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편

Search Result 4,68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vestigation into a Chemical Cracking and the Measurement of Stress in a Polycarbonate Specimen through Deformation Jig (변형지그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편의 케미컬 크랙킹 및 응력측정에 관한 연구)

  • Yoo, Seo Jeong;Hong, Hyoung Sik;Lyu, Min-Young
    • Polymer(Korea)
    • /
    • v.38 no.5
    • /
    • pp.645-649
    • /
    • 2014
  • The causes of residual stress in an injection molded part are high temperature variation and shear stress during molding process. Chemical cracking test is one of the methods of measuring residual stress and crack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sidual stres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cracking and exerted stress have been investigated. Deformation jig was designed and used to give a stress through deformation in a specimen. Specimens were molded by a hot press using polycarbonate (PC) and annealed to remove residual stresses in the specimens. Specimens were fixed in the deformation jig and immersed into the solvent to create cracks in the specimens. Solvents were prepared by using tetrahydrofuran and methyl alcohol. As stress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in the specimen increased, the frequency and density of cracks in the specimen also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residual stress quantitatively in an injection molded PC product using a chemical cracking method.

Effect of Thermal Aging Temperature on Weight Los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poxy Adhesives (열화 온도가 에폭시 접착제의 질량변화 및 유리전이온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Soo-Jin;Kim, Jong-Hak;Joo, Hyeok-Jong;Kim, Joon-Hyung;Jin, Fan-Lo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1 no.1
    • /
    • pp.19-26
    • /
    • 2006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rmal aging temperature on the weight los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morphology of epoxy adhesives cured with amine (D-230), amide (G-5022), and anhydride (HN-2200)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weight loss of three specimen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thermal aging temperature. The result was attributed to the thermal aging which was occurred at the surface of adhesive specimens at high aging temperature, resulting in increasing the weight loss of the specimens. According to the DSC resul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DGEBA/D-230 and DGEBA/G-5022 samples war increased as the aging temperature increased, where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DGEBA/HN-2200 samples was constant above aging temperature of $150^{\circ}C$ and aging tine of 7 days. The SEM result indicated that the surface of DGEBA/G-5022 specimen showed more rough topography than that of DGEBA/D-230 or DGEBA/HN-2200 specimen after thermal aging. This could be correlated with the result of weight loss.

Effects of Specimen Size and Testing Velocity on Puncture Properties of Short-fiber Reinforced Chloroprene Rubber (시편 크기 및 시험속도가 단섬유 강화 클로로프렌 고무의 관통 특성에 미치는 영향)

  • Ryu, Sang-Ryeoul;Lee, Dong-Joo
    • Composites Research
    • /
    • v.20 no.6
    • /
    • pp.28-33
    • /
    • 2007
  • The puncture properties of short-fiber reinforced rubber were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fiber aspect ratio(AR: length of fiber/diameter of fiber), fiber content, specimen size and testing velocity. The puncture stresses of the matrix and short-fiber reinforced rubber decreased with specimen size, and increased with testing velocity at same specimen size. As the fiber AR increased the puncture stress at given fiber content also increased. The problem of the specimen shape was investig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tensile strength with puncture stress. The forces acting in the membrane wall of the matrix and the short-fiber reinforced rubber showed a similar data regardless of specimen size. And those increased with testing velocity at same specimen size. As the fiber AR increased the force acting in the wall at given fiber content also increased.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specimen size, testing velocity had an important effects on the puncture properties.

Experimental Debonding Failure Behaviors of Composite Skin-Stiffener Bonded Specimens (복합재료 스킨-보강재 접합 시편의 파손 특성에 대한 시험 연구)

  • Kim, Kwang-Soo;An, Jae-Mo;Jang, Young-Soon;Yi, Yeong-Moo
    • Composites Research
    • /
    • v.20 no.6
    • /
    • pp.8-14
    • /
    • 2007
  • Debonding failur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skin-stiffener specimen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bonding methods, types of stiffener shape and various secondary bonding parameters were evaluated. Present test results combined with the previous test results[1] showed that the failure displacement of the skin-stiffener specimens well evaluates the skin-stiffener debonding failure strength of the composite stiffened panels. The specimens with an open type stiffener had lower bending stiffness and larger failure displacement than those with a closed type stiffener. Secondary bonding and co-curing with adhesive had better failure strength than co-curing without adhesive film. Secondary bonded specimens failed by adhesive failure and co-cured specimens failed by delamination failure. As the bondline thickness was thinner, the skin-stiffener specimens had higher failure strength. The fillets had no influence on failure strength of the specimens.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roughness was shown according to types of stiffener shape.

Magnetic properties of $FeAl_{1-x}Mn_x$ alloy systems ($FeAl_{1-x}Mn_x$합금계의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 Ko, Kowan-Young;Yoon, Sokeel;Park, Soon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4 no.1
    • /
    • pp.1-11
    • /
    • 1991
  • 소둔 및 급속응고된 FeA $l_{1-x}$M $n_{x}$ (x=0.05, 0.10, 0.15, 1.20, 0.25, 0.30, 0.35, 0.40) 합금의 자기적 성질을 77.deg.K~750.deg.K의 온도범위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소둔한 시편의 경우, x.leq.0.25일때는 상자성, x=0.30 및 0.35의 경우에는 초상자성, x=0.40은 강자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급속응고한 시편의 경우에는 전 조성범위에서 초상자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Mn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자화는 소둔 및 급속응고 시편에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급속응고 시편이 소둔시편에 비해 대개 더 높은 자화를 나타내었다. 본 합금계에 있어 자성에 대한 국부환경 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다.

  • PDF

Effects of Counterpart Materials on Dry Sliding Wear and Friction Behavior of Co-Fe, Co-Ni Bond Materials for Diamond Tools (다이아몬드 공구용 Co-Fe, Co-Ni 본드 소재의 마멸상대재에 따른 건식 미끄럼 마찰 및 마멸거동)

  • 권용진;김용석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8-28
    • /
    • 2003
  • 고온가압소결(Hot Pressing) 된 다이아몬드 공구용 Co-Fe, Co-Ni계 금속본드의 상온 건식 미끄럼 마멸시험을 행하고, 조성에 따른 각 본드의 마멸 특성을 비교하고 마멸 기구를 규명하였다. 미끄럼 마멸시험은 pin-on-disk 형태의 마멸시험기를 사용하여 각 조성의 성분, 적용하중 그리고 마멸상대재를 변수로 상온, 대기 중에서 실시되었다. 마멸속도는 마멸시험 전후의 시편의 무게 감량을 이론밀도와 거리로 나누어 계산되었다. 마멸기구의 규명을 위하여 시험된 시편의 마멸면과 마멸단면을 SEM과 E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Co-Fe system의 경우 그 마멸속도는 마멸상대재의 영향보다는 Fe 첨가에 따른 시편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의 차이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다. 그러나 Co-Ni system의 마멸속도는 마멸 상대재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Al_2$O$_3$를 상대재로 마멸된 경우에는 마멸속도가 시편/상대재 접촉면에서 형성되는 산화층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glass bead(83% SiO$_2$)를 상대재로 한 경우에는 시편의 경도와 마멸속도는 서로 반비례하였다.

  • PDF

Effect of Crystalline Lameliar Orientation on the Creep and Wear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미세구조가 변형과 마모에 미치는 영향)

  • 이권용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4 no.3
    • /
    • pp.46-50
    • /
    • 1998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인공관절 라이너에 쓰이는 대표적 생체재료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변형과 마모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기본적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 결정상의 정도와 결정구조 방향성에 따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 특성의 연구를 행하였다. 압출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단면의 중앙(center)부분과 원주(periphery)부분으로부터 각각 직사각형 및 원통형의 시편을 제작하여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주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은 중앙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보다 11%크며(p<0.05), 마모량도 원주 시편이 중앙 시편보다 두 배나 큰 것으로 (p<0.05)관측되었다. 이 결고달로부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과 마모가 미세 결정구조 방향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EM sample preparation of thin film multilayer disks for analytical electron microscopy (분석전자현미경용 다층박막 디스크의 시편준비법)

  • 김명룡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8 no.4
    • /
    • pp.464-471
    • /
    • 1995
  • 메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제작한 고밀도 다층박막($Co_75{{Pt_12}{Cr_13}}$합금) 디스크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단면 및 평면의 미세조직의 조사 혹은 미소부위 성분분석을 할 경우, 선행되어야하는 시편준비 경로와 각 단계별 구체적방법 및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Ion밀링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시료가 얇게 되는과정에서 스퍼터링된 물질이 관찰될 시편부위의 다른 표면에 증착되므로써 미세조직의 선명도를 해칠 수 있고, 이로인한 해석상의 오류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자기박막 디스크와 같이 다층으로 구성된 단면분석용 시료에서는 서로 맞붙인 실리콘 단결정 접착면을 따라 밀링속도가 선택적으로 커서 우선축이 생김으로써 양질의 시편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같은 문제를 포함한 전자현미경 시료준비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와 이를 이용해 수행한 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및 효과적인 시편준비방법이 본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 PDF

Pre-strain Induced Anisotropy of Filled Natural Rubber (선인장에 의하여 유도된 천연고무의 비등방성)

  • Park, Byung-Ho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6 no.1
    • /
    • pp.30-36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 t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anisotropy in carbon black filled natural rubber vulcanizates. Chain orientation affects tensile strength, stiffness. Parallel sample shows low stress at low deformation, but have high stiffness at high deformation compared to isotropic or perpendicular samples. This study shows that natural rubber(NR) exhibits much larger tensile anisotropy at high strains than SBR. It seems that the parallel sample of NR is dominated by orientation effect at high strains. This oriented chain is expected to act as nuclei for following crystallization during second stretching and facilitates the strain-induced crystallization.

  • PDF

Effect of crystalline lamellar orientation on the creep and wear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초고분자량 폴리에닐렌 미세구조가 변형과 마모에 미치는 영향)

  • 이권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100-105
    • /
    • 1998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인공관절 라이너에 쓰이는 대표적 생체재료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변형과 마모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기본적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 결정상의 정도와 결정구조 방향성에 따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 특성의 연구를 행하였다. 압출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단면의 중앙(center) 부분과 원주(periphery)부분으로부터 각각 직사각형 및 원통형의 시편을 제작하여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주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은 중앙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보다 11% 크며 (p<0.05), 마모양도 원주 시편이 중앙 시편보다 두 배나 큰 것으로(p<0.05)관측되었다. 이 결과들로부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과 마모가 미세 결정구조 방향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