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전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의 배치구조와 공간 변화 (Changes in Layout Structure and Space in the Vicinity of Jongno in Hanseong-bu(漢城府) in the Early 20th Century)

  • 정수인;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5호
    • /
    • pp.17-28
    • /
    • 2021
  • The Sijeon (Licensed Markets) legally permitted by the government along the Jongno and the Namdaemunro Avenues played a central commercial role in Hanyang. However,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the late Joseon era, the Licensed Markets suffered a blow and declin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and the appearance of foreign merchants. Although the Licensed Markets, which have been maintained without major changes for a long time,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exact location has not been still determined, and researches until now has remained limited for such that. In this study, based on the 1912 land survey records, the location of the Licensed Markets pre-and post- 1910 is identified, and the spatial change of the dismantling process is investigated.

한성부 시전의 형성과 조선 후기~대한제국기 시전 공간의 특징 (Formation of Hanseongbu Sijeon and characteristics of Sijeon space in Late Joseon~Korean Empire Period)

  • 정수인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4호
    • /
    • pp.29-44
    • /
    • 2022
  • This thesis is a study to Haengnang(行廊, a series of buildings) of Sijeon(市廛, licensed markets), which was built along with palaces, Jongmyo(宗廟) and roads in order to establish Hanyang(漢陽) as the capital of Joseon (朝鮮). Sijeon, built on Jongno and Namdaemun-ro, the main roads in Hanyang, created two-row lands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formed Pimat-gil as an inner road between the Jeonbang and Doga. The formation of the city proceeded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path, and the situation of the water path parallel to the flow of Sijeon was achieved. The Sijeon building was a spatial structure managed by independent rooms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unique operation method of Sijeon. The Sijeon of Hanyang had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land, architecture, roads, and waterways, and acted a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Hanyang City.

사자평 고산습지의 보전대책 (Conservation Measure of Sajapyeong Alpine Wetland)

  • 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1-149
    • /
    • 2011
  • 사자평 고산습지는 유역분지 및 기반암의 특성과 화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사자평 유역분지는 출구가 좁고, 기반양은 많은 암설을 생산하여 사면 아래로 공급한다. 그리고 화전을 위하여 삼림을 제거함으로써 표토의 세립물질이 사전천의 하상에 퇴적되어, 시전천의 유로 주변에 고산습지가 형성되었다 사자평의 습원에는 도로를 따라 우곡이 형성되었는데, 우곡은 습원으로 공급되는 사력물질과 통류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습원을 건조화 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로의 수위를 기반암 풍화층의 높이까지 높여 습원으로 통류가흐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배수로의 모양을 자연스러운 불규칙한 형태로 조정하여야 하고 시전천의 하상에 인위적인 방해물을 적치하여 시전천의 하상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 PDF

아산 시전리 유적 출토 옥기(천하석)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Jade(Amazonite) from the Sijeonri Site at Asan, Korea)

  • 이찬희;김재철;나건주;김명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219-242
    • /
    • 2006
  • 충남 아산시 시전리 유적에서 출토된 옥기를 대상으로 고고과학적 측면에서 재질분석 및 원료산지를 해석하였다. 시전리 유적은 북쪽에 평야와 하천이 발달된 남쪽의 구릉에 위치한다. 이 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인 편암 복합체가 주류를 이루며 충적층이 넓게 분포한다. 이 유적의 청동기시대 4호 원형 주거지에서 한 점의 천하석제 옥기가 출토되었다. 이 옥기는 곡옥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담녹색에 쪼개짐이 발달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유리광택에 백색 조흔을 보이며 미세벽개 및 쌍정을 갖는 주상 형태의 규산염광물이다. 다각적인 정량분석 결과, 이 옥기는 광물학적으로 조장석과 정장석이 공생하는 미사장석이며, 보석학적으로는 천하석 또는 아마조나이트(amazonite)로 불리는 장석군 광물로 동정되었다. 이 천하석제 옥기의 내부조직은 Na-단종인 조장석과 K-단종인 정장석이 벽개와 쌍정을 따라 수 ${\mu}m$의 폭으로 교대조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장석 내부는 $K_2O$의 함량에 따라 교호성장 조직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 천하석은 Na와 K가 상호치환과 교대 작용에 의하여 미사장석이라는 하나의 광물상을 이룬 것이다. 남한에서 천하석의 원산지는 충북 단양이 유일하며, 시전리 유적과 가장 근접한 미사장석 산지로는 공주시 장기면이 알려져 있다. 한편 청동기시대 천하석제 옥기가 다량 출토된 지역은 경남 서부 및 전남 동부의 남해안 연변으로서, 이 지역에서도 천하석의 원료가 될 만한 원광석의 산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청동기시대 천하석제 식옥은 부장품으로 출토되지만, 시전리 유적에서는 옥기의 생산 및 가공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유일하게 한 점이 주거지에서 수습된 것으로 볼 때, 시전리에 옥기 원료의 산지가 있거나 공방이 있었을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이 옥기의 원산지와 유입경로 및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고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