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설치기준

Search Result 73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Major Standards and Actual Conditions of Evacuation Safety in Child Care Facility (보육시설의 피난안전 관련 주요 기준 분석 및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Park, Jae-S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3
    • /
    • pp.93-102
    • /
    • 2009
  • Recently, the number of child care facility and social demand for high quality child care service increase suddenly. Especially, social atmosphere about fire safety is more sensitive in Korea.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in a child care facility are composed of early childhood having difficulty to evacuate, and therefore the number of stories of a building and the appropriateness of a evacuation equipm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vacuation safety. In this study,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the evacuation safety are dealt with the present conditions of child care facilities,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evacuation equipments, and so on. The study brings to a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regulations regarding fire safety, to connect fire-fighting facilities for design standards and operations of emergency preparation equipments, to improve the regulations for fire protection system such as the sprinkler system, and to restrict the facilities having fire hazards.

Standard for Quake Prevention Design of Fire Extingushing System (소화설비 시스템의 내진설계 기준안 정립)

  • Lee, Chnag-Wook;Kim, W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42-45
    • /
    • 2012
  • 최근 국내 지진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지진 시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규정할 수 있는 개정법률안이 발표되었다.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 9조의 2에 신설되어 있으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내진성능이 확보된 소방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그 세부기준은 아직 제시되어 있지 않다.

  • PDF

Comparison of rainwater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actual capacity-standard capacity of storage tank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빗물이용시설 저류조 실제용량-기준용량에 따른 빗물이용률 비교)

  • Sim, Inkyeong;Park, Yoonkyung;Kim, Reeho;Park, Jo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8-4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요-공급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빗물이용률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빗물이용시설 공급충족률(필요수량 대비 빗물이용량), 빗물보장률(전체일수 대비 빗물이용일수), 빗물이용률(빗물이용시서용량 대비 빗물이용가능량)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업무시설, 학교, 체육시설(공원), 공동주택에 대해 수요처별 수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고수요 75%, 중수요 50%, 저수요 25%를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별 실제 용량과 기준용량에 따른 빗물이용률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설치된 빗물이용시설이 잘 계획되었는지, 과소 계획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빗물이용률 분석을 위해 빗물이용시설 유형별 2개소씩 선정하였으며, 빗물이용시설 실제용량 및 기준용량(집수면적(m2)×0.05 적용)에 따른 수요 시나리오별 빗물이용률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물수지 분석 도구를 이용하면 다양한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운영 결과를 향후 설치될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이전에 확인하여 최적 운영방안 도출 및 저류조 용량 계획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6 s.183
    • /
    • pp.90-96
    • /
    • 1984
  • PDF

Criteria of Installing Delineators Considering Human Factors (인간공학적인 시선유도시설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Park, Je-Jin;Park, Tae-Hoon;Ha, Tae-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7 no.2
    • /
    • pp.100-109
    • /
    • 2008
  • Traffic accidents at night occur more than any other time because of improper road light facility and delineators. Therefore, cost-effective criteria of installing delineators are needed instead of expensive road light facility, especially, on rural road including light volume of traffic. This paper presents the criteria of installing 'Chevron Alignment Sign' considering driver's visual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Raised Pavement Marker' considering critical encroachment angie of both straight section and curve one in order to reduce both the number of accidents on curve sections and the number of road encroachment accidents,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behaviors can be expressed by visual angle involving curve radius and intersection angle. The estimated installing angles are $1^{\circ}{\sim}2.5^{\circ}$ by radii, which is based on changes in sensitivity across visual field by exogenous attention. Also, the raised pavement marker is installed every 2m, 3m, and 4m considering critical encroachment angles by radii.

  • PDF

방재상식 - 개정된 소방법 시행규칙 및 시설기준

  •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 방재와보험
    • /
    • s.23
    • /
    • pp.32-34
    • /
    • 1984
  • 소방법 시행규칙과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위험물제조소등 시설의 기준등에 관한 규칙이 84년8월16일 개정 공포되었다. 아래는 그 주요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of Manhol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considering Environment where Substandard Manhole Occur (불량맨홀이 발생하는 설치환경에서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맨홀유지관리시스템 연구)

  • Son, Hong Min;Hwang, Seong Hwan;Kang, Ho Yeong;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33-433
    • /
    • 2016
  • 최근 도심지는 급격한 인구집중과 교통량의 증가로 인하여 맨홀사고 발생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맨홀들은 신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심지에서 시설용량 부족 및 침하, 균열, 단차 등 노후화로 인하여 유지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경제적 여건과 사회적 인식의 부족으로 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가능한 범위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맨홀시설의 기준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하여 내구수명 연장을 통한 도시화, 인구집중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우리나라 맨홀의 설치기준과 외국의 설치기준을 비교하여 상이한 점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기준이 무엇인지 연구한다. 또한 도심지 맨홀의 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성분석을 통하여 기존 하수도 시설기준을 보다 체계적이고 세부적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성과는 맨홀의 유지관리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맨홀 설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Hot Issue - 화평법 및 화관법 주요 내용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2
    • /
    • pp.94-104
    • /
    • 2015
  • 환경부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시행규칙을 공포하고 지난 달부터 시행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두 법안은 화학물질의 체계적인 관리로 사전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국민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됐다. 화학물질의 생산 유통 등 모든 과정의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우선 화평법 시행에 따라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톤 이상 제조 수입되는 기존 화학물질에 대한 등록이 의무화되고 등록 신청 기준도 강화된다. 다만 제조 수입량이 연간 1톤 미만일 경우 등록 신청 제출 자료를 정식 등록 9개보다 적은 4개로 간소화하고 등록기간도 30일에서 3~7일로 줄였다. 또 유해물질 함유제품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생활화학 제품 15종을 우려제품으로 지정해 안전 표시기준을 준수하도록 했다. 관리대상 품목은 세정제 합성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코팅제 접착제 방향제 탈취제 방청제(금속부식 방지제) 김서림방지제 물체염탈색체 문신용염료 소독제 방충제 방부제 등이다. 화관법에서는 유해 화학물질 취급 때 공통 적용되는 46개 준수사항을 규정하고 물질별로 구체적인 취급기준을 고시하도록 했다. 취급시설의 설치 관리기준도 시설 종류별로 구체화했다. 새로 도입되는 장외 영향평가는 취급시설 설치자가 화학사고 발생 시 사업장 주변지역 사람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해 시설을 안전하게 설계 설치하도록 규정했다. 과징금과 행정처분 기준도 구체화했다. 행정처분은 2년 내 위반 횟수에 따라 경고 개선명령 영업정지 허가취소로 차등화하고 사고가 일어나면 사상자와 사업장 밖 피해액을 기준에 따라 산정해야 한다. 본 고에서는 두 법률의 주요 내용과 함께 주요 문의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이해를 도우고자 했다.

  • PDF

A Study on the Escape Measures and Fire Protection System Improvement in Discount Stores (대형할인점의 피난대책 및 소방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홍성우;이영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4
    • /
    • pp.20-27
    • /
    • 2002
  • This study in focused on propos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refuge and fire-fighting facilities in large shopping malls that are radically spreading. The main subjects are as follows. - The refuge measure for large shopping malls - Problems of installing the refuge facilities in stores and the solutions - Problems of installing the incendiary facilities in stores and the solutions - Problems of installing the indoor fire plug in stores and the solutions As result of the study, it has turned out that escape stairs which are set up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size in the process of design plan, have to be decided for their amount, position, specification, etc,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esidents. It is also required to tighten a standard of installing a sprinkler instead of lightening the fire-fighting section in stores, considering obstacles due to facilities installed and procurement of the escape path. In addition, it needs to lighten a standard of installing the indoor fire plug, which is voluntarily set up at the store section incase of installing a sprinkler to make a practical fire-fighting facility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