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설경비조직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Facility Security Guards)

  • 강민완;김효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89-40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6월 서울소재 4개소 민간경비회사의 시설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343명을 추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91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 보상, 요원화, 경력개발이 활성화되면, 위계적, 개발적, 합의적, 합리적 문화는 촉진된다. 둘째,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 요원화, 경력개발이 활성화 되면,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양심적, 신사적 행동은 촉진된다. 반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행동은 감소한다. 셋째, 시설경비조직의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위계적, 개발적, 합의적, 합리적 문화가 형성 되면,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양심적, 신사적 행동은 촉진된다.

시스템경비 관제시설의 구축과 보안 및 경영대책 (Electronic Security Control Center Building Process and Security and Management Measures)

  • 하경수;조철규;김평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3-121
    • /
    • 2015
  • 이 연구는 국내 시스템경비업체의 보안관리 개선을 위한 경영대책의 일환으로 관제시설에 대한 구축 프로세스와 보안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관제시설은 시스템경비의 중추신경으로 현장의 대응체제가 아무리 잘 구축되어 있더라도 관제시설이 장애나 재해로 작동이 중단되거나 관제기계경비원이 위해를 입게 되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관제시설의 구축 프로세스는 공간구조, 기반시설, 관제장치, 관제 솔루션, 운영조직으로 구분하고, 보안관리 방안으로는 물리보안, 정보보안, 인적보안에 대한 대책을 제시한다.

시설보안시스템의 효과적 안전관리를 위한 연구: 재난안전의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physical security system: Focused on the Disaster Safety Awareness)

  • Kim, Changho;Shin, Soyou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15-621
    • /
    • 2015
  • 인적 재난은 체계적인 예방과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재난이므로 시설을 이용하는 시민의 안전의식도 중요하지만 시설안전을 관리하는 경비원의 안전의식이 더욱 중요하게 고려된다. 즉, 경비원의 안전의식과 전문성 함양은 인적 재난을 포함한 사회적 재난의 피해규모를 축소시키고 효과적 안전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경비원의 재난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향요인으로 교육훈련 및 조직 안전분위기를 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교육훈련 중 교육내용과 교육환경은 재난안전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 안전분위기는 재난안전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의 개선과 조직적 차원에서의 안전문화형성은 재난안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효과적인 안전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여건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the office given condition of the country important facility private 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degree)

  • 손기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33호
    • /
    • pp.103-135
    • /
    • 2012
  • 본 연구는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여건 실태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국가중요시설 경비원들의 실상을 직접적으로 파악 분석하고자 통상적인 측정도구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부산과 울산지역의 국가중요시설인 공항 및 항만지역과 일반사업장에 근무 중인 경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설주 및 경비업체 담당자에게 충분한 설문취지를 설명하고 문항을 사전 검토하였고 총4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논제의도와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331부(82.8%)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코딩과 클리닝과정을 거쳐 SPSS version 1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경비원의 직무여건 실태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대인관계, 직무특성, 직무환경, 보수 요인으로 구분하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을 보면 일반적인 경향은 저임금과 열악한 현장 환경은 지속되고 있었다. 일반적인 특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직무만족 수준이 높았고, 연령은 많고 학력은 낮을수록 높았으며, 경력과 소득이 많을수록, 시설보안요원보다 청원경찰이나 검색 및 안내요원이 높았고 입사 전 학생인 경우가 가장 낮게 회사원과 기타 직업군이 비교적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사는 낮아지고 조직몰입도는 증가했다. 회귀분석결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사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특성과 직무환경 수준이 낮을수록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쳤고, 직무특성에 대한 만족도와 대인관계, 보수, 직무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금번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국가중요시설 경비인력 현장에서의 직무여건 개선노력,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간, 조직 내 상하 간의 대인관계 정립, 실질적인 보수 현실화를 포함한 정책적인 제도의 뒷받침이 절실하다.

  • PDF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on Job Performance of Body Guards and Security Guards due to Organizational Culture

  • Kim, Sang-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193-202
    • /
    • 2020
  • 본 연구는 경호경비원의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호경비원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에서 혁신문화는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조직문화는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조직문화 가운데 시장문화는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001수준에서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직무소진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001수준에서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문화의 혁신문화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01수준에서 부적(-) 매개효과가 있다. 일곱째, 직무소진은 조직문화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다.

국회보안강화를 위한 법규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Regulations to Reinforce Security for National Assembly)

  • 김두현;정태황;최병권
    • 시큐리티연구
    • /
    • 제26호
    • /
    • pp.7-28
    • /
    • 2011
  • 국회는 가급 국가중요시설로 내 외적인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하는데, 국회의 보안강화를 위해 법적 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회 경호업무 강화와 경호업무의 법치주의 실현을 위한 국회 경호관계법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경호업무의 범위를 회의장의 질서유지, 국회건물의 시설경비, 중요인사의 신변보호 등의 안전활동을 포함하고 경위의 경호활동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의 경호조직을 '경호국' 하부 조직으로 하고 하부조직을 신변보호과, 시설경비과, 질서유지과, 종합상황담당관으로, 1국 1담당관 3과로 조직체계를 개선하여 경호지휘체계 단일화를 취하고, '경호업무'에 대한 용어정의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방청인 신체검사 기능 및 국회 안에서의 현행범 체포에 대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조항은 삭제하고, '회의장의 질서를 문란하게 하는 행위를 하거나 하려고 하는 때', '경위로 하여금' 퇴장시킬 수 있게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경위의 경호활동에 대한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가기관 등에 대한 협조요청, 경위의 사법경찰권, 무기 휴대 및 사용, 제복 및 장비 등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데, 경호처, 경찰, 청원경찰, 특수경비원 등의 활동권과의 비례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PDF

협력치안체제구축과 민간경비의 역할 (Building Cooperation Policing Systems and Roles of Private Security)

  • 석청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24호
    • /
    • pp.67-90
    • /
    • 2010
  • 오늘날 국민들의 삶을 질을 위협하는 범죄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경찰의 힘만으로 범죄를 예방하고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범죄를 해결할 수 없고, 국민들의 치안서비스에 대한 높아진 욕구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찰이 지역사회 자원들과 연합하여 범죄에 대응하는데 있어 가장 전문적인 민간영역은 민간경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협력치안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은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상당한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치안 구축을 위한 한국 민간경비의 역할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미국이나 일본처럼 민간경비의 업무분야 다양화되고 전문화되어야 한다. 단순인력 위주의 시설경비 수준을 벗어나 최첨단 범죄 영역이나 특정 산업단지 등을 전담하는 전문화된 조직으로 탈바꿈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찰과 민간경비와의 상호접촉을 증가시켜야 한다. 경찰과 민간경비 간의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상호관심과 필요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역할에 민간경비업체들을 대표할 수 있는 한국경비협회의 적극적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민간경비 활동에 대한 이미지 개선노력과 민간경비 활동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민간경비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 내도록 자체 정화노력과 긍정적 이미지를 국민들에게 적극적 홍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수준에 적합한 경찰과 민간경비 간의 협력치안체제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우선적으로 일선 치안현장에서 경찰과 민간경비 간에 상호이해와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경찰이 민간경비를 대등한 동반자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민간경비업체 스스로 전문 인력의 충원과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 PDF

특수경비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Special guards that interpersonal skills to communicate your organization'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hrough the effect parameter impact)

  • 양문승;오세연;윤경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45호
    • /
    • pp.87-106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특수경비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의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교육시설 공항 교통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경비원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20일부터 2015년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대인관계 능력 매개 효과 분석모형도는 포화모형도이며,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직무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대인관계에서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SMC에서는 직무만족이 23.9%, 직무몰입이 11.6%, 대인관계는 19.3% 설명한다. 또한, 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의 결과는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관계가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유의도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수경비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비업계에 있어서의 불공정거래의 사례 개선방안 (The Devices for Improvement against the Precedents about unfair Transactions in the Security Industries)

  • 김태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11호
    • /
    • pp.37-60
    • /
    • 2006
  • 경비분야는 소득향상에 따른 안전의식 제고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서비스의 향상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여 매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고, 최근에는 무인기계경비용역에 대한 수요가 상업용에서 공공기관 및 가정 등으로 확대되고 서비스의 제공범위도 단순한 침입이상감지에서 화재, 가스유출 등 시설이상점검 등으로 다양화됨에 따라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이처럼 경비업계의 영향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이 시점에 불공정거래행위는 경비업계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심각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경비업계의 불공정거래(계약)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문제점 파악 및 대안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불공정거래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입법적 측면으로는 위법성의 판단기준을 정립하는 것과 불공정거래행위 관련 조항의 재편하는 것이 있고 제도적 측면으로는 부분적이나마 법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거래행위의 범위 내에서 공정경쟁규약 활용 및 기업의 자율 준수프로그램의 도입이 있다. 또한 경비협회의 기능 강화로서 경비 영역의 질서를 확립 및 통제하기 위하여 사업자단체의 허용행위 범위 설정과 공저경쟁규약의 자율적 적용과 표준약관제의 개선 및 기준약관제도의 도입으로 상호간의 이해를 조율하는 것이며 자율준수프로그램 도입을 도입하여 각자 자신의 조직에 적합하게 시스템을 설계${\cdot}$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 PDF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ew Police officers)

  • 심명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52호
    • /
    • pp.95-12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앙경찰학교를 졸업한 신임경찰 288기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교육행정, 교육과정, 교수능력, 교육시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교수능력이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교수능력이 조직몰입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은 조직몰입 중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무과목 교육이 좀 더 사례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과 실습교육이 실질적으로 현장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