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스템 면적 효율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9초

제외지 지하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설계기술 (Design Technique of First Flush Treatment System Using Waterside Land)

  • 서동일;구영민;김재영;김병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52-652
    • /
    • 2015
  • 도시유역의 소하천은 불투수 면적의 증가 및 우수관거의 설치로 인해 오염물질 및 강우의 유달률이 증가한 반면 침투 및 저류 기능의 감소로 인해 지하수위가 저하되어 비강우시에 현저하게 유량이 감소되어 하천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유역에 저영향개발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은 과다한 면적을 필요로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시유역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의 유량과 수질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하천 제외지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초기 우수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도시유역에서 강우에 의해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소위 초기세척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침전시스템을 설치하고 및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형 여과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여과 시스템에서 섬유필터를 이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침전 및 여과시스템에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시 소하천의 유량에 따라 방류를 조절함으로써 도시 하천의 건천화 감소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적용 결과와 자동모니터링 스시템을 활용하는 종합설계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범 유역에 SWMM을 구축하고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 및 SWMM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연구대상 지역에서 처리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초기우수유출량의 적정량은 초기강우 4시간 또는 6 mm의 누적강우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현장의 지형여건에 따라 시스템의 설계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미래의 셀룰러 이동통신에 대한 시스템 측면에서의 재 조망

  • 황영주;고승우;김성륜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4호
    • /
    • pp.70-76
    • /
    • 2013
  • 셀룰러 이동통신은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가격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간 무선 통신의 링크 성능 향상을 위해서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셀의 크기를 줄여서 단위 면적당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비해서 그 결과는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셀의 크기를 줄이는 Small Cell에서 앞으로 얼마나 Cell의 크기가 줄어들어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면서, 실제 시스템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Relay에 대한 재 조망을 하고자 한다. 즉, Small Cell과 Relay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서 미래 이동통신의 다양한 설계 목표 (주파수 효율, 에너지 효율, 저 비용)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미래 셀룰러 시스템은 Macro Cell과 Small Cell이 혼재함과 동시에 Relay가 적절히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간 화재 특징 추출을 위한 임베디드 매니코어 프로세서의 디자인 공간 탐색 (Design Space Exploration of Embedded Many-Core Processors for Real-Time Fire Feature Extraction)

  • 서준상;강명수;김철홍;김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1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연산량이 요구되는 화재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위한 최적의 매니코어 프로세서에 대한 디자인 공간을 탐색한다. 최적의 매니코어 디자인 공간을 선택하기 위해 매니코어를 구성하는 프로세서 엘리먼트 (PE)의 개수와 로컬 메모리 사이즈를 변화시키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성능, 에너지 효율 및 시스템 면적 효율에서 최적인 매니코어 구조를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256{\times}256$ 해상도의 30 프레임으로 구성된 화재/비화재 비디오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움직임 검출, 색상 분할 및 이산 웨이블릿 변환으로 구성된 화재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여섯가지 매니코어 구조(PEs=16, 64, 256, 1,024, 4,096, 16,384)를 사용하여 모의 실험한 결과, 모든 화재/비화재 비디오 영상에 대해1,024개와 4,096개의 PE를 갖는 매니코어 구조가 각각 최적의 시스템 면적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보였다. 또한, 실험에서 사용한 여섯가지 매니코어 구조 모두가 실시간 비디오 처리에서 요구되는 초당 30 프레임 처리 기준을 만족하였다.

0.1% 메모리 비트 결함율에서 칩 면적 요구량이 적은 영상 데이터 오류 복원 방법 (An Area-Efficient Error Recovery Method for Image Data Memory at 0.1% Memory Bit Error Rate)

  • 이강;용환기;정경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197-202
    • /
    • 2006
  • 멀티미디어 응용 환경에서 데이터 메모리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이를 복원시키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영상 복원 방식을 제안한다. H.264 복호화기의 예를 이용하여 최대 BER=0.1%인 메모리 결함율의 환경에서 본 논문에서 개발한 방식의 효율성을 기존의 메모리 결함 복원 방식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식에 의하여 복원된 영상의 질은 거의 원본과 같은 수준으로 뛰어나다. 본 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된 하드웨어가 소비하는 전력은 전체 시스템 전력량의 약 0.05%이지만, 면적 요구량은 기존 방식의 1/56 이하에 불과하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제품 설계에 제안된 방식을 사용한다면, 결함이 존재하는 메모리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련 제품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배풍기 효율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설계(II) (Design of Exhauster System for High Efficiency Drive(II))

  • 배진환;안진우;이동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82
    • /
    • 2017
  • 기존의 배풍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모터와 제어방식 그리고 임펠러 형상에 변화를 주는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다. 본 논문에서는 임펠러 속도는 5500rpm으로 증가시키고 크기는 320mm에서 250mm로 줄였으며 효율과 최대 풍량을 향상키기기 위해 임펠러의 Hub/Tip 비율을 줄이며, 날개각도에 변화를 주는 방식을 제안한다. 여기서 Hub/Tip 비율이 줄어들면 임펠러 날개의 면적이 늘어나 유량이 증가하게 되고, 임펠러 중심 거리에 따른 날개 각도를 변화시키면 배풍기 속도에 대한 풍압과 풍량이 달라져 배풍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설계된 구동용 SRM과 임펠러의 설계에 따른 운전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석하고자 한다.

  • PDF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구조물 유지관리 시스템 적용 (Application of Struc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노태호;이종출;이영도;박규열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3년도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5-148
    • /
    • 2003
  • 좁은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현대의 구조물들은 더욱 고층화 및 대형화가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구조물들에 대한 안정성 및 유지관리의 효율적인 자료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구조물의 안정성에 관여된 여러 가지 요소들을 보다 종합적이며 효율적인 자료의 관리가 뒷받침이 되어야 보다 정확하고 경제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효율적이며 조직적인 자료관리를 위하여 GIS를 적용하여 구조물의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효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ACP 핫셀의 방사선안전관리 시스템

  • 국동학;정원명;구정회;조일제;이은표;유길성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349-349
    • /
    • 2004
  • 차세대관리 종합공정(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은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제시된 건식처리공정으로 사용후핵연료를 금속으로 전환하고, 고발열성 핵종(Cs, Sr)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사용후핵연료의 부피, 발열량 및 방사선의 세기를 최대 1/4까지 감소시키고, 처분용기의 소요량과 처분장의 소요면적을 1/2 이상으로 축소함으로서 처분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연구개발 중에 있으며, 이의 실증시험 수행을 위하여 ${\alpha}-{\gamma}$ type의 핫셀을 건설 중에 있다.(중략)

  • PDF

모바일 초음파 영상신호처리를 위한 매니코어 프로세서 디자인 공간 탐색 (Design Space Exploration of Many-Core Processors for Mobile Ultrasound Image Signal Processing)

  • 최병국;김종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83-18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초음파(mobile ultrasound) 영상신호의 빔포밍 알고리즘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및 저전력을 만족시키는 매니코어 프로세서에 대한 디자인 공간 탐색 방법을 소개한다. 매니코어 프로세서의 디자인 공간 탐색을 위해 매니코어의 각 프로세싱 엘리먼트(Processing Element, PE)당 초음파 영상신호 데이터의 수를 변화시키는 실험을 통해 실행시간, 에너지 효율 및 시스템 면적 효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매니코어 프로세서 구조를 선택하였다.

여과포에 의한 분진포집기술 (Fabric Filtration for Particulate Matter Collection)

  • 박영옥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3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8-73
    • /
    • 1993
  • 여과포에 의한 분진 포집기술은 다른 분진포집기술에 비해 가장 우수한 집진성능을 나타낼수 있는 집진기술로서 최근에 와서는 분진발생공정, 연소설비 및 폐기물 소각설비의 중금속 물질, 유해 기체 및 분진의 동시포집 적용 등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적응되어 운전되고 있다. 배출기체의 악조건과 습도가 다량 함유된 조건에서는 여과포 집진장치의 적용이 어렵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처리 기체의 조건 및 포집분진의 특성에 적합한 여과포의 개발과 탈진방식(cleaning method)의 개선으로 인해 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여과포에 의한 분진포집기술은 장치를 통과하는 배출기체의 속도가 다른 집진기술에 비해 느려 여과포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서 장치의 설치면적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여과포를 원간으로 봉재하여 서로 접근시켜 많은 갯수를 다단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연속탈진시스템(on-line cleaning)을 채택함으로써 장치에 소요되는 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여과포에 의한 분진포집기술의 산업체 적용에서 장치의 압력손실은 약 100 - 100 $mmH_2O$ 정도의 범위가 대부분이고 분진 포집효율은 거의 99.9%에서 99.99% 정도 달성이 가능하다[1,2,3].

  • PDF

OFDM 시스템을 위한 radix-8/4/2 가변 FFT 프로세서의 설계 (Design of a Radix-8/4/2 variable FFT processor for OFDM systems)

  • 김영진;김형호;이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87-297
    • /
    • 2013
  • 본 논문은 OFDM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가변길이 radix-8/4/2 FFT 구조를 제안하였다. radix-8/4/2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안한 FFT 프로세서는 shared memory 구조를 사용하여 하드웨어가 단순하고 적은 면적을 차지한다. 메모리 사이즈를 줄이고 데이터들 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효율적인 In-place 메모리 엑세스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회전인자(twiddle factor)를 위한 ROM 기반의 lookup 테이블 방식을 대신하여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회전인자 발생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FFT 프로세서는 802.11a, 802.16a, DAB, DVB-T/H 그리고 xDSL에서 요구하는 모든 FFT 샘플링 포인트인 64, 256, 512, 1024, 2048, 4096 그리고 8192 포인트의 FFT 연산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