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민사회

Search Result 1,18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theorising Civil Society in State-Civil Society Partnership in Welfare : A Critical Review of the Partnership Literature (국가-시민사회 복지파트너십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역할 : 세 가지 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Kim, Su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1
    • /
    • pp.267-302
    • /
    • 2013
  • In recent years, partnership has become a central strategy for welfare provision worldwide. Particularly, civil society organisations have obt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the most accountable and democratic partner for public welfare delivery. Yet the mainstreaming of civil society into welfare policies challenges the conventional nature of civil society as an independent sector, and brings into critical question, how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civil society sector could be redefined in the new era of multi-sectoral partn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debates of state-civil society partnership and to propose three theoretical viewpoints (i.e. the mainstream, critical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regarding the role of the civil society sector in partnership. In doing so, this article introduces the key literature and scholars in partnership debates and provides analytical frameworks that researchers can use in examining state-civil society partnership cases.

A Study on the Digital Era's Influential Factors on Policy Organizations (디지털시대의 정책조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Lee, Sang-Bu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6 no.2
    • /
    • pp.33-40
    • /
    • 2008
  • Alvin Toffler는 인류 발전 과정을 세 가지 변화의 물결, 즉 유목 채집 사회에서 농경 사회로의 변화, 산업혁명에 의한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의 변화, 그리고 1950년대부터의 후기 산업화 사회로의 변혁으로, 산업 사회에서 정보 사회로의 변혁이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탈대량화, 다양화, 지식기반 생산과 변화의 가속이 시작된 시기였다. Herman Maynard와 Susan Mehrtens는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휴대폰 등), 인터넷의 발달로 제4의 물결이 시작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전의 사회 변혁들은 물질 생산이 따르는 가시적인 변혁들이었으나, 디지털 혁명은 시민사회의 참여 확대를 통한 민주주의의 진화된 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제4의 물결의 시작은, 시민사회의 정책 참여와 견제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초고도 정보화 사회의 시작을 의미하며, 정책 결정 자들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그들이 보유하던 절대 영향력의 일부분을 시민사회에 이양됨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대변혁의 시대에 관료주의, Digital Divide, 그리고 시민 참여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민 참여에 대한 관료주의의 방침과 태도, 제4의 물결의 정책 민주화와 Digital Divide로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정책 결정 자들과 그들의 환경으로의 파급 효과를 논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과 논증을 통하여, 정책조직들과 시민사회와의 신세기의 바람직한 동반자적 입지 구축에 기여 할 것이다.

  • PDF

Giving -Habitus of Citizen- (시민 아비투스의 실천행동, 기부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길)

  • Choe, Hyej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8 no.1
    • /
    • pp.95-116
    • /
    • 2016
  •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the idea that giving has been interpreted exclusively as a social selection based on reasonal think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giving was a habitus of citizen, based on Bourdieu theory of social setting and habitu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econdary data from KGSS 2011 through SEM. Result revealed that the goodness of fit for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was high. Also, level of virtue as civizen and social participation as citize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 of giving,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giving was a hibitus of citizen.

  • PDF

사회적책임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기업을 중심으로

  • 손정환;이용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85-190
    • /
    • 2020
  • 2000년대 이후 기업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본연의 성과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영리적 이익추구 이외에도 기업 내외부의 관여된 활동 범주 내에서 투자자, 소비자, 시민단체 그리고 노동조합등에 사회적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의 중요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다. 이 중 사회적책임과 조직 내 구성원들의 조직유효성의 영향에 대한 다양한 선행논문이 있었으나, 지역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비하였다. 이에 따라 강원도를 한정한 사회적책임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강원도 소재 기업들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기반적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총 186부의 표본을 활용하였다. 검증결과 사회적책임이 조직신뢰, 조직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조직시민행동에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논문에서 밝힌 사회적책임이 조직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지역을 한정해서 연구했으며, 분석결과 강원도 지역 내 사회적경제기업들이 다수 포진되어 있으며, 공동체성이 높기 때문에 사회적책임이 조직 유효성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wo Face of Citizenship Discourse - Reinterpretation of Social Citizenship of Marshall - (시민권 담론의 두 얼굴 - Marshall의 사회적 시민권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

  • Seo, Jeong-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9
    • /
    • pp.147-165
    • /
    • 2008
  • This Study analysis two features of social citizenship in the period of rights revolution. Discousive arguments are derived from different reinterpretations of social citizenship of Marshall. Some insist that main idea of welfare state is rights of social citizenship and the other insist that social rights is realized after doing duty. Especially the latter emphasis work obligation in which individual responsibility and duty, these discussion underlie wokrfare policy. This reserch examine two contrary discourses based on Marshall's theory, and make a close inquiry into correct interpretation about Marshall. New rights, the Conservative party and New Labour seek for ground on Marshall's citizenship theory, but these are distortion on it. Marshall insisted that citizenship constituted rights and duties but he claimed that discharge of a duty isn't precondition of the exercise of the right.

Ideal Type Analysis of Citizen Inclusiveness in Korea: Focusing on Local Communities (한국의 시민포용성의 이념형분석 : 시도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Han, Chang-Keun;Cho, Won-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3
    • /
    • pp.179-208
    • /
    • 2018
  • This study amis to analyze the levels of citizen inclusiveness in Korea by the 17 local government levels. Citizen inclusiveness was measured by donations, volunteering, and citizen perception indicators. This study adopted the ideal type method of fuzzyset analysis. We found that citizen inclusiveness was classified into 6 types: inclusive citizen type, inclusive citizen-oriented type, donation-oriented type, volunteering-oriented type, citizen perception-oriented type, and individual-oriented type. This study analyzed key features of these 6 ideal types of citizen inclusiveness. More research on citizen inclusiveness is needed. Trends of changes in citizen inclusiveness and key factors on citizen inclusiveness will be examples of future studies. Inclusive welfare states need both government's efforts in enhancing welfare institutions and citizens' advancement in inclusive citizenship.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ed citizenship for inclusiveness.

과학의 정당성 위기\ulcorner 과학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들

  • 박희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1.06a
    • /
    • pp.31-44
    • /
    • 2001
  • 과학과 기술의 영향이 일반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날로 증가하면서, 일반 시민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있다. 과학자들과 과학정책 입안자들은 주로 반과학적인 후기근대주의문화가 시민사회 전반으로 확대되어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믿음과 지지가 약화되고있다는 우려 때문에 일반시민들의 과학에 대한 신뢰도와 지지도에 관심을 기울여왔고 (Evans and Durant, 1995; Gregory and Miller, 1998; Gross and Levitt, 1994; Holton, 1993; Theocharis and Psimopoulos, 1987), 반면 사회학자들과 시민단체들은 주로 과학기술의 전개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정책 결정과정에 대한 시민참여의 일환으로 과학 (특히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과학적 연구와 그것의 기술적 적용)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태도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영희, 2000; Freudenburg and Pastor, 1992;Miller, 1983; Wynne, 1991, 1992; Zimman, 1991).1) (중략)

  • PDF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Song, W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