 평가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Stormwater Runoffs from Industrial Region Discharged into Shihwa Lake)

  • 나공태;김종근;이정무;이승용;김은수;김경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29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연안오염총량관리가 시행되고 있는 시화호 유역에서 비점오염 형태로 유입되는 중금속 유출 특성, 오염도 및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월 스마트 허브(산업단지)에 위치한 강우유출수 내 용존성과 입자성 중금속(Co, Ni, Cu, Zn, Cd 및 Pb)을 조사하였다. 용존성 Co와 Ni은 강우초반에 농도가 높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머지 용존성 중금속과 입자성 중금속은 강우량 증가에 따라 농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중금속 중 입자성 중금속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은 Pb이 97.2%로 가장 높고 Cu>Cd>Co>Zn>Ni순이었으며, 입자-용존 분배계수($K_d$) 결과는 강우유출수 내 존재하는 Pb는 다른 중금속에 비해 빠르게 입자형태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1일의 강우 이벤트 동안 2개의 토구를 통해 유출되는 총 중금속의 유출량은 Co 2.21 kg, Ni 30.5 kg, Cu 278.3 kg, Zn 398.3 kg, Cd 0.39 kg 및 Pb 40.0 kg로 나타났다. 연안오염총량관리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시화호의 유역면적, 연간 강우량 등을 고려할 때 막대한 양의 중금속이 비점오염의 형태로 시화호로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강우유출수 내 용존성 Ni, Cu 및 Zn의 평균농도는 급성 독성을 나타내는 수질기준(급성 단기기준)를 초과하고 있으며, 입자성 중금속 역시 모든 원소가 배경농도에 비해 농축도(오염도)가 매우 높고, 국내 퇴적물 관리기준(PEL)을 큰 폭으로 초과하고 있어, 주변 해역 환경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갯벌의 중금속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Tidal Flat Sediments in the Saemankeum Area)

  • 김종구;유선재;조은일;안욱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1
    • /
    • 2003
  • 새만금 간척사업이 진행중인 만경, 동진강 하구의 조간대 갯벌에 대한 중금속 분포 및 거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1994년 관측자료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시화호 퇴적물보다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었다. 퇴적물의 중금속 농도는 시화호 보다 Cu 1/4배, Zn 1/3배, Cr 1/2배 이하의 낮은 값이었다. 농축계수는 Pb와 Zn을 제외하고는 1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시화호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중금속 과잉량에서는 Cu, Cr, Fe, Mn은 부족하였으며, Pb와 Zn은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과 유기물량과의 관계에서 유기물 농도와 중금속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강열감량과의 상관분석에서 모든 중금속이 좋은 상관성 (r=0.424$\~$0.839)을 보였고, 특히 산화 Fe, Mn, Ai은 0.7 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중금속과 입도와의 상관조사에서 입도가 세립할수록 중금속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실트와의 상관분석에서 Cu와 Pb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은 0.552$\~$0.732의 정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새만금 하구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정도는 시화호 퇴적물과 비교하여 많이 낮았는데, 이는 시화호의 경우 연안에 위치한 공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반면, 만경강과 동진강하구 주변에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전주와 익산도 하구와는 상대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비하여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증가하였으며, 그 변동율은 C. calcitrans의 경우가 S. costatum보다 높았다. 그러나 V. alginolyticus와 혼합배양한 경우 C. calcitrans는 포화지방산이 증가한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 costatum은 순수 배양한 조체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C. calcitrans는 Shewanella sp. SR-14에 의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증가되고, 이러한 지방산은 이 균이 생성하는 조류증식 저해물질과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조류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5.3\%$로 높은 편이었으며, 유화성은 50.3$\pm$$1.2\%$였으나 유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한국의 습지 훼손 분쟁 사례 연구에 기반한 연안 이해상충 해결 (Toward Coastal Conflicts Resolution based on Several Case Studies of Wetland Conversion Disputes in Korea)

  • 이기철;최용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48
    • /
    • 2001
  • 연안습지의 손실은 국내 연안을 둘러싼 이해상충의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상충과 관련된 국내 연안관리 및 습지손실과 관련된 상황, 이해상충의 배경 및 특성, 한국의 대규모 습지 훼손사례로 볼 수 있는 시화호, 순천만, 금강하구, 강원도 석호지역에 대한 이해상충의 실태와 조정사례를 근거로 이해상충해결을 위한 조정방법과 절차를 정리하였다.

  • PDF

시화호 조력발전소 운전에 따른 전력계통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wer System Characteristics by Installing SIHWA Tidal Power Plant)

  • 김규호;송경빈;김상민;최홍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54-255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analysis the effect for integrating Sihwa tidal power into power systems. Especially, power flow, fault current, voltage and contingency of sihwa tidal power plant area are calculated and th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tidal machine are analyzed.

  • PDF

시화지역 PM2.5 분진의 화학적 조성 및 오염원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PM{2.5}$ Particles in Sihwa area)

  • 박승식;이권호;김영준;김상우;윤순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4-296
    • /
    • 2000
  • 대기에어로졸의 화학적 조성은 대기화학과정 및 에어로졸의 기후변화 (climate forcing)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변수이다 대기에어로졸 군 입자크기가 2.5 $\mu\textrm{m}$보다 작은 미세입자들은 인간의 건강과 사회복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S. EPA, 1996). 시화지역은 크게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공단지역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이 대기확산을 통해 주거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주거지역에 살고있는 주민들에게 많은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시화호 유역 강수 중 hydrogen peroxide($H_2O$$_2$) 농도 변화 분석 (Measurements of hydrogen peroxide($H_2O$$_2$) in Rainwater at Sihwa)

  • 최성원;장유운;이강웅;이미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2
    • /
    • 2002
  • 대기 중에 존재하는 hydrogen peroxide($H_2O$$_2$)는 특별한 source를 통해 배출되기보다는 오존이 광분해 되어 수증기와 반응하여 생성된 hydroperoxy radical (HO$_2$)의 self-reaction이나, 대기 중으로 배출된 VOCs의 산화 과정과 같은 광화학적 기원으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H_2O$는 오존(O$_3$), hydroxy radical(OH)과 함께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물질과 반응하여 그 농도를 감소시키는 산화제를 역할을 한다. (중략)

  • PDF

시스템다이내믹스 관점에서 본 시화호 정책실패의 교훈 (Implications from the Sihwaho Policy at the System Dynamics Perspective)

  • 이미숙;김도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6권1호
    • /
    • pp.125-145
    • /
    • 2005
  • The Sihwaho Project got off to a bad start, which led to a series of mishaps and an imbalance of the whol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case of Sihwaho as a research subject, clean up the contamination caused by the ill planned project, develop suitable measures to stabilize the lake environment, and find the implications of similar development projects. For this, the authorshave conducted three simulations after studying the structural reasons for the failure of the Sihwaho Policy by identifying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pre-testing a number of policy measures for the current lake project, and presenting measures for solving the contamination problem at the lake. The simulations have shown us that filling the lake with seawater is inadequate to solve the problem and that we also have to make efforts to reduce the volume of wastes to the lake as well. The authorshave also analyzed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simulation and survey results for scenario 1, in which we have studied how much seawater can reduce the contamination of the Sihwaho Lake without the effort to reduce the volume of wastes into the lake. The survey showed that most citizens and employee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id not think it would be serious as the simulation results pointed out, and the employee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more optimistic about the situation than the public.

  • PDF

시화호 및 주변 하천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변화 (Change of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Lake Shihwa and Its Tributaries)

  • 김경태;김은수;조성록;박준건;박청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47-457
    • /
    • 2003
  •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changes o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surface sediment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artificial Lake Shihwa, surface sediments were sampled at $13{\sim}15$ sites form 1997 to 1999 and analyzed by C/S analyzer, ICP/MS and AAS. The average $S/C_{org}$ ratio was 0.35 in the surface sediments, which is similar to 0.36, the characteristic ratio of marine sediments. Heavy metal contents and enrichment factors in the surface sediments tended to be decreasing from the head to the mouth of the Lake Shihwa. With the deposi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central part of lake, anoxic water column induced the sulfides compounds with Cu, Cd and Zn. Metals such as Al, Fe, Cr, Co, Ni, Cu, Zn and Cd except for Mn and Pb showe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m. The contents of Cr, Co, Ni, Cu, Zn and Cd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lake were two to five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lake before dike construction and also in outer part of the dike. These are mainly due to the Input of untreated industrial and municipal waste-waters into the lake, and th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by limitation of physical mixing. Although metal contents of the surface sediments at the sites near the water-gate due to outer seawater inflow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during the desalination, heavy metals were deposited in areas around the new industrial complex in the evidence of spatial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This is mainly due to the input of untreated waste-waters from tributaries.

시화호 수질의 연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in the Shihwa Lake)

  • 박준건;김은수;조성록;김경태;박용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59-468
    • /
    • 2003
  •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in the Shihwa Lake were observed 18 times from June 1996 to October 2001. We studied at the station of the upper streams and near the water gate of lake. After the flow of the outer seawater through the water gate, the surface salinity in Shihwa Lake increased to the range of 25-30 psu in both stations after October 1998. Due to the declination of the salinity difference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ottom water, the pycnocline in which had existed until 1997 has weakened, and made the water column mix vertically. This led to the improvement of anoxic/hypoxic environment at bottom waters after April 1998. However, despite the continuous flow of the outer seawater,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at surface layer were varied from $2{\mu}g/l\;to\;60{\mu}g/l$, and these values indicated the eutrophication. The following organic matter load was greatly influencing the surface layer's COD concentration. During the rainy season, the salinity at the surface layer to the below 15 psu resulting in stratification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Organic matters that were provided from the surface layer to the bottom layer due to active primary production in the year exhausted dissolved oxygen at the bottom layer, and the bulks of organic matters at bottom gave rise to hypoxic or anoxic environ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enrichment of ammonia and phosphate were main factors to worsen the water quality of the Shihwa Lak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nnual variations in Shiwha Lake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n that water characteristics in the rainy season were similar with those before input of outer sea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