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방서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2초

표준$\cdot$전문$\cdot$공사시방서의 작성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s, Owner′s Standard Specifications and Project Specifications)

  • 구재동;김태송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81-88
    • /
    • 2000
  • 정부에서는 건설기술관리법 개정을 통해 국내 시방서의 위계를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 공사시방서로 정하였고, 설계도서 작성시 기존의 '특별(특기)시방서'에 여러 표준시방서 등을 첨부하여 사용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 등의 해당 내용을 발췌, 수정, 보완하여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공사시방서의 수준은 이전의 특별(특기)시방서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공사시방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방서(표준 전문공사)운영체계 개선방안 및 시방서(표준$\cdot$전문$\cdot$공사)의 일반적인 작성방법 개선방안 ,총칙 작성방법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국제 전문시방서(영문) 작성방향;수자원개발사업을 중심으로 (Direction to Produce International Owner's Basic Specifications;Focus on Water Resource Projects)

  • 김태송;구재동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24-627
    • /
    • 2006
  • 본 연구는 수자원개발사업과 관련하여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나 기관이 세계시장에 진출하여 수자원개발사업 시행시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공사시방서(영문)를 작성하는 데에 필요한 국제 전문시방서(영문)의 작성방향 정립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자원개발사업 관련 국내외 시방서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시방서들을 이용하여 국제적인 수자원개발사업에 적용하기 위한 전문시방서(영문) 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국제 전문시방서 작성의 원전이 되는 공종별 선진 외국 시방서는 북미 쪽과 유럽 쪽의 시방서 중 어느 한 쪽 시방서를 원전으로 삼되, 국내 전문가들에게 친숙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방서를 원전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2) 국제 전문시방서의 공종분류체계는 국제적인 시방서 공종분류체계에 따라 작성하되, 세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국시방서협회(CSI)의 MasterFormat(2004) 공종분류체계를 준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3) 국제 전문시방서의 표준규격, 적용법령 등 공사관리 방식은 국제적인 표준규격을 적용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내용으로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건설공사 지식데이터베이스 연계를 통한 시방서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pecification in connection with Construction Lessons Learned Database)

  • 송재영;이태식;최재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511-514
    • /
    • 2002
  • 최근 국내 건설업체는 지식경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흥하기 위한 자사 나름대로의 지식관리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전문가의 노하우나 경험, 지식공유의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건설공사를 수행하는데 있어 시방서는 중요한 계약문서이자, 업무수행 및 시공상 문제발생시 대부분의 현장실무자들이 활용하고 있는 가이드라인이다. 이러한 시방서에 전문가의 시공 노하우, 공종에 따른 해결방안 등 암묵적 건설지식을 데이터베이스구축을 통하여 시방서 분류체계에 따라 통합한다면 기술적 문제의 신속한 해결 및 현장적용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시방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에서 발행하는 표준시방서 및 각 발주기관에서 작성되는 전문${\cdot}$공사 시방서의 체계적인 운영체계가 필요하며, 건설공사 수행 중 얻어지는 여러 경험, 지식을 체계적인 형태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시방서 체계 현황을 살펴보고, 건설공사 지식데이터베이스의 접목을 통하여 시방서의 기술 수준 향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건축전기설비표준시방서 개정

  • 송언빈;김수길;최창선;정용기;지철근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36-241
    • /
    • 1998
  • 건축전기설비 표준시방서는 건축설비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자 또는 설계등의 용역업자가 공사 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이다. 이번에 개정된 건축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는 국제규격(NEC)등의 내용을 참조하여 종전 시방서의 수변전설비, 조명설비, 동력설비, 방재전기설비, 예비전원설비, 정보설비 부분에 대한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 PDF

커튼월 공사의 성능·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 (Hybrid Prototype of Performance and Prescriptive Specifications in Curtain Wall Construction)

  • 이준호;조동현;구교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33-442
    • /
    • 2014
  • 건축공사 시 적정 품질 확보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 설계기준 및 시방서는 절차를 중요시 하며 재료 치수 등을 규정하는 사양 기반이다. 공사업체의 창의성 저해 및 이로 인한 경쟁력 약화 등 사양시방서의 다양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최근 최종 결과물을 중요시 하는 성능 기반의 시방서가 제시되고 있지만 건축 분야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시방서 사례의 성능 및 사양항목 기반의 커튼월 공사 성능 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요 성능점검 시점을 도출하였으며, 각 시점별 관련 참여주체 역할을 반영한 성능점검 프로세스와 샘플시방서를 제시하였다. 전문가면담기반 검증 결과 현장적용성이 높고 공사 진행단계에서의 성능 확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었다.

모듈러 공사시방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방수 및 기계설비공사의 기술방안 개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Modular Specifications - Focused on technical specifying method in waterproof and mechanical works -)

  • 윤종식;신동우;차희성;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3-41
    • /
    • 2017
  • 모듈러 시방서는 모듈제작, 운송, 설치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기술하는 계약문서이다. 그러나 기존 모듈러 시방서의 문제점은 모듈러 공사에서 요구하는 성능수준을 보장해주지 못하고 공사별 특성을 배제한 채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의 내용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건축의 품질개선 방안으로 모듈러 특성에 적합한 공사시방서를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하자발생이 높은 방수공사 및 기계설비공사에 한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듈러 시방서 개선방안은, 1) 마스터 포맷에 따른 descriptive형식의 서술, 2)누수점검 및 검사 항목 반영, 3) 모듈러 특성을 고려한 시방서 내용 작성이다. 개선안을 전문가 면담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이와 같은 개선방안이 모듈러 공사시방서를 보완하여 향후 모듈러 건축의 품질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방서 개선안은 전체 공사시방서 작성의 가이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듈러 건축의 하자발생률을 낮추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Curtain-wall공사에 있어서 Mock-up Test 건축공사표준시방서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s for Mock-up Test in the Curtain-wall construction)

  • 이진만;강재왕;손용근;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91-494
    • /
    • 2003
  • 외벽을 형성하는 Curtain-wall은 비, 바람 등 자연의 기후 조건 및 주번 여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제작, 시공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전반적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Mock-up Test는 최근에 들어서 고층 건물 및 중요도가 높은 경우 거의 일반화가 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Mock-uP Test의 시방서는 외국에 비해 미약하여 시방서 상으로 인한 분쟁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시방서 상의 표현에 있어서 불명료함으로 인하여 적용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 Mock-up Test 시방서에 대한 조사를 통해 그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외국의 사례와 비교 검토하여 그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를 해보고자 한다.

  • PDF

모듈러 전문 시방서 개발을 위한 체계 구축 (A Study on Development of Owner's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

  • 남성훈;박홍근;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2-21
    • /
    • 2019
  • 시방서는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계약의 서류뿐만 아니라 안전한 시공성의 확보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서류가 된다. 현재 국내에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하고 있는 시방서는 공사 시방서 밖에 없으며, 대부분의 내용이 건축표준시방서를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어 모듈러 건축물의 작업 내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구성내용이 지침서에 가깝다. 국내 모듈러 건축물 시방서의 현 상황은 모듈러 건축물의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러 공정 모니터링을 통한 세부적인 프로세스 분석과 분석된 activity를 가지고 단계별 연관관계를 IDEF모델링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를 통하여 모듈러 건축물에 특화된 전문시방서의 구성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출한 대분류는 크게 공장제작, 운송, 현장설치 총 3가지로 나누어지며, 하위 구성체계는 전문가 자문의견을 반영하여 공장제작의 바닥판 조립에서부터 현장설치의 접합부위 마감까지 총 32가지의 공사 항목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도출하였다.

건축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 개정

  • 지철근;서국철;송언빈;김세동;최도혁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9권1호
    • /
    • pp.9-14
    • /
    • 199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이재명)과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회장 지철근)는 공동으로 종래 사용하여 오던 '건축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를 건설교통부의 지원으로 개정하였습니다. 앞으로 건설시장개방에 대응하기 위하여 건축전기설비공사 부문의 본 시방서가 계속 보완발전되도록 건축전기설비 기술자 제현의 많은 조건이 있으시기 바라오며, 표준시방서의 역할과 구성체계및 개정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