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물관리체계

Search Result 47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of Urban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Model in u-City (u-City 도시시설물관리 서비스모델 분류체계 연구)

  • Kim, Tae-Hoon;Nam, Sang-Kwan;Choi, Hyun-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4
    • /
    • pp.81-86
    • /
    • 2009
  • This research is a part of the Intelligent Urban Facility Management project of the Korean Land Spatialization Group (KGSL). Firs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nvestigation of existing u-City service model in order to drive essential components and considerations for the urba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driven conclusions,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urban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model and the adequate application method in u-City.

  • PDF

A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BIM (BIM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방안)

  • Nah, Hei-Sook;Choi, Won-Sik;Kim, Nam-Gon;Moon, Hyoun-Seok;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5-436
    • /
    • 2013
  • 최근 유지관리 단계에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시설물 유지관리 효율성과 성능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현행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에서는 준공도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단계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체계 미흡, 자산관리 체계 미흡 등으로 효율성 측면에서 유지관리 운영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3차원 형상정보 관리체계와 능동적 의사결정 모델 등 BIM기술을 활용한 유지관리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의 핵심인 BIM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시설물의 유지관리 정보의 통합관리와 시설물 성능관리에 대한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금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for Life-Cycle Management of River Facilities Using Existing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기존 유지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하천시설물 생애주기 관리방안 연구)

  • Yoon, Kwang Seok;Kim,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4-484
    • /
    • 2017
  • 최근 홍수 시 제방붕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가되고 있어 노후화된 제방 시설물의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필요성으로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하천유지보수 종합체계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아직 시범단계로 실무에 적용하여 활용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효율적인 국가하천시설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D/B화 및 관리대장, 점검기법, 보수보기법 등을 제시하고 있으나 국가하천에 국한되어 있어 전국단위 하천시설물의 전주기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는 반영되어 있지 못하다. 하천시설물 생애주기관리를 위해서는 모든 하천시설물에 대한 이력관리가 필요하나 현재는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특법) 상의 1, 2종 시설물에 대해서만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FMS)에서 이력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에 대한 하천시설물의 생애주기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의 시스템의 기능 및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하천시설물 생애주기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Legislative Consideration for the Maintenance System of Water Resource (수자원시설 관리를 위한 정책제언)

  • Lee, Gyumin;Kim, Jinsoo;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0-470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가뭄 등 물 관련 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여름철 강우가 집중되고 하천의 경사가 급한 우리나라의 기상 및 지형학적 조건은 기후변화의 영향과 함께 물관리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외부적 요인변화에 따라 댐, 보, 제방, 홍수조절지 등과 같은 수자원시설의 안전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인 국가 주요 시설물 가운데 수자원시설의 고령화율이 타시설물에 비해 높아,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태이다. 수자원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설물의 성능평가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둘째, 국가 주요 시설물의 범위를 확대하며, 셋째, 시설물의 자산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ystem for Power Generation Structures (발전구조물의 자산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설물분류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Jeon, Seokhyeon;Jeong, Jeongsik;Ahn, Jinhee;Kim, Changha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2
    • /
    • pp.113-118
    • /
    • 2019
  • Recently, the maintenance concept of infrastructure has been changed from the stability management of the structure determined by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existing facilities to the asset management related to evaluating and managing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ies. For management of the property of th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classify their information for the maintenance and service level of the facilities and to manage them. In the case of power plant facility, especially, it is a complex structure, which is constructed in a various component and detail.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omponents of power plant facility were classified into facilities, spaces, parts, and elements considering the type of integrated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To reflect the deterioration rate of the facility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irborne salt and humidity etc., it was classified by adding direction, interior, and exterior condition of each component not to be considered i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for its effective and systematic maintenance, since it is generally located in the coastal area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structure. Th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the computer system for asset management of power plant facility.

A Study on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Agricultural Facilities for Developing a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Vinyl house, Glass greenhouse, Cattle shed- (농촌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를 중심으로-)

  • Choi, Oh-Young;Kim, Tae-Hui;Kim, Jae-Yeob;Kim, Gwang-Hee;Choi, Eung-Ky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9 no.4
    • /
    • pp.147-155
    • /
    • 2009
  • Recently, the scale and technical complex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has been growing. Therefore, agricultural facilities are being gradually diversified, expanded, and made more complex. To furnish Korea's agricultural industry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thus necessary to introduce new management techniques. The PCM (procurement-construction-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facilities is established by setting up its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In this study, the WBS of a facility such as facility, space, element, works, and resources is analyzed. Following this analysts, a WBS of an agricultural facil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CM informat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facility, is proposed by deriving it from actual WBS.

A Study on A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Method Using 2D CAD and Spatial Database Update Techniques (2차원 CAD 건설도면과 공간DB 갱신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 Ko, Won-Keun;Park, Hy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670-673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for performing the efficient and systematic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by using 2D CAD data and the technique of updating spatial DB. The existing system of the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is not properly made out utiliz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drawings. Moreover, the management of the DB renewal, which is about the information of construction drawing, is not carried out properly Furthermore, this study draw the conclusion on the effectiveness of reducing maintaining active by the lack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location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 the method of the efficient maintenance management of facilities by using the technique of updating spatial DB and the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 PDF

A Development Direction of Infrastructure Based Disaster Mitigation &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SOC 시설물 재난대응 및 관리시스템 개발방향)

  • Park, Suyeul;Oh, Eunho;Choi, Bonghyuck;Kim, Jinm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3
    • /
    • pp.134-142
    • /
    • 2016
  • Main infrastructures, such as levee, dam, bridge, road, etc., are very important due to not only the means of support for social and industrial activities in normal situation but also the means of protection of life and property during disaster occurrence. In spite of this importance of infrastructures, however, any disaster management systems that actively use these infrastructures are not developed yet. Moreover, infrastructures are not usually included in emergency action plans, thus it occurs second and third impact on communities and industries due to collapsing or damage of infrastructures. Therefore, the authors in this paper analyzed previous research, SWOT, STEEP, and patents and technical journals and conducted a technology need survey ni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suggest main research fields and detail research item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foundation of developing an advanced infrastructure integrated system of maintenance and disaster mitigation and contribute our nation to have an active response system by using infrastructure.

A Method of Measuring Location Coordinates for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위치좌표 확보 방안)

  • Seo, Dong-Seob;Kim, Gun-Bae;Baik, Song-Ho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315-318
    • /
    • 2008
  • 유비쿼터스 도시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도시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어가고 있다. 특히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한 관리는 안전한 도시를 표방하는 유시티 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공공서비스라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도시의 지하시설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시설물의 특성상 안전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좌표를 알아야 하고 지하시설물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센서적용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도시 내 지하시설물 구축과정에서의 절대위치확보 방안과 각 지하매설물별 특성을 고려한 센서적용방안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 PDF

Design of SOC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공공시설물 자산관리 정보시스템 설계 방안 연구)

  • Nah, hei-sook;Choi, won-sik;Seo, myoung-bae;Lim,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89-490
    • /
    • 2011
  • 사회기반 시설물들의 노후화로 유지보수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지관리 예산을 절감하고자 하는 관심이 날로 증대하고 있다. 해외의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미국, 영국 등의 나라에서는 공공시설물 유지관리에 자산개념을 도입하여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대웅적 유지관리방식보다 자산의 가치 중심의 예방적 유지관리로 전환하여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도 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지관리 예산을 절감하고자 하는 관심이 날로 증대하고 있다. 이에 IIMM의 자산관리 업무절차 모델과 국내에서 제시된 KTAM-40을 비교하여 공공시설물 자산관리 정보시스템의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