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민의식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4초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과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의성과 수평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gital privacy security awareness and digital civic engagement on digital privacy protection behavior : focusing on volition and horizontality)

  • 이려화;허성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49-358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점진적으로 필요하게 된 디지털 정보보호 개선 전략에 관한 연구적 배경에서 비롯되었고, 연구 목적은 개인적 요소 영역의 자의성과 상황적 요소 영역의 수평성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주요 요인에 미치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자의성과 수평성의 요인설계 바탕이며, 측정 변수는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이다. 연구 결과, 자의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 행동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자의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자의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분석결과 수평성 영역이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개인 보안 인식, 디지털 시민 참여의식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수평성 조건의 효과성이 저-수평성 조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제까지의 성과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개인 정보보호의 적절한 내용들을 기반으로 학술적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 (Citizen's Attitude to Recycling of Food Waste)

  • 정재춘;정원태;탁성제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2호
    • /
    • pp.91-96
    • /
    • 1995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퇴비화 및 퇴비에 대한 일반시민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시민들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문제를 심각한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91.9%가 음식물쓰레기로 퇴비를 만들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또한 화학비료보다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가축분뇨로 만든 퇴비보다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의 품질을 더 좋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화학비료를 주고 재배한 채소보다 퇴비를 주고 재배한 채소를 좋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10~20%정도의 비싼가격을 감수할 의사가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퇴비화를 위한 분리배출에 대해 협조할 의사를가지고 있었으며 음식물쓰레기는 소각이나 매립보다 퇴비화로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PDF

해외 재난안전체험관 현황 (Situation Of Safety Experience Center In Abroad)

  • 박상현;정우민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133-137
    • /
    • 2016
  • 안전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체험교육은 일반 국민들이 사고예방법이나 사고발생시 올바른 대처방법을 체험하게 함으로서 스스로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데 매우효과적인 중재전략이다(강신광, 2003: 142-143 전세중, 2008).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방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그림이나 이론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어 혼란스러운 응급 상황에서 올바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실제와 같은 가상 상황에서 반복적인 훈련을 통하여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김현기, 2006 전세중, 2008). 그리하여 김태환(2001: 83-117)은 국민의 안전의식의 향상을 위한 안전 개선에는 주민 스스로가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과 유사시 긴급대응을 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체험교육을 위한 교육시설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안전체험관 설립을 위한 시민의식 조사 연구(김태환, 2001: 83-117)에서도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으나 대처요령을 잘 모르고 있다고 함으로서, 주입식 안전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반인의 안전의식 결여를 해결하기 위한 체험식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재난안전체험관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하였다. 재난발생시 위기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현장 체험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2003년 최초로 안전종합체험관 형태의 서울시민안전체험관이 개관되었다. 이를 계기로 여러 지방자치 단체에서도 현장과 유사한 교육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체험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잇달아 안전체험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PDF

현상설계 - 안산시종합운동장

  • 장석웅
    • 건축사
    • /
    • 1호통권333호
    • /
    • pp.124-126
    • /
    • 1997
  • 안산시는 시민을 위한 사회, 문화적 기반시설의 확충으로 사회체육활동 공간과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확립할 수 있는 장으로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종합운동장 건립을 추진, 현상설계경기를 실시하여 지난 96년 10월16일 아도무건축(장석웅)안을 당선작으로 선정, 발표했다. 가작으로는 공간건축(정종영)안과 유신건축(김지덕)+제일건축(정원심)안이 선정됐다. 본지에서는 당선작과 가작 중 공간건축안을 게재한다.

  • PDF

대학교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수업이 세계시민의식, 진로정체성, 진로준비행동 및 협력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the Effect of Awareness Enhancing Educ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n Global Citizenship, Career Ident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operative Efficacy)

  • 유영미;심선주;박선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47-5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주관하는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진로정체성, 진로준비행동 및 협력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유사실험연구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C시 소재 일개 대학교에서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수업에 참여한 32명의 수강생 및 수업에 수강하지 않은 32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세계시민의식,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협력적 효능감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수업을 수강한 실험군의 세계시민의식(p=.003)과 진로준비행동(p=.013)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진로정체성(p=.385)과 협력적 효능감(p=.488)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이해수업의 효과를 확인하여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문화유사 및 공감이 도움의향에 미치는 영향: 세계시민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Cultural Similarity and Empathy on Helping Intention: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smopolitanism)

  • 이창환;손영우;임혜빈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35-46
    • /
    • 2015
  • 기존 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이 본인과 유사한 대상에게 더 높은 수준의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 까닭은 본인과 유사한 내집단 구성원에게 더 높은 공감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움의향에 있어서의 내집단 편향의 크기를 매개하는 공감의 효과를 세계시민주의 수준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문화 유사성 수준이 각기 다른 국가 출신의 교환 학생들에 대한 설명을 읽고, 공감 수준과 도움의향, 세계시민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문항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과의 문화 유사성과 도움의향의 관계를 공감이 매개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문화 유사성과 공감의 매개 모형에 있어서의 세계시민주의의 조절효과가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세계시민주의 의식이 낮은 사람 참가자들은 대상과의 문화 유사성이 높을 때 더 높은 공감 수준을 보였지만, 세계시민주의 의식이 높은 참가자들은 대상과의 문화 유사성이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도움이 필요한 대상에게 유사한 수준의 공감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속도 5030 시행에 따른 제한속도 및 도로서비스 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Speed Limit and Roa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Speed 5030 Policy)

  • 이환진;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405-416
    • /
    • 2021
  • 최근 전국적으로 시행을 추진하고 있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은 이동성의 저하 및 통행 불편 등으로 인해 일부 시민들의 불만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통행속도 등 정량적인 정책평가 기준에서 벗어나 도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를 이용하는 시민을 운전자 집단과 비운전자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를 대상으로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에 따른 제한속도의 적정성 평가와 도로서비스 질의 만족도 평가(MDS),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등 시민의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민의식 분석결과, 도로서비스 질 중에 특히, 이동성, 경제성, 환경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에 만족도가 낮은 도로를 대상으로 제한속도와 도로서비스 질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안전속도 5030 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제천시 건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시민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ivic Consciousness for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Jecheon)

  • 이완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8-87
    • /
    • 2013
  • This study is targeted at the people who live in Jecheon. It investigated the general term concerning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awareness of local architectural heritage, and the civic consciousnes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wnscape. And, it is aim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and townscape in Jeche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urvey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ly, when the policy related to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Jecheon is to be made and proceeded, it should actively promote and reflect the views of the citizens. Secondly, it should be to develop the available utilization programs and to find the metho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architectural heritage. Thirdly, it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 which can give the economic benefits to owners and the enjoyment of culture to the citizens. Lastly, the long term plan will be required for a distinctive townscape in Jecheon. And, when modern architecture adjacent to the architectural heritage is built, we should be considered the design which can be expressed the historicity of architectural heritage.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시민의식과 긍정적 자기지각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비교 - (Effects of Youth Voluntary Service on Sense of Citizenship, Positive Self-perception, and Peer Relation - The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 조호운;조성환;김영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9-7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th voluntary on sense of citizenship, positive self-perception, and peer relations, which procedures was conducted by being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ones. This study also use the data given by 2st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which subjects were 7,593 youths(3,566 in middles school students and 4,027 in high school one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for youth's peer relations was sense of citizenship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which indicates not only that it is encouraged by sense of citizenship but also that developing and leading the sense of citizenship for youth should be given by the school welfare policy. Positive self-perception in middle school youth influenced the second effect on their peer relations, but high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 was impacted by the voluntary service into a secondary effect.

시민서비스는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가? - 미국의 AmeriCorps와 Senior Corps를 중심으로 (Is Civic Service the Real Antipode of Volunteer Work? - Focusing on AmeriCorps and Senior Corps in the United States)

  • 지은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31-63
    • /
    • 2014
  • 최근 시민참여와 시민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시민서비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가운데 배척되는 경향이 있다. 활동비 지원 자원봉사에 대한 우려가 큰 가운데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기본정신과 다르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적 통념처럼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자원봉사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시민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시민서비스는 자발성과 무보수성의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시민서비스가 시민의식을 훼손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원봉사 가운데 활동비를 지원받는 단기 간헐적 활동과 의무봉사가 더 큰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시민서비스와 자원봉사는 자발성, 무보수성보다는 구조적 특성 즉, 목표, 지속성, 공식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나아가 미국에서 시민서비스가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활동비 수당을 지원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참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고 사회적 인정보상, 교육지원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자긍심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