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 성숙도 평가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Models for Technical Security Maturity Level Based on SSE-CMM (SSE-CMM 기반 기술적 보안 성숙도 수준 측정 모델 연구)

  • Kim, Jeom Goo;Noh, Si C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4
    • /
    • pp.25-31
    • /
    • 2012
  • The SSE-CMM model is how to verify the level of information protection as a process-centric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systems and services to develop the ability to assess the organization's development. The CMM is a model for software developers the ability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organization, improving the model's maturity level measuring. However, this method of security engineering process improvement and the ability to asses s the individual rather than organizational level to evaluate the ability of the processes are stopped. In this research project based on their existing research information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is to define the maturity level of protection. How to diagnose an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ies, technical security system, ver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echnical security shall consist of diagnostic status.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scope of the work place and the current state of information systems at the level of vulnerability, status, information protection are implemented to assess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function. It is possible that measures to improve information security evaluation based on established reference model as a basis for improving information security by utilizing leverage.

QFD application to select CMM level 2 metrics (QFD 기법을 이용한 CMM 2단계 척도 선정)

  • 김종윤;정호원;김길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5-48
    • /
    • 1997
  •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의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은 소프트웨어 개발 공정 및 조직의 성숙도를 5개의 계층적인 단계로 분류, 평가하며, 성숙도 측정의 기준으로 계량적인 메저먼트를 각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MM에 의해 제시된 메저먼트에 근거하여 정의되고 사용된 척도의 선정에 정보시스템 개발 및 품질 관리 기법인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적용하였다. 척도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CMM의 관심 영역, 사용 척도, 척도 계산에 필요한 측정치,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에 이르는 과정을 단계적인 흐름으로 파악하여 적절한 척도를 선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BSIMM을 통해 살펴본 보안성숙도모델의 분석

  • Seo, Dongsu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48-53
    • /
    • 2016
  • 최근 들어 보안사고의 대응 방식이 네트워크 보안이나 운영체제 보안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에서 벋어나 개발생명주기보안이나 SW 공급망 보안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주목받는 것이 BSIMM과 같은 소프트웨어 보안성숙도 모델이다. 보안성숙도 모델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보안성 향상을 위해 관리자와 개발자가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본 고에서는 BSIMM을 통해 보안성숙도 모형이 갖는 특징을 소개하며, 이의 활용에 대해 살펴본다.

IT거버넌스와 IT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성숙도가 IT아웃소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n, Jun-Mo;Kim, Gyeong-Mi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29-135
    • /
    • 2007
  • IT에 대한 의존도와 그에 따른 투자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IT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IT아웃소싱 시장의 확대, 계약 규모의 증가로 인해 IT 아웃소싱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게 되면서 IT 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 등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IT 서비스 관리가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국내 SI업체 V공급사와 그의 4개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고객사와 공급사의 IT거버넌스 및 IT 서비스 관리에 대한 인식에 따른 IT아웃소싱 성공을 평가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IT거버넌스와 IT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부문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가(key informant)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IT아웃소싱 성공 평가는 고객사의 사용자(end user)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약 200개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IT거버넌스와 IT 서비스 관리 성숙도가 IT아웃소싱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T 아웃소싱 성과를 평가하는 차원들끼리도 전체 만족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IT거버넌스와 IT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성숙도가 IT아웃소싱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함으로써 IT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IT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시스템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Level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Management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수준 평가방안)

  • Jung, Seung-Ho;Hwang, Chong-S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247-250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진사례, 관련 표준, 지침을 분석하여 공공부문 운영관리업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11개 업무 분석영역을 도출하였고 각 업무영역의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공공부문 운영관리 업무에 대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모델은 특정 이슈 발생시 일부 중앙부처의 요구에 따라 공공기관들을 대상으로 행하여진 단편적인 운영수준 점검 분석 활동들이 국내 실정에 맞게 운영업무 전반에 대한 종합적, 체계적 수준평가를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게 하였으며, 기관 내부적으로도 자체평가를 통해 운영관리업무 성숙도 제고를 위한 핵심요소를 손쉽게 식별하고 효율적인 품질향상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evaluating and improving methods on PMIS for performing strategy of construction company. (전략수행을 위한 PMIS 진단 및 개선방안)

  • Lim, H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3-89
    • /
    • 2007
  • This study started with many experiences about maturity evalu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of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need for IT systems for performing of strate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1)to evaluate processes and IT systems based on CSF in strategy perform phase, 2)to propose method of sustainable evaluation and improvement, and 3)with KPI and CSF, to evaluate and improve PMIS. Moreover, we suggested IT architecture framework for basement of improving process and resources.

  • PDF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Using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in Software Intensive Systems (지능형 성숙도 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집약 시스템의 전투실험 프로세스 설계 및 적용)

  • Kang, Dong-Su;Yoon, Hee-B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5
    • /
    • pp.668-673
    • /
    • 2007
  • We propose the design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for software intensive systems using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and suggest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target searching capability in smart UAV. For this, we design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to evaluate the intelligent degree of the software intensive systems considering the domain and intelligent level. Then we classify the IS0/1EC-12207 process and CMMI process as LITO domain for designing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map the classifed process to the five factors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and derive the process as warfighting experiment element and phase. Based on the derived process, we design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using the IDEF0. Finally we apply the proposed process to the target search capability and suggest the results which are required to develop and acquire the smart UAV.

The maturity model based mutual influence between software project management domains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영역간의 상호영향을 고려한 성숙도 모델)

  • Jeon, Sun-Cheon;Hong, Sa-N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50-858
    • /
    • 2008
  • 최근 공공기관 및 금융권에서는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통합으로 프로젝트 규모가 대형화되고 또한, 프로젝트 수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프로젝트 관리 영역간의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선행 연구를 통하여 프로젝트 관리에 중요한 영역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범위, 일정, 품질, 인력, 위험"의 각 영역들간의 상호 미치는 영향도의 분석과 각 영역의 진행 상태를 "계획, 실행, 완료"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영향도와 수행도의 결과를 종합하여 프로젝트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T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 영역들간의 영향 분석이 실증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또한 각 영역의 진행상태를 측정 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에서 더욱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프로젝트 관리와 감리 수행 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search to improve the Efficiency through Maturity Model System of Manufacturing Plant (제조공장의 성숙도 모델 시스템을 통한 효율성 향상 연구)

  • Jinseok Kim;Younggon Kim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4 no.6
    • /
    • pp.99-105
    • /
    • 2024
  • Manufacturing plants around the world are facing rapid changes in the wak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uth Korea is also rapidly changing with government support. However, while building an intelligent factory, there is a lack of evaluation factors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manufacturing plants, insufficient leveling of selected checklists, and insufficient planning and on-site verification of improvement work.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esented a maturity model using work weighting using a practice model in the business process of a manufacturing plant. The basic manufacturing plant's business process was divided into 6 business management categories, and the maturity model was classified into Step A, Step B, and Step C levels, and each level was given a maturity level of 1 to 5. Through this, each task function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ailed level of maturity, and each task was weighted for analysis and evaluation by level, and improvements to business functions and processes were proposed. In addition, the system was built through UML-based design to implement the Maturity Model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enable quantitative evaluation, level diagnosis, and improvement items using work weigh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medium- to long-term improvement plans and derive short-term improvement work through level diagnosis centered on field strategies.

The Learning Ability Checking system based on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능력성숙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학습능력 진단 시스템)

  • 방영일;구본경;허용도;김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714-71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진단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질문을 제시하고 질문의 응답여부에 따라 자신의 학습 능력을 평가받고 향후 자신의 능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학습능력 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능력성숙 모델(CMM)을 기반으로 질문 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전단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직업에 따라 별도의 질문 리스트를 준비하였고 질문 리스트와 메시지 및 가산점을 조정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