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편 채취기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실 드럼으로 부터의 특성시험용 코아 시편채취

  • Gwak, Gyeong-Gil;Kim, Tae-Guk;Yu, Yeong-Geol;Je, Hwan-Gyeong;Park, Jun-Seok;Hwang, Seok-Ha;Lee, Seu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3-174
    • /
    • 2009
  • "방사성폐기물 고화체의 물성시험"에 사용되는 시편을 실험실적으로 제조한 소규모 모의 고화체 시편과 고화공정에서 직접 채취한 소규모 시편, 200L 드럼으로부터 코아시편을 채취 가공하여 만든 시편과 같이 3종류가 있다. 고화공정에서 발생되는 고화체는 일반적으로 200 L 드럼에 주입되며, 고화체의 균일성 정도는 고화공정의 특성, 폐기물/고화매질 혼합비, 200 L 고화체 드럼의 냉각방식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실험실에서 제조한 시편과 공정에서 채취한 소규모 시편을 실제 고화공정을 대표할 수 없으며 또한 실제 발생된 고화체의 조성과도 동일하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200 L 실드럼에서부터 코아시편을 채취하여 만든 시편이 고화공정과도 고화체를 대표할 수 있는 시편으로 볼 수 있다. 기 발생고화체(시멘트와 파리핀 고화체 및 잡고체 폐기물)의 영구처분을 위하여 과기부 고시 05-18호 "폐기물 인도기준" 규정과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의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수기주(안)의 준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원전의 대표 드럼에 대하여 특성평가시험인 압축강도, 침출, 침수, 열 순환, 내방사성 영향시험을 수행하기위해 실 드럼으로부터 원통형 코아시편을 채취하여 이를 시험검사에 필요한 시험시편으로 가공한 후 표준 특성시험법을 이용하여 물성들을 평가하며 특성평가시험을 위한 시편으로는 L/D=2, L/D=1인 두 종류의 시편을 가공하였으며 압축, 침수, 열순환 및 방사선조사시편은 L/D=2 시편을 제조하였고 침출시험시편은 L/D=1인 시편을 채취하였다.

  • PDF

Micro Sampling System for Highly Radioactive Specimen by Laser Ablation (Laser Ablation에 의한 고방사성시편의 미세영역 시료채취 장치개발)

  • Han Sun Ho;Ha Yeong Keong;Han Ki Chul;Park Yang Soon;Jee Kwang Yong;Kim Won H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3 no.1
    • /
    • pp.17-21
    • /
    • 2005
  • Shielded laser ablation system composed of laser system, image analyser, XYZ translator with motion controller, ablation chamber, manipulator and various optics was designed. Nd:YAG laser which can be tunable from 1064 nm to 266 m was selected as light source. CCD camera(< $\pm$200) was chosen to analyze a crater less than 50 un in diameter. XYZ translator was composed of three linear stage which can travel 50 w with a minimum movement of 1 um and motion controller. Before the performance test, each part of system was optically aligned. To perform the ablation test, the specimen was ablated by 50 um interval and observed by image analyser The shape of crater was almost round, indicating laser beam has homogeneous energy distribution. The resolution and magnification of image system were compatible with the design.

  • PDF

Development of Small-Specimen Creep Tester for Life Assessment of High Temperature Components of Power Plant (발전소 고온부의 수명 평가를 위한 소형 시편용 크리프 시험기의 개발)

  • Kim, Hyo-Jin;Jeong, Yong-Geun;Park, Jong-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4 no.10 s.181
    • /
    • pp.2597-2602
    • /
    • 2000
  • The most effective means of evaluating remaining life is through the creep testing of samples removed from the component. But sampling of large specimen from in-service component is actually impossible. So, sampling device and small-specimen creep tester have been applied. Sampling device has been devised to extract mechanically small samples by hemispherical, diamond -coated cutter from the surface of turbine rotor bores and thick-walled pipes without subsequent weld repairs requiring post weld heat treat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small creep specimen, 2min gage diameter and 10min gage length, using electron beam welding to attach grip section, has been proven. Small-specimen creep tester has been designed to control atmosphere to prevent stress increment by oxidation during experiment. To determine whether the small specimens successfully reproduce the behavior of large specimens, creep rupture tests for small and large specimens have been performed at identical conditions. Creep rupture times based on small specimens have closely agreed within 5% error compared with that of large specimen. The errors in rupture time have decreased at longer test period. This comparison validates the procedure for fabricating and testing on small specimen. This technique offers potential as an efficient method for remaining life assessment by direct sampling from in -service high temperature components.

최신 압입시험기를 이용한 산업설비의 비파괴 안전진단

  • Lee, Yoon-Hee;An, Jung-Hoon;Choi, Yeol;Son, Dong-Il;Jang, Jae-Il;Kwo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9-16
    • /
    • 2000
  • 1970년대의 급격한 경제 성장시기에 건설된 구조물들은 30년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노후화가 심각하며 대형 산업재해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노후 설비들의 안전 한 사용을 위해서는 소재 물성의 정기적인 진단을 통한 정확한 수명예측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소재 물성평가를 위한 표준 방법인 일축인장 및 파괴역학 시험의 경우, 변형 및 파괴 거동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Bulk 형태의 표준시편이 필요하여 시편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설비와 구조물에 노치에 의한 손상이 가해질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전성을 오히려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채취 중의 응력완화 및 손상에 의해 표준시편도 본래 현장 구조물과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중략)

  • PDF

The analysis of the deposit on inner steam generator by EPMA (EPMA를 이용한 증기발생기 내부 침적물 분석)

  • 유병옥;정양홍;김도식;백승제;김기하;주용선;박남홍;이종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30-231
    • /
    • 2004
  • 경수로형 원자로의 증기 발생기 내부에 방사화 된 침적물을 smear paper로 시료를 채취한여 핵종 분석 및 화학조성을 분석하였다. 상용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외부에서 발견된 고 준위 방사성물질의 화학 조성 분석은 극미세 성분분석기(EPMA)를 이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한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SX-50R, CAMECA, Paris, France)는 고 방사능을 띤 조사 핵연료 및 재료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기의 시편 stage 주위를 납과 텅스텐으로 차폐하여 시편의 방사능 세기가 $3.7{\times}10^{10}$ Bq까지 시험 가능한 기기이다.(중략)

  • PDF

An Analysis of Secular changes on Grounding Facilities (접지설비의 경년변화 해석)

  • Kim, Jae-Yee;Ko, Tae-Seok;Jeong, Kil-Jo;Choi, Jong-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730-1731
    • /
    • 2001
  • 인축의 안전 및 기기보호를 위해 시설하는 접지설비는 수평 및 수직 접지도체와 접지단자 그리고 접지콘넥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지설비는 포설조건에 따라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접지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경감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책을 갈구하기 위해 각종 접지설비의 시편을 채취해서 경년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Coking Characteristics of Kerosene (케로신 연료의 침탄 특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

  • Kim, Min Cheol;Kim, Yeong Jin;Kim, Jeo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3 no.2
    • /
    • pp.46-52
    • /
    • 2019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coking characteristics of kerosene. The kerosene was heated to 600 K, 700 K, and 800 K, and the cooled samples were collected. The used copper tubes were replac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s. The liquid and copper specimen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quipped with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 carbon deposit was formed from the coking of fue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pper specimen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800 K) of the copper tube.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ice in the Arctic region (At Svalbard and Chukchi Sea on 2010 summer) (빙해역의 빙상환경 계측에 관한 연구 (2010년 여름 Svalbard와 Chukchi Sea 근해))

  • Kim, Hyun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Technology
    • /
    • v.13 no.1
    • /
    • pp.23-29
    • /
    • 2011
  • The measurement of ice properties such as thickness, strength are important to know the performance of the ice breaking vessel. The measuring equipment of ice properties and methods are summarized in this paper. The actual measured data are also described. The strength of ice at Svalbard area on April 2010 is much stronger than the Chukchi Sea on August 2010. The mean strength of Svalbard is about 500 kPa and one of Chukchi Sea is 250 kPa. The first sea trial in Arctic sea using Araon was carried out in the Chukchi Sea. The power and speed was also measured to check the ship performance in ice. The speed was measured from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engine power was recorded from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 of Araon. The design target of Araon in level ice is 3 knots in 1m thickness and 630 kPa flexible strength but mean speed in Chuckchi sea is 3.98 knots when 6.6 MW engine power, 2.4m ice thickness and 250 kPa strength. This results comes from the difference of ice types and the weak flexible strength of ice but it will be a good information to know the performance of Araon in similar ice condition.

유리화 동결법에 의한 난자의 동결 중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tabilizer, Taxol의 처리 후 배발달율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정형민;박성은;임정묵;고정재;정미경;차광렬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4-74
    • /
    • 2001
  • 난자 동결방법의 선별은 보다 효과적인 난자은행의 개발에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결융해후의 난자는 방추사와 염색체의 이상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빈도로 나타나 융해후의 배발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리화동결법동안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ystem을 안정화시키는 cytoskeleton stabilizer인 taxol을 첨가시킨후 동결시켰을때 생존율과 발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taxol을 첨가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첨가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시킨후 5.5 M EG와 1 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정자와 체외수정을 시킨 후 수정된 난자는 modified P1 배약액에 124 h까지 발달율을 관찰하였고, 배양 후 발달된 배반포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4마리의 발정동기화된 recipient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배발달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4세포기 (48 vs. 84.4%), 8세포기 (34% vs. 70.6%), 상실배 (26% vs. 58.6%) 그리고 배반포 발달율은 (24% vs. 58.6%)로 높게 관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high risk perception in general setting and

  • PDF

Determina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using Miniature Cone and T-bar Penetrometers for Kaolin Clay (소형콘과 T-bar 관입기를 이용한 카올린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 산정에 관한 연구)

  • Sespene, Shemelyn;Choo, Yun W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3
    • /
    • pp.429-438
    • /
    • 2018
  • Cone and T-bar penetrometers have been frequently used to estimate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clay. For small-size model tests, miniature penetrometers should be used but their correlation factors have not been well published. In this study, a testing setup was developed to derive empirical factors of the miniature cone and T-bar penetrometers. A 350mm-diameter chamber and kaolin clay were utilized to prepare soil specimens consolidated under four different pre-consolidation pressures controlling undrained shear strength. Two miniature cones with two diameters of 10-mm and 16-mm and a T-bar penetrometer with 10-mm diameter were used to investigate boundary effect, penetration rate effect, and diameter and shape effect. Unconsolidated-undrained triaxial tests were carried out with samples taken from the specimens to measure undrained shear strength. Finally, empirical factors for the penetrometers were constructed to correlate tip resistance to undrained shear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