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방서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Development of a Web Based Supporting System for Writing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 (Web기반 공사시방서 작성 시스템 개발 방안)

  • Kim Kyoon-Tai;Kim Tae-Song;Koo Ja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01-506
    • /
    • 2001
  •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a domestic specification system, and regulated that owner should produced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s, instead of special provisions, in design phase, January 1998. But in Korea the ability of construction engineers for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 are insufficient. So the government had built up a database of standard specifications and developed a supporting system for writing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SPECMAKE) in 1999. However, it is a PC base stand-alone system, so it is not convenient to update the databas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builds up a database of construction criteria and develops a automatic writing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 on web base. The database contains standard specifications,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related with construction business. And this paper describes the frameworks, the components, and the functions of the specifications writ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projects.

  • PDF

Development Plan of Operating system for Web-based Electrical Installation Master Spec. (웹(Web) 기반 전기설비 Master Spec. 운영시스템 구축 방안)

  • Han, Hyeong-Ju;Wang, Yong-Peel;Kim, Dong-Hyun;Park, Min-Young;Oh, Dong-Suk;Hong, You-J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44-1445
    • /
    • 2015
  • 전기시설에 관련된 모든 전기설비의 시공에는 설계도와 함께 시방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동안 전기설비 시공분야의 전문적인 시방서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고, 각 발주기관별로 제작, 운영, 유지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전기산업연구원에서는 2007~2010(총 3년간)년까지 전기설비 공사에 활용할 수 있는 시방서(전기설비 Master Spec.)를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고 손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전산화된 운영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기 개발된 운영시스템은 CD 타입으로 사용자의 접근성 및 활용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Web을 기반으로 하는 시방서 관리 및 작성 운용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Proposals for Revision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pecifications Based on In-situ Quality Control on Concrete (현장 품질관리를 고려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시방서 개정안에 대한 고찰)

  • Lee, Kyung-Ho;Yang, Keun-Hy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3
    • /
    • pp.211-21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revision necessity of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est data obtained by using domestic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and the contents specified in different foreign specifications including ACI 211.2, ACI 213, ACI 301, JASS 5 and CEB-FIP. To achieve the continuous particle distribution of domestic fine lightweight aggregates, the partial addition of natural sand with the maximum size of 2.5mm was required. To control the segregation and excessive bleeding in the fresh lightweight concrete, the current limitations on the water-to-binder ratio and unit water content need to be modified using lower values. In particular, a rational mixture proportion approach of lightweight concrete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targeted requirements of initial slump, 28-day compressive strength, air content and dry unit weight. Ultimately, significant revision of the concrete standard specifications is requi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Engineering Evaluation of Seismic Sity Coefficient in the Korean Bridge Code (국내 도로교시방서 내지설계편의 지반계수에 대한 공학적 영향평가)

  • 조양희;조인범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4
    • /
    • pp.123-13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지반상태가 교량의 지진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지반모델 상의 교량모델에 대한 지진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교량시방서에서 분류된 네가지의 서로다른 지반종류를 대상으로 보다 세분된 지반모델 상에 위치하는 대표적인 교량에 대한 지진해석을 수행함으러써 첫째로는 각 지반 종류 상호간의 지진응답 차이의 정도를 시방서 값과 비교.분석하였으며 둘째로는 동일 지반으로 분류되는 상이한 두 지반간의 응답차이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해석을 위해서는 시방서에서 제시된 두가지 방법 즉 단일모드 스펙트럼해석법과 다중모드 스펙트럼해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별도로 작성된 인공시간이력을 입력으로 하는 시간이력해석법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시간이력해석법에서는 진동수에 무관한 지반임피던스함수를 이용하는 시간영역해석법을 사용하였다 해석결과 시방서에서 제시한 단일모드 및 다중모드 스펙트럼해석방법은 일반적으로 안전측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해석결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연성이 큰 지반 상의 구조물에대한 지진해석을 위한 해석모델 작성시에는 지반의 유연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낙교방지를 위한 변위는 지반의 유연성을 고려한 정밀해석법에 의한 계산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Performance Warranty Contract to Building Construction (성능보증계약제도의 건축분야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 Ko, Hyun;Kim, Kyung-Hwan;Lee, Youn-Su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687-690
    • /
    • 2007
  •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looking onto bringing performance warranty contract into the country, to consider the usage in architecture which it is usually used on road pavement in developed countries. The study will also apply performance warranty contracts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s through examin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matters which will lead to globalization of the korean architecture industry, the increase of quality of result, better convenience for the orderer, the decrease of cost, and the acceleration on research for technical development.

  • PDF

Fatigue Failure of RC Decks in Highway Bridges (도로교 RC 바닥판의 피로파괴에 관한 연구)

  • 권혁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5 no.3
    • /
    • pp.116-124
    • /
    • 1993
  • 지간 2m인 RC바닥판을 모델로 하여 송정등이 연구한 실험결과를 기초로 피로파괴 가능성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같은 Md/Udptj 콘크리트 강도 240kg/$ extrm{cm}^2$이 210kg/$\textrm{cm}^2$보다 피로파괴 수명이 길게 나타나고, 유효높이 14,15cm는 Md/U를 크게 하여도 피로파괴수명에는 큰 증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같은 조건에서 92년판 시방서에 의해 설계한 단면이 85년판 시방서에 의해 설계한 것보다 피로파괴수명이 약 50%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양 시방서에 의해 설계된 단면 모두 펀칭전단 피로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바닥판의 최소두께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Development of Master Spec. and Operation System for the Prosperity of Electrical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전기설비 시공기술 발전을 위한 MASTER SPEC. 및 운용시스템 개발)

  • Wang, Yong-Peel;Ahn, Joon-Ho;Park, Min-Young;Jang, Young-Gill;Seo, Soon-Seok;Kim, Gwang-G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123.1_2124.1
    • /
    • 2009
  • 전기설비 시공분야에서 전문적 시방서 관리 체계는 그동안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각 발주기관별 자체적 관리체계 하에서 운영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명칭이 서로 상이한 부분과 진술 및 구성의 체계 또한 일관되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본 연구개발을 통하여 전기설비 분야의 시방서를 체계적이고, 공통된 의사표현이 가능한 기준시스템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에 따른 기준시방서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체계를 개발하였다.

  • PDF

Code System for Standards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Field (국내 수자원 시설분야 설계기준 코드체계화)

  • Yang, Wonseok;Yu, Myungsu;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9-259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공사 설계기준은 총 50종(설계기준 21종, 시공기준 29종)으로 관리부서가 통합되어 있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 문제점으로 설계기준 간에 내용이 중복 또는 상이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현재 사용자가 직접 설계서를 작성 시 산재된 관련 기준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설기준 정비체계가 미흡하며 국외의 설계기준을 실 검증과정 없이 도입하여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건설공사 설계기준이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댐 설계기준 및 하천 표준시방서를 관련 있는 타 분야 설계기준 및 시방서(설계기준 5종, 시방서 7종)와 상충 및 중복되는 항목을 조사, 비교하였다. 그리고 조사, 비교된 내용들을 수정 및 보완하여 '건설공사 설계 시공기준 표준화' 기획단계시 기준간의 통일성, 편의성을 고려하여 구성된 코드체계기준 중 수자원분야 표준코드체계 기준에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ata Organization of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reference of Design Information (설계정보 참조를 위한 시방정보의 자료구조화에 관한 연구)

  • Kim Jae-hyun;Song Younk-Kyou;Kim 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3 s.7
    • /
    • pp.92-100
    • /
    • 2001
  • The architectural drawing,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 etc. are included in the contract of a documents. However,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 for being documentation, is not utilized to such an extent. The reason is that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difficult in collecting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architectural drawing, material finishing list and other architectural information. Therefore, an integrated model,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other architectural information, is needed, and a DB based on this integrated model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for it to be utilized in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e DB, which is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must be updated according to modification in design, and construction. Furthermore the specification must be in document on the web for reference.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the structure of integrated model has been introduced, and it has made the search and preparation of the integrated model on the Internet, us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DB established for the mutual reference of DB, possible. The improvements of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 standards are expected by this system. Also, it will bring about Improvements upon claim prevention, and design, construction, management qualities. Furthermore, it will make the use of information more convenient in practical business such as order agency, design service and building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