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스템 성숙도 평가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MMI와 TMMi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Safety 성숙도 모델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oftware Safety Maturity Model using CMMI and TMMi)

  • 이승목;김영곤;안경수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87-98
    • /
    • 2020
  • 최근 IoT,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분야가 융합되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산업시대가 도래하였고 전 사업군으로 확대 되었다. 이 중심에는 소프트웨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다양한 사업군으로 적용, 보편화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안전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소프트웨어 Safety는 개발 관점에서만 활동이 집중적으로 맞춰져 있고, 조직적인 개선 활동과 평가 체계 수준에 대해서는 다소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진사항을 보완하고자 소프트웨어 Safety 성숙도 모델을 정의하고, 각 성숙도 레벨의 Process Area를 명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Safety 성숙도 모델을 기반으로 조직관점의 Safety 확립과 함께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Safety 개선 활동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방 핵심기술의 성숙도(Readiness Level)평가를 활용한 국방기술가치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Defense Technology Valuation Using the Readability Level Assessment of Core National Defense Technology)

  • 이형석;신충진;강석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710-1719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의 융합과 체계통합기술이 고도로 복잡하게 요구되는 국방기술을 이해하고, 분야별 특성이 반영된 가치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치평가 대상 무기체계의 기술 수준의 척도, 기술 간의 통합(체계통합기술)척도, 제조준비 및 성숙도 척도를 측정요소별 항목에 맞추어 측정하여 시스템성숙도를 확인하고, 시스템의 성숙도를 활용한 핵심기술의 계량적인 가치예측모형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방기술의 가치를 기술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가치평가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각 분야의 역량있는 기술전문가들에 의해 분야별 기술적인 특성이 반영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되고, 전체 시스템의 완성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성숙도(SRL)를 활용하여 국방기술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FAIR 원칙 기반 메타데이터 평가 프레임워크 (FAIR Principle-Based Metadata Assessment Framework)

  • 박진효;김성희;윤주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2호
    • /
    • pp.461-468
    • /
    • 2022
  • 최근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으로 디지털 플랫폼에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데이터 관련 분야에서 (메타)데이터 품질, 서비스, 기능 등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FAIR 원칙을 데이터 품질 평가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럽 오픈 데이터 포털에서는 FAIR 원칙 기반의 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매년 보고서로 공개하고 있다. 이에 반해 공공데이터 포털에서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럽 오픈 데이터 포털에서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FAIR 원칙을 국내 여러 공공데이터 포털 및 데이터 거래를 위해 구축된 빅데이터 플랫폼에 데이터 성숙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모델 제안하고 평가를 시행한다. 제안한 성숙도 평가 모델은 공공데이터 포털 데이터셋 품질을 평가하는 모델이다.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상호운용 능력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Interoperability Capability Model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omponent Based System)

  • 류동국;김기두;이상일;김영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418-420
    • /
    • 2004
  • 정보화가 진전됨에 따라 많은 컴퓨터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초기에는 독자적인 운영에 만족하였으나 시스템의 효율성이나 사용자의 요구로 인하여 시스템간의 정보교환에서 기능교환에 이르기까지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이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 기반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이 발전하면서 컴포넌트의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이 시도되고 있고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 또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 국방성에서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하여 사용하는 LISI 모델을 확장하여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외 상호운용성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상호운용 능력 모텔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컴포넌트 상호운용 능력 모델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각 개발 단계에서 상호운용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상호운용 능력 모텔은 상호운용 성숙도 모델로 확장하여 기 개발된 시스템의 상호운용 성숙도 측정이나 향상에 사용할 수 있다.

  • PDF

미래 제조시스템 성숙도평가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Assessing Maturity of Future Manufacturing System)

  • 이정철;장태우;박종경;황규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78
    • /
    • 2019
  • 스마트공장 등으로 변화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제조시스템의 현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 목표와 과제를 도출, 추진하여 제조경쟁력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기본적 활동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미래 제조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구성요소 분석과 성숙도평가에 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제조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모델, 개발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등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공장 관련 성숙도평가 연구들을 통해 미래 제조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구조모델을 설계하였다. 평가모델, 변환모델까지 포함하는 메타모델을 설계하고 프레임워크 개발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미래 제조시스템의 성숙도평가를 위한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스마트공장 평가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는 미래 제조시스템의 성숙도평가를 위한 기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무인항공기의 표적탐색 능력 소요판단을 위한 지능화 성숙도 모델 설계 (Design of Intelligence Maturity Model for Judging a requirement of Smart UAV's Searching Ability)

  • 강동수;윤희병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2호
    • /
    • pp.310-313
    • /
    • 2006
  • 본 논문은 스마트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거나 획득시에 요구되는 전투실험 수행 중 지능화 정도에 대한 평가 및 실험방향을 제시를 위한 지능화 성숙도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표적탐색 소요검증 전투실험 절차를 제시하고, 지능화 정도를 4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요구되는 지능수준을 제시한다. 분류된 지능수준별로 기술수준, 동작수준, 상호운용성 수준 영역의 4단계 각 수준별 요구 능력을 분석, 제시하여 지능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능화 성숙도 모델을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표적탐색 소요판단을 위한 전투실험시 활용 가능한 중점분야를 지능화 성숙도 모델 영역별로 식별하고, 단계별 식별된 중점분야를 실험할 수 있는 전투실험 평가요소를 제시한다.

  • PDF

기업의 정보보호수준 및 성숙도 진단을 위한 정보보호수준 통합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정희조;김진영;임춘성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44
    • /
    • 2004
  • 조직의 정보보호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을 정확히 평가하고 이를 개선시킬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나 평가모델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 부문별 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지표나 기준이 필요하고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정보보호 시스템들의 평가방법론이 연구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호와 관련된 기술적 요소와 관리적 요소, 물리적 요소를 기본으로 하는 정보보호 지표체계를 구성하고 정보보호수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정보보호 성숙 5단계 모형을 통해 서로 매핑 될 수 있는 정보보호수준 통합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통합평가시스템은 기존연구와의 비교 및 사례적용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행의 성숙도 분석 (The Analysis of Maturity on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a Construction Company)

  • 오병섭;권창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0-31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올바른 정착과 지속적인 개선을 통한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시스템 성숙도평가를 제안하는데 있다. KOSHA 18001시스템 실행의 현재 수준파악과 성숙도 측정의 검증을 통한 결과로서 다음 내용으로 요약된다. 시스템의 지속적인 성숙도 등급 향상을 위해서는 경영층 인식부문(의사결정) 46.0%, 본사지원활동 32.0%, 현장실행참여 22.0%로 중요도 로 검증되었다. 본사/현장의 활동은 위험성평가, 안전보건 재해예방활동, 성과평가 및 모니터링, 자원관리 및 지원, 경영검토 및 개선 등 활동의 중요도 순으로 실행 우선순위가 결정되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은 시스템의 강점, 약점, 개선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활동과 연계시켜야 시스템을 정착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셋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행의 성숙도 등급을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였다.

무기체계개발에서 작전운용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성숙도 평가방법 (On an Improved Method for System Readiness Assesment to Meet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in Weapon Systems Development)

  • 권일호;이재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02-3610
    • /
    • 2013
  • 현대 무기체계는 첨단화와 복잡성의 증가로 시스템개발 실패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례분석결과 원인은 원래의 시스템 운용개념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미성숙 기술의 적용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방위사업청에서는 무기체계개발시 핵심요구성능으로서 작전운용성능의 충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시스템개발시의 위험관리 방법중의 하나로서 기술성숙도 평가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것은 개별기술에 대한 평가방법이므로,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술간 통합에 대해서는 미흡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스템 성숙도 평가 모델이 제시되었고, 이와는 별도로 시스템개발의 난이도의 도입을 통한 리스크 관리 모델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기술간 통합의 효과와 시스템개발 난이도를 동시에 고려한 모델은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무기체계개발의 궁극적인 목표인 작전운용성능 충족의 관점에서 도출된 평가모델은 제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개발에서 작전운용성능을 충족시키면서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요소기술간 통합과 시스템개발 난이도를 동시에 고려한 시스템 성숙도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무기체계 연구개발단계에서 개선된 시스템 성숙도 평가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Assessment Modules of Database System)

  • 박미영;김민정;승현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5-329
    • /
    • 2008
  • 본 연구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개선 성숙도 모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우선 일차연구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 평가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모듈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의 목적을 수행한다. 첫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를 위해 ISO/IEC 9126시리즈를 기반으로 품질평가 특성과 부특성을 선정하고 평가 모듈(메트릭)을 개발한다. 둘째 산업계와 학계간에 인지하고 있는 품질 평가특성의 중요도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품질 평가 모듈을 개발하여 정량적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실증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품질 평가를 통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품질 개선 성숙도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