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정계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1초

시정계 자료 특성을 고려한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Quality Control Method for Visibility Dat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ibility Data)

  • 오유주;서명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707-72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운용중인 시정계 자료의 시공간대표성 및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단계 결정나무 품질검사(decision tree QC) 방법을 개발하고 3년간(2016.03-2019.02) 시정계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QC 방법의 정성적 및 정량적 검증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정계 자료 및 목측 자료 그리고 노르웨이 기상청의 QC 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물리적 범위 초과 및 결측 검사를 수행하여 결측 및 비정상 자료의 합이 총 자료의 10%를 초과하면 해당 지점은 다음 QC에서 제거하였다. 2단계에서는 시정이 시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시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고, 임계값을 동적으로 설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시정이 공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공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4단계에서는 시정계의 정확도가 시정에 반비례한 점을 고려한 가중평균법으로 10분 주기 시정자료를 산출하였다. 시정계가 처음으로 도입 운용되는 점으로 인해 전체 시정계 자료 중 약 10% 정도가 1단계에서 제거되었다. 또한 안개발생 주변 지역에서는 시정의 공간적 변동성이 연속성 검사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3단계는 적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을 정성적, 정량적 검증한 결과, 초기 자료에 포함된 이상치들이 상당부분 제거되고 시정의 순간적 변동성이 완화됨을 보였다. 또한 목측자료 및 노르웨이 기상청 QC 방법을 이용한 간접적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이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기법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905nm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시정계 센서 (A Visibility Sensor using a 905nm Pulsed Mode Laser)

  • 김광웅;전호경;송동혁;박정호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210-211
    • /
    • 2002
  • 산업의 발전과 급속한 대도시화는 환경오염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이슈를 발생시켰다. 시정(Visual Range)이란 대기의 혼탁도를 나타내는 기상요소로서, 정상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이 목표를 식별할 수 있는 최대거리를 의미한다 시정은 대기오염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이며, 항만 및 공항 등에서는 인명 및 재산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어, 최근 시정 측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경 잡음에 좋은 특성을 가지며, 보디- 정확한 시정 측정을 위하여 905nm 펄스 모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시정계 센서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중략)

  • PDF

계통 외란에 강인한 동기 좌표계 비례 적분 전류 제어기 이득 선정 연구 (A Study of Synchronous Reference Frame PI Current Controller Gain Selection Robust to Grid Disturbance)

  • 조현길;김지찬;차한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동기 좌표계 비례 적분(PI) 전류 제어기의 이득 산정에 따른 계통 외란 발생 시 제어기의 응답 특성을 연구하였다. PI 전류 제어기의 이득 선정 시 플랜트의 시정수와 적분기 시정수를 같게 설정하는 극점-영점 상쇄 기법을 사용하여 전류 제어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극점-영점 상쇄 기법을 통해 이득이 선정된 전류 제어기는 계통에 외란 발생시 제어기 응답 특성이 느려진다. 적분기 시정수를 샘플링 주기를 이용하여 선정한다면 계통 외란에 강인한 특성을 갖게 된다. 제안된 방법은 각각 선정된 적분기 시정수를 가지고 외란에 대한 주파수 응답 특성과 데드 타임이 추가된 계통연계형 인버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제안된 적분기 시정 수 선정 방법이 외란에 더 강인함을 검증하였다.

  • PDF

기상관측용 투과형 시정계의 국제단위계에 소급하는 교정 (SI-traceable Calibration of a Transmissometer for Meteorological Optical Range (MOR) Observation)

  • 박성종;이동훈;김용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82
    • /
    • 2015
  • 본 논문은 일정 두께를 정하여 대기의 시감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시정거리의 표준화된 양인 기상학적 광학거리(Meteorological Optical Range, MOR)를 관측하는, 기상관측용 투과계의 국제단위계에 소급하는 실내 교정방법과 그 교정 예를 소개하고 있다. 국제단위계 유도량 중 하나인 시감투과율 눈금을 교정대상 투과계에 전달해주기 위한 기준물로서 시감투과율 0.2 % ~ 99.5 % 범위의 OD 0.1 ~ 2.5 의 ND 필터와 석영유리, 무반사처리된 석영유리 등 총 20종을 이용하였고, 이 기준물의 분광투과율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분광투과율 표준기를 이용하여 교정된 것이다. 교정 대상 투과계는 기준거리 - 수광부와 검출부 사이의 거리 - 가 75 m 이고 측정광으로는 색온도 약 5000 K의 백색 LED를 이용하고, 광검출기로는 CIE 1924 V(${\lambda}$) 분광응답을 갖는 광도계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교정은 기준물을 투과계 사이에 위치하여 투과계가 표출하는 시감투과율 및 MOR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정 결과 20 m ~ 40 km 범위의 MOR에 대하여 MOR 오차와 그 불확도를 산출 할 수 있었다. 교정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교정방법과 교정결과가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의 시정관측의 정확도 요건에 부합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안개 예측 시 목측과 시정계 계측 방법에 따른 모델 성능 차이 비교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Model Performance based on Observation Methods using Naked-eye and Visibility-meter)

  • 박창현;이순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5-11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내륙 관측소 중 안개 최다발 지역인 안동을 대상으로 XGBoost-DART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 시간 후 안개 유무를 예측하였다. 기상자료, 농업관측자료, 추가 파생자료와 각 자료를 오버 샘플링한 확장자료, 총 6개의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였다. 목측으로 획득한 기상현상번호와 시정계 관측으로 측정된 시정거리 자료를 각각 안개 유[1]무[0]로 이진 범주화하였다. 총 12개의 머신러닝 모델링 실험을 설계하였고, 안개가 사회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유해성을 고려하여 모델의 성능은 재현율과 AUC-ROC를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오버샘플링한 기상자료와 기상현상번호 기반의 예측 목표를 조합한 실험이 최고 성능을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안개 예측에 있어서, 목측으로 획득한 기상현상번호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디지털영상시정관측계의 분석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tic Algorithm for Digital Vision Visibility Monitor)

  • 김경원;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4
    • /
    • 2002
  • 시정(visibility)변화에 대한 색채학적 분석은 일정한 색채의 정보를 지닌 하늘을 대상으로 에어고졸에 의한 연무의 색성분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색좌표계에서의 두 지점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배경대기 조건에서의 하늘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1/10배 이하의 입경을 지닌 가스상 물질들의 Rayleigh 산란에 의해 지배된다. 따라서 산란효과가 6배 이상 큰 파란색이 하늘의 색으로 발현된다. (중략)

  • PDF

Dark Channel Prior 기반 해무 강도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정태건;임태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4-21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시정계에 비해서 낮은 가격으로 개발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과 촬영한 사진으로 해무 강도를 측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항로표지에 부착이 가능하고 360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 구현 내용을 설명하고 해무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안개 모델과 Dark Channel Prior(DCP)를 이용해 해무 강도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전운전영역에서 회전자 시정수 온라인 동조에 의한 강인한 벡터제어 (A Robust Indirect Vector Control of Induction Motor with On-Line Tuning of Rotor Time Constant in Wide Speed Range)

  • 조순봉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201-208
    • /
    • 1999
  • 본 논문에서 회전자 시정수 변화에 따른 벡터제어 시스템의 성능저하에 대하여 고찰하고, 동기좌표계의 탄젠트 토크각과 정지좌표계의 탄젠트 토크각의 일치 관계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회전자 시정수의 변화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항로표지 거점을 활용한 실시간 영상기반 해양안개 관측시스템 구축 (A real-time image-based sea fog observation system based on local lighthouse)

  • 김무건;장인권;이형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6
    • /
    • 2023
  • 과거에는 주요 항로 인근의 해양안개(sea fog)를 관측하고 이를 선박들의 안전 운항을 위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작동 원리가 유사한 기상관측용 시정계(Visibility Sensor) 또는 항로표지용 안개감지기(fog detector) 등을 설치하여, 장비가 설치된 곳 인근의 국지적인 안개를 관측하고 있었다. 하지만 먼지, 염분 및 꽃가루 등에 의한 오염이나 거미줄 같은 생물에 의한 감지 센서의 오동작이 자주 발생되어, 실시간 관측 정보의 신뢰성이 다소 낮은 상황이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해양안개 관측정보를 선박이나 이용자에게 즉각 제공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기상청과 해양수산부 항로표지과 등이 협업을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실시간 영상기반 해양안개관측 시스템을 전국 주요 항로에 있는 항로표지시설(Lighthouse) 100개 국소에 구축하여 신뢰성 있는 해양안개관측 정보를 매 10분마다 수집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대국민 서비스(웹페이지)를 수행하게 되었다.

  • PDF

콜레스테롤 우리에겐 문제없다

  • 오동환
    • 월간양계
    • /
    • 제16권통권175호
    • /
    • pp.110-115
    • /
    • 1984
  • 현재 우리의 일반적인 식생활 관습으로는 선진국의 칼로리, 단백질 섭취수준과 상당한 차이가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필요한 양의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함으로 해서 영양 부족이 염려된다. 비싼 쇠고기 소비성향에서 닭고기나 계란 등 상대적으로 싼 동물성 식품을 골고루 섭취해 섬유질 위주에서 균형된 식생활로 전환해 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섭취를 해야 한다 간혹 지방 또는 콜레스테롤 섭취가 필요이상 과다한 경우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식을 통해 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