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기준

Search Result 3,23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해양치유시설계획을 위한 공간환경기준 개발 연구

  • Gang, Yeong-Hun;Lee, Han-Seok;Seong, H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23-124
    • /
    • 2019
  • 본 연구는 해양치유시설 공간계획 수립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공간환경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해양치유시설계획의 기본적인 항목인 입지선정, 환경계획, 공간계획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치유시설 특성을 살펴보고 해양치유시설계획의 기초가 되는 치유자원과 치유요법을 조사하며 해양치유시설 관련 해외기준을 분석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치유시설의 입지선정, 환경계획, 공간계획을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astal Safety Facilities (연안 및 다양한 안전시설 설계기준에 대한 고찰)

  • Kang, Hyo-Gi;Park, Jong-Sub;Kim, Dae-Kyu;Yoon, Ki-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350-353
    • /
    • 2009
  • 본 연구는 서해안 특성에 적합한 연안역 안전시설 설계기준을 마련을 위해 국내 외 도로, 해안, 항만 구조물의 안전시설기준을 비교, 분석, 정리하였다. 검토된 설계기준은 항만시설물의 안전시설 설계지침,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조경 설계기준, 도로부대시설, 도로교 설계기준, 미국 FHWA DSTA, 그리고 미국 FHWA PFG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국내의 연안역 안전시설 설계기준 및 적용이 미흡한 상황에 있으며 설계외력산정 및 평가에 적절한 보정계수 및 관련 상세설계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CAN, I3A Design Criteria for Military Defense Command & Control Facilities (국방 지휘·통제 시설을 위한 ICAN, I3A 설계기준)

  • Jo, Yun-Je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2 no.4
    • /
    • pp.806-815
    • /
    • 2017
  • Korea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criteria for military facilities but most were made with the focus on design criteria of facilities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ly overall criteria with the level of conceptual design are suggested without details. By comparing the design standards of ICAN and I3A that are applied in US Department of Defense, this study will suggest the desirable design standard of Korean military on command/control facilities and general/administrative facilities.

Research on Standards for Emergency Water Supply (비상급수시설 급수소요량 기준 개선 연구)

  • Lee, Joo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1-471
    • /
    • 2021
  • 비상급수시설은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 국민들에게 최소한의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2018년 기준으로 상수도 보급을 통한 국내 1인 1일 급수량은 평균 348리터로 나타났지만, 국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은 성인 기준 1명당 25리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식수 9리터와 생활용수 16리터를 포함한 값이다. 그러나 왜 식수 기준을 9리터로 했는지, 생활용수 16리터로 쓸 수 있는 물 사용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명확하지 않은 실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 기준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UN, WHO, 유럽, 미국 등의 비상급수와 관련되 음용수 및 생활용수 기준을 수집하고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 기준이 선진국보다 적게 산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포로수용소의 지속가능 급수지원 기준량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토대로 음용수, 요리, 세면, 세탁 등을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적정 급수소요량 기준을 최소 50리터 이상으로 제안하였다. 한국의 경제력과 국민들의 복지를 고려할 때, 향후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 기준을 현재보다 상향 조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a View for setting Public Library standards (공공도서관 기준설정의 관점에 관한 연구)

  • 서일민;이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77-180
    • /
    • 1994
  • 공공도서관은 환경과 유기적인 상관관계가 큰 조직으로 기준설정이 필요하고 따라서 효율적인 봉사를 할수있다. 본 연구는 기준이 가지는 특성과 설정과정을 분석하고 질적인 수준을 위한 이용도 조사와 봉사정신에 입각한 시스템기준 설정을 시도한 논문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설치기준: 일인당 면적기준보다 시스템 단위의 지역기준, 장서기준: 참고서적 우선의 장서구성과 최신성을 위한 정간물 구입, 직원기준: 업무분석을 통해 전문직과 비전문직의 구별과 전문성 향상, 시설기준: 일인당 좌석, 면적기준보다 봉사형태에 따른 다양한 시설, 봉사기준: 이용행태분석을 통해 봉사정신에 입각한 프로그램 설정.

  • PDF

A Study on Facility Rules of Floating Structures including 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and so on (이동식시추선(MODU) 등 부유식해상구조물 시설기준 연구)

  • Choe, Han-Gyu;Son, Yeong-Tae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4-20
    • /
    • 2008
  •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사용형태나 환경특성이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과 차이가 있으므로 선박에 적용되는 검사 및 시설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따라서 이동식 시추선과 수상 호텔, 수상식당 등 부유식 해상구조물 실태를 조사 하고,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IMO의 MODU Code 등 국내외 시설기준과 이동식시추선 관련 국제기준의 국내 수용방안을 비교 검토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시설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rchitecture & Operation Planning of Public Health Services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 Kim, Eunseok;Yong, Insuk;Jeong, Daeun;Goo, Gayeon;You,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30 no.1
    • /
    • pp.47-52
    • /
    • 2024
  •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Layout Criteria of an Access Mode's on and off Facility at Multiple Transfer Centers (복합환승센터 접근교통수단의 승하차 시설배치기준)

  • Kim, Si-G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D
    • /
    • pp.95-101
    • /
    • 2012
  • Layout Criteria are developed for an access mode's on and off facility at multiple transfer centers in this paper. Layout Criteria are location issues between a main mode and access modes in terms of the on and off facility one another. The total distance between them has been suggested to be minimized. In the distance calculation stairs are considered to be more difficult and than open space. On the other hand an escalator and an elevator are treated as easier than open space. Considering the number of people between on and off facility, the weighted average distance is suggested to be a MOE(Measure of effectiveness) for layout criteria at multiple transfer centers. Finally, the layout criteria are applied to the existing Kimpo airport terminal and some improvement ideas are suggested.

Comparative Analysis on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of Reservoir Systems (댐 및 저수지 시설의 가뭄단계 판단기준 비교 분석)

  • Jeong, Gimoon;Lee, Jaenam;Shin, Hyungjin;Kang, Doosun;Lee,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5-315
    • /
    • 2022
  • 댐 및 보, 농업용저수지 등은 저류공간을 활용하여 홍수기 유량을 조절하거나, 가뭄시 용수를 공급하는 등 지표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대표적인 저수지 시설이다. 가뭄은 그 원인 및 영향 등에 따라 기상학적, 수문학적 가뭄 및 농업 가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강수 등 기상학적 영향을 가장 먼저 고려할 수 있다. 반면, 기상학적 가뭄이 예상되어도 저수지 시설을 통해 충분한 용수가 확보된 경우 실질적인 물부족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국내에서는 용수 확보 상태를 바탕으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해 댐 등 저수지 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가뭄단계 판단기준을 마련하여 적용하고 있다. 저수지 시설의 가뭄은 기본적으로 과거 기후조건 및 용수 사용량을 반영한 통계적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유형별 용수이용목적 및 운영기준 등이 상이하여 상세한 가뭄단계 판단기준은 각 저수지 시설의 관리 방안을 반영한 방법론을 통해 수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 및 농업용저수지 등 국내 저수지 시설별 가뭄단계 판단기준 적용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특히 과거 가뭄피해 발생 사례를 바탕으로 각 시설의 가뭄판단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댐 및 저수지 시설을 활용한 효과적인 가뭄대응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ndustrial Site Annexed Parking Unit Calculation Method by Considering Facility Use and Scale Characteristics (용도 및 규모특성을 고려한 산업단지 공장시설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 개선방안 연구)

  • Ahn, Woo-Young;Lee, Seon-Ha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2
    • /
    • pp.129-136
    • /
    • 2010
  • The present annexed parking lot standards for buildings in Parking Act are categorized in 9 groups in terms of recreation, culture and assembly, housing, factory, and so on, in which same grouped facilities have uniform parking standards. The local governments have authority to itemize groups and adjust parking standards within ${\pm}50%$ ranges. These days diversity in building types and functions need more fractionated parking standards; however, most local governments focusing merely on applying strengthened parking standards in general without systematic rules of consistency. The current problem of parking standards being used is lack of regarding facility characteristics; expecially, a large sized high-tech manufacturing facility located in industrial site is still applied by same parking standards as normal manufacturing facility, even though most part of manufacturing process is automated and hence less manpower is employed.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method of analyzing parking generation unit for factory facilities in industrial site in terms of facility use and scal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