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청행태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2초

디지털 복합TV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OSD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n Screen Display Interface Design for Digital Convergence TV User)

  • 심재희;이건식;유경희;김운영;김정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9-13
    • /
    • 2006
  • 본 연구는 HD 복합TV 사용자의 시청행태 및 사용자 니즈 분석을 통해 사용자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실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DTV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리를 발견하고 대형 DTV 화면에 적합한 OSD디자인을 개발하여 디지털 복합 TV에 적합한 새로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DTV 시청환경을 기반으로 PVR, EPF, 녹화, 1394 등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유저 내비게이션 특성을 반영한 OSD디자인 방향을 검토하였고 개발환경인 50인치 PDP 화면에 적합한 레이아웃을 제작하여 사용자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사례연구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타임머신 기능 X Canvas PDP의 OSD 디자인을 개발하여 양산용 제품에 적용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 복합 TV 의 Gateway 인 홈메뉴, PVR 기능의 핵심인 프로그래스바, 모든 컨텐츠에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목록화면, 녹화관련화면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폰트,칼라,레이아웃,위젯 정의를 수행하여 각 기능별 화면들이 Package개념으로 Identity를 갖추면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DTV Application Design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메뉴구조 및 화면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고 세계최초로 자사에서 개발한 하드디스크 내장 HD TV Application GUI 의 사용성 및 심미성 측면을 모두 만족시키는 등 DTV GUI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 PDF

모바일 채널 수용이 고객의 동영상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The Impact of Mobile Channel Adoption on Video Consumption: Are We Watching More and for Longer? )

  • 최상아;이민형;최한별;이희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1-138
    • /
    • 2023
  • 모바일 기술의 진보는 미디어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미디어 소비에서의 시공간적 제약이 사라졌다. 본 연구는 한국의 온디맨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미디어 소비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모바일 채널의 도입이 개인의 영상 시청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 채널 채택이 TV 기반의 총 영상 시청 시간과 시청 콘텐츠 수를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채널이 기존 TV 채널에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신흥 Over-the-Top(OTT) 시장에서 소비자 사용에 관한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N스크린 환경에서 다중미디어를 활용한 TV프로그램 이용행태 연구 (A Study about TV viewing behavior through Multiple Media under Nscreen circumstances)

  • 김종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1호
    • /
    • pp.177-208
    • /
    • 2013
  • 본 연구는 N스크린 환경에서 TV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TV 프로그램 시청과 동시에 이용되는 다양한 미디어들의 현황 및 이용자들의 다중미디어 이용행태, N스크린 환경에서 이용되는 TV프로그램들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뉴미디어이용이 활발한 18~34세 시청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TV는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비롯한 인기 콘텐츠를 중심으로 스토리를 제공하는 1차 스크린으로 기능하고 있으며(84.5%, n=566), 이용자들은 개인 미디어를 통해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 등 소셜기재를 활용하여 TV에 나온 이야기들을 재생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콘텐츠는 내용 및 이용자의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감정자극형', '정보생산형', '참여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참여형'은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관람형', '희망형', '결과보장형'의 3단계로 다시 세분화되었다. 2주간에 걸친 다이어리 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를 통해, 동일시간, 동일장소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더라도 이용자들은 자신의 이동형 개인 미디어를 통해 지금 TV를 통해 소비하고 있는 콘텐츠를 각자의 방식으로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N스크린으로 인한 환경 변화가 미디어 이용의 맥락과 행태에 가져온 변화로, 스크린의 증가와 소셜미디어의 확장 속에 TV가 스토리 창조의 원천으로 작용하며 스토리 재생산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V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표현기법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Genre and Image Expression Technique of TV Drama)

  • 박덕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59-167
    • /
    • 2009
  • 방송에서 TV 드라마의 비중과 영향력이 커지면서, TV 드라마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시청동기, 수용행태 등에 관한 수용자 연구와 드라마 서사구조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한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TV 드라마의 영상제작기법과 연관된 연구는 시청률과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 시대별 영상제작기법 변천과정, 영화와 TV드라마의 영상제작기법 비교 등과 같은 제한된 수의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드라마의 내용과 영상제작기법의 관계를 조명한 연구는 전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편성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적 가치 측면에서도 그 비중이 커지고 있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표본 추출을 위하여 TNS 미디어 코리아에서 제시한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간 '시청률 톱 100' 자료를 바탕으로, 이 기간 동안 방송된 역사드라마, 멜로드라마, 홈드라마 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를 각 장르별로 5편씩 총 15편의 드라마에서 8,210개 샷들을 추출하여 이들의 영상제작기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사드라마에서는 홈드라마나 멜로드라마에 비해 클로즈업과 롱샷 그리고 트래킹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샷의 지속시간은 짧은 반면 장면의 지속시간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홈 드라마와 멜로드라마에서는 역사드라마에 비해 웨이스트샷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샷의 지속시간은 긴반면, 장면의 지속시간은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링크드 데이터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요리 비디오 질의 서비스 시스템 (An Interactive Cooking Video Query Service System with Linked Data)

  • 박우리;오경진;홍명덕;조근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3호
    • /
    • pp.59-76
    • /
    • 2014
  • 스마트 미디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시공간적인 제약이 없이 비디오를 시청 가능한 환경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행태가 수동적인 시청에서 능동적인 시청으로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사용자는 비디오를 시청하면서 비디오를 볼 뿐 아니라 관심 있는 내용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검색한다. 그 결과 사용자와 미디어 장치간의 인터랙션이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웹 검색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 정보를 찾지 않고, 쉽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인터랙션을 직접 수행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또한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고, 링크드 데이터를 적용한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분야 중에서 사람들이 가장 관심 있는 분야중 하나인 요리를 선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요리는 사람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 분야이다. 레시피, 비디오, 텍스트와 같은 요리에 관련된 정보들이 끊임없이 증가하여 빅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 발전하였지만 사용자와 요리 콘텐츠간의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법과 기능이 부족하고, 정보가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들은 쉽게 요리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지만 비디오는 단 방향으로만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검색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요리 비디오 시청과 동시에 정보제공을 위한 UI(User Interface), UX(User Experience)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환경을 제시하고, 컨텍스트에 맞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링크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비디오 간에 인터랙션을 위한 요리보조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미디어환경 변화와 광고시장 전망

  • 남승용;노창희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12호
    • /
    • pp.32-41
    • /
    • 2011
  • 광고는 제조, 유통, 서비스 등의 산업에서 공급하는 재화 등에 대한 정보를 확산시키고 소비자가 이의 재화에 대한 거래를 성립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광고주가 미디어 기업 등에게 지불하는 광고비는 미디어 기업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 유통 할 수 있는 주요한 재원이다. 즉, 미디어는 광고주와 수용자가 공존하는 대표적인 양면시장이며 여기서 광고는 해당 시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처럼 미디어 환경과 광고산업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 환경 및 광고 관련 규제에 국내 광고시장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 간접광고, 종합편성 채널 PP도입, 인터넷광고 시장현황 및 전망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간광고 등의 규제 완화는 국내 광고 시장에 직접적으로 성장 가능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이는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종합편성 채널 PP도입은 해당 사업자가 제작비에 투자하는 정도에 따라 시청률에 영향을 주며 이의 효과로서 광고비가 증가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다만 지상파, 유료방송 고려시 순증효과와 대체효과가 공존하며 이의 결과 전반적으로 광고시장의 성장이 전망되었다.

TrueView 광고 유형에 따른 노출 효과 분석 : YouTube 인스트림광고 중심으로 (Impact Analysis of True View Ad Typees : Focusing on YouTube In-Stream Ads)

  • 김태순;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18
  • 최근 N스크린 세대의 새로운 소비 주도층인 밀레니얼세대(10대~20대 초반)의 증가로 모바일 YouTube 동영상 시청자가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광고 노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YouTube 인스트림 광고가 광고주들의 높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광고 게재에 따른 정확한 노출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 자료는 현저히 부족하다. 이에 모바일 YouTube 동영상 시청자 수가 가장 높은 10대~20대 초반을 대상으로 국내 YouTube 인스트림 광고 사례 10개를 선정하여 선택적 시청에 따른 시청자들의 행태 파악과 광고 몰입도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소구 유형별 광고 몰입도는 이성소구보다 감성소구가 컸으며, 그 중 유머소구의 광고 몰입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광고 노출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TV 북마킹으로서 TV 선호채널 설정기능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혁성, 개혁의 특성, 시청행태 및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Favorite Channel Function: Focusing on Innate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Viewing Behavior, and Social Influence)

  • 임홍갑;장병희;남상현;백상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8권
    • /
    • pp.154-177
    • /
    • 2012
  • 본 연구는 채널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이용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는 TV 선호채널 설정기능 이용에 대한 태도 및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이론적인 분석틀로 개혁확산이론, 채널레퍼토리, 채널전환행위, 사회적영향 등을 활용하여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일반 시청자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TV 선호채널 설정기능에 대한 태도에는 내재적 개혁성, 상대적장점, 사회적 임계점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TV 선호채널 설정기능에 대한 이용의도에는 합치성, 관찰가능성, 사회적 임계점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 PDF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The Rise and Fall of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in Korea : Focusing on the 'Show Show Show' on TBC-TV)

  • 박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1-63
    • /
    • 2014
  • 이 논문은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한국의 음악버라이어티쇼가 어떻게 성장하고, 쇠퇴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KBS-TV로 통폐합되기 전까지 토요일 저녁 8시 경에 방송을 했던 '쇼쇼쇼'는 온 가족이 주말 저녁 한 때를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쇼쇼쇼'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을 다루었고, 음악외에 무용, 코미디는 물론 각종 마술이나 묘기들도 선보였다. '쇼쇼쇼'는 1970년대 말까지 모든 세대에게 인기를 누린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쇼쇼쇼'는 점차로 음악버라이어티쇼다운 특성을 잃으며 음악 위주의 프로그램이 되었다. 또한 갈수록 성인 취향의 음악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쇼쇼쇼'는 통폐합의 영향으로 위축되기 시작하다가, 결국 시청행태 변화와 음악적 취향 분화의 영향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쇼쇼쇼'의 종영은 가족이 함께 보는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응시와 이해도 기반 분석 서비스 플랫폼 기술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 Usage Analysis Service Platform Utilizing Attention and Understanding Flows)

  • 고기남;문남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8호
    • /
    • pp.315-32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선 관심 객체 기반 양방향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소비자의 응시 행위를 개별 객체 중심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콘텐츠 소비 시점의 맥락적 소비자 이해도를 인지하여 콘텐츠 제공의도에 맞는 소비행태 분석을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콘텐츠 내 개별 객체 표현 구조를 연구하고, 미디어 제공자의 의도와 비교하여 제공자가 의도한 계획에 맞춰 소비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소비자의 소비행태 분석은 응시 분석(Gaze Profile Analysis)과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의도 흐름(Intention Flow)과 가중치(Intention Weight)를 분석한 정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술은 교육, 광고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