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별 특성

Search Result 1,04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Certification for Green Building Revitalization in School - Focused on th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 (학교시설의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인증현황 분석 연구 - 경기도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

  • Kim, Jang-Young;Kim, Sung-Joong;Lee, Seung-Mi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4 no.3
    • /
    • pp.9-17
    • /
    • 2015
  • In this paper, there are several analysis on G-SEED,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Energy Performance Index, Energy Saving Plan about how they are applied by classification and planning standard. The analysis result found out that G-SEED has low select percentage by having difficulties to managing and additional cost when the each class is selected. And also,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in school is planed in comparably simple design and similar size and also mostly uses high efficient machines, which was in high lever comparing to the system in facilities in other uses. In the case of EPI, there are differences on acquiring grades by each region. Especially, Gyung-gi region has a low grade on architecture part comparing to other parts, which seems to acquire more grades by strengthen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result from the three standards, many facilities has only formal plan to pass the required standard without considering specialities of each buildings, which has a tendency to have a pattern to have a minimum criteria. However, School has a symbolic building which has a obligation to be the base of the aim for growing green energy buildings and green education for students. Therefore, planning with understanding of specialities of the facility, having various and rational evaluation standards from the planning of the building is necessary.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s of Community Greenway in Nam-Gu, Incheon (인천광역시 남구 커뮤니티형 그린웨이 조성방안 연구)

  • Park, Suk-Hyeon;Han, Bong-Ho;Choi, Jin-Woo;Choi,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1
    • /
    • pp.16-28
    • /
    • 2015
  • This study is suggested to enlarge the green area and to connect and improve the present green areas by deriving the lines of community greenway using living areas and community spaces close to the life of residence in Nam-g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 of establishing greenway for the formation of community in which the residence can grow the community spirit and love their living space much more. Land-use status, green coverage ratio, and impermeability paving ratio are investigated. The community facilities are classified. The highest is educational facility, which is 7.7%, the green facility is 1.9% and the total area of community facilities which is 21.4%. The total area of Nam-gu is divided into 31 zones in total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mail roads and reserved land of railroad and urban development. The total 20 line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chosen and the total length of lines is 18.2km.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reenway lines are overall estimated according to the land-use, the street environment and the community facilit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mmunity greenway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n the function and purpose of greenway, the present status of land-use and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y.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the 6 greenway types are suggested considering the interconnection. The method of establishment of community greenway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unction and purpose, the principle of land-use and the principle of use of the facilities. Furthermore, the planting methods suitable to each greenway type are suggested in the building planting case of wall planting, roof planting, veranda planting, etc., and in the complex planting of parks, schools, roads, parking lots and other small areas.

Peak-time Characteristics and Parking Apron Requirements of Korean Airports (국내공항의 항공기 운항 첨두 특성과 첨두시 주기장 소요에 관한 연구)

  • Yoo, Seung-Gwon;Lee, Yeong-H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6
    • /
    • pp.27-42
    • /
    • 2003
  • The basis for planning airport development is the specific demand at peak hour among various aviation demands. The demand at peak hour is regarded to be the source which enables us to estimate the size requirement and capacity of an airport facility. The distribution type of peak hour-operation depends on the difference of aircraft route, geographical location of airport, passengers and cargo. The demand at peak hour is calculated with peak hour factor. So far, the features of peak hour adopted for domestic airport construction plan have been based on the foreign research results. However, it is officially unconfirmed whether the various peak hour characteristics or peak hour factor suggested from foreign studies can be compatible with Korean state or not. In this study, the aircraft operation pattern and the peak hour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with hourly data using the operation schedule of an airport for the last 5 years and the actual result statistics of Korean air transportation by airport through the recent 10 Years. After the peak hour factor of the airports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peak hour factor by annual operation frequency is suggested for Korean airports.

A Study on the Domestic Cut Slope Management Plan Reflecting Quality according to Rock Types (암종별 특성이 고려된 국내절취사면의 유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Chang-Gun;Lee, So-Young;Lee, S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2
    • /
    • pp.37-44
    • /
    • 2008
  • The collapse of the cut slope occurs owing to mixed effect of many variable factors such as geological, geographic, and hydraulic factors.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complicated geological factors on the stability of the cut slope during various management stages. This study proposes a management plan for domestic cut slope for a series of the rock masses, based on the collapse charateristics of various rock masses and management case studies.

크루즈선의 조종특성 및 제주 강정항 수역시설 적정성 분석 연구

  • 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85-487
    • /
    • 2013
  • 현재 건설 중인 제주 강정항에 15만톤급 크루즈 선박의 운항안전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3차례의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조종성능에 대한 연구가 미비했고, 크루즈 선박의 조종성능을 정확하게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에 반영할 수 없었던 시스템적인 한계로 인해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운항 안전성 평가 결과는 사회적으로 많은 갈등과 마찰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인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조종특성을 바탕으로 제주 강정항 건설 과정에서는 논란이 되었던 수역시설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선회장, 항로 법선, 방파제 통과 선속 등에 대하여 국내외 각종 설계지침과 실측 자료, 항만 운영 사례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우수한 추진 및 조종성능을 감안하면 제주 강정항의 수역시설 규모는 적정하다고 판단되며, 초대형 크루즈 선박의 안전 입출항에도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Wireless Context-Aware Transmission over underground closed environments (지하 폐쇄환경을 통한 무선 상황정보 전송에 관한 연구)

  • Oh, Jeong Seok;Park, Jang Sik;Kwon, Jeong 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062-1064
    • /
    • 2009
  • 지하 산업시설에 u-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습득인자인 상황정보를 목적지에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며, 이제까지 유비쿼터스 분야에서 공통기술 위주로 연구 및 개발되었기 때문에 시설별 특성을 고려한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시가스 지하 폐쇄환경인 가스밸브박스와 전용통신 시설이 존재하는 정압기까지 상황정보 전송을 위해 환경특성을 추출하고, 적용 가능한 무선 방식을 시험하며 환경특성과 시험결과에 따라 적절한 무선 상황정보 전송방식의 토대를 제공한다.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Database System for the Forest Fire Factors (산불발생인자의 DB 구축 및 해석)

  • Park, Young Ju;Lee, Hae Pyeong;Lee, Si Young;Hwang, Me J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3-19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요인별로 집적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써 산불예방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산불발생 시, 산불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발생인자는 크게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와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 분류하고 연료 및 기상조건 관련 인자는 수종별, 부위별, 지역별, 고도별, 월별 산림연료들의 구성 요인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수종별로는 생강나무, 초피나무, 조록싸리, 산초, 개암, 청미래, 고추나무, 철쭉, 조릿대, 털진달래 등 관목류 10개 수종과 김의털, 방아풀, 주름조개풀, 칡, 엉겅퀴 등 초본류 5개 수종 그리고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해송, 구상나무, 주목 등 6개의 침엽수 및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 산개벚나무, 고채목, 개서어나무, 굴거리나무, 서어나무, 산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나무, 단풍나무 등 15개의 활엽수로 구성된 교목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부위별로는 생엽, 낙엽, 가지, 수피, 솔방울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했으며, 지역별 구성은 강원(삼척/태백산), 경북(응봉산), 경기(용문산), 충북(월악산), 충남(계룡산), 전북(덕유산), 전남(월출산), 부산(금정산), 제주(한라산) 등 9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도별로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태백산을 중심으로 소나무와 신갈나무 생엽을 대상으로 900m, 1000m, 1100m, 1200m, 1300m, 1400m, 1500m 고도를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월별 분석데이터는 소나무 생엽의 경우, 2008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매월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굴참나무 생엽의 경우에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6월부터 10월까지 생엽을 채취할 수 있는 기간 동안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열적특성 관련 인자로는 착화특성(무염착화온도, 발염착화시간, 소염시간, 화염지속시간), 발열특성(총열방출량, 평균열방출률), 발연특성(총연기방출량, 최대연기밀도, 최대밀도시간) 등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산불발생인자 DB구축으로 부터 산불발생 위험도 및 동태예측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별 연료별 산림연료의 열적특성 DB로 부터 산불발생시 산불 위험도에 대한 기술정립과 응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도 산림연료 종류별 열적특성을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보존지역과 같이 문화적 가치가 높은 시설이나 주유소, 가스 충전소 등의 위험 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위한 대처 방안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어 산불 피해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alyses of Actual State and Structural Safety of Regionally Characterized Greenhouses in Korea (지역별 특성화 온실의 실태 및 구조적 안정성)

  • 김문기;남상운;손정익;윤남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11a
    • /
    • pp.70-73
    • /
    • 1994
  •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면적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시설의 현대화는 이에 따르지 못하고 있다. 농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농촌진흥청 등에서는 현대화된 농가보급형 표준하우스 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나 농민들의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특성화된 온실 형태가 아직도 널리 분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에는 변화에 대한 적응 곤란, 기술 및 자금부족 등의 이유가 있겠으나, 그 외에도 지역적인 기후조건이나 자연환경특성에 있어서 장점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형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경향이 지배하고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field farming water supply (밭용수 공급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하수 관리 전략)

  • Cha, Eunji;Hyun, Yunjung;Lee, Gu-Sang;Jeong, 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8-78
    • /
    • 2022
  • 농가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고소득 작물 재배,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영농형태가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되고 지역별 증감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밭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밭작물은 논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고소득의 밭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대부분 사계절 확보가 용이하고 수질이 양호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지하수 수요 증가는 지하수위 저하와 지하수 고갈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지하수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지하수이용 및 관리 제도 현황을 검토하여 지속가능한 밭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진주시를 대상으로 경지유형에 따른 지하수 이용 특성 분석하여 지하수의 수요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하천 주변 저지대에 큰규모의 밭이나 집단화된 시설재배 지역이 분포하고 있고 지하수 관정도 밀집하고 있었다. 하천에서 떨어진 산간지역에는 지하수 관정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지하수 수요는 공간적 위치 외에도 고품질 농업용수에 대한 요구도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기반 용수공급 관련 사업과 지하수 자원확보 관련 법제도 등을 고찰하여 밭의 위치, 규모, 용수공급의 수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밭용수 공급을 위한 세 가지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실측 및 정보의 다각화를 통한 정보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하수 이용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 이용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지표수 공급이 가능한 지역은 지표수를 우선 공급하거나 지하수와 혼합 또는 교차하여 공급하고 물공급 취약지역에서는 지하수 공급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농업용 지하수 시설의 공공관리 강화 및 관리 효율화이다. 특히 지하수이용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인허가 기준을 강화하고 용도별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밭용수 공급은 농가 소득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물이용의 지속가능성과 함께 농가 소득증대를 고려하는 공편인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cision Making Methods for Types of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nd Its Application (도로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유형선정방법 개발 및 적용)

  • Cho, Hye 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4
    • /
    • pp.256-261
    • /
    • 2020
  •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infiltration, vegetation, reservoir, and wetland types based on their respective pollution reduction mechanisms. However, without a detailed analysis of the road and traffic conditions it is very difficult for civil engineers to determine which category of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best suited to their planning requirements.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 new decision-making method for the selection of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The principal factors informing the proposed decision-making methods are the road characteristics, including location, structure, number of lanes, and traffic volume.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new pollution reduction plans were developed, with their selection conditions and the corresponding applicable facilities establish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ollution reduction schemes was demonstrated for roads in Kyounggi-do, providing a valuable basis for future pollution reduction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