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뮬레이션 툴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Simulation of Swiss Rectifier using Variable Platforms (다양한 전력전자 Simulation Tool을 이용한 스위스 정류기 모델링)

  • Zhang, Ying-Hao;Lee, Joong-Jae;Kang, Myeong-Ky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91-92
    • /
    • 2015
  • 본 논문은 다양한 전력전자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여러 환경에서의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각 시뮬레이션 툴의 결과 값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방식을 제안한다. 사용된 모델은 5kW급의 출력전력인 스위스 정류기(Swiss Rectifier) 이며, 각기 다른 시뮬레이션 툴인 PLECS, PLECS Blockset, Simulink, PSIM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각 시뮬레이션 툴의 장점과 성능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ulation Tool for Rural Postman Problem (Rural Postman Problem 시뮬레이션 툴 설계 및 구현)

  • Kang, My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39-24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RPP(Rural Postman Problem)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툴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RPP 문제의 해를 구하기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툴 내부에 엔진으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툴의 구성은 유전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그래프로 표현해 주는 Presentation Layer,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로탐색을 처리하는 Operation Layer, 유전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염색체들을 저장 관리하는 Data Layer로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다양한 RPP 문제를 파라미터의 설정만을 통해 해를 구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 PDF

Techniques for Improving of the Reliability of the Wireless Network Simulation Tool (무선망 분석 시뮬레이션 툴의 신뢰도 향상 기법)

  • Jeon, Hyun-Cheol;Ryu, Sun-Sook;Ryu, Jae-Hyun;Gang, Sung-Wook;Park, Sang-Jin;Park, Joo-Yeoul;Kim, Jeong-Cheol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431-435
    • /
    • 2005
  • 이동통신망을 설계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무선망 분석 시뮬레이션 툴은 다양한 분석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파전파예측을 비롯한 용량, 커버리지 분석까지 가능한 이러한 시뮬레이션 툴의 신뢰도는 망 성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데이터 서비스 중심으로 망이 고도화 되어가면서 시뮬레이션 툴의 신뢰도에 대한 기준 정립이나 신뢰도 향상 기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뮬레이션 툴의 기본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절차나 기법에 대해 이론적/경험적으로 접근해 구체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인 신뢰도 향상 기법을 도출해낸다.

  • PDF

PSIM을 이용한 박형동기전동기의 제어시뮬레이션

  • 최해용;최규하
    • KIPE Magazine
    • /
    • v.9 no.4
    • /
    • pp.19-22
    • /
    • 2004
  • 최근 전력전자 시스템이 점차로 복잡화되면서 시스템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시스템 거동 및 제어성능에 대한 빠른 파악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기술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시스템해석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시뮬레이션 툴이 사용되고 있으나 설계자의 목적에 맞는 적절한 시뮬레이션 툴을 선정하는 기준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된다.(중략)

Network Optimization/Engineering Process with Simulation Tool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한 무선망 최적화/엔지니어링 작업 프로세스)

  • Jeon Hyun-Cheol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69-172
    • /
    • 2004
  • 음성 위주의 이동통신 초기 시스템에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이동통신 망이 진화해왔듯 무선망을 설계하거나 최적화하기 위한 전파환경 예측 시뮬레이션 툴 또한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는 망의 진화로 인해 무선망 설계/관리/최적화 기법이 복잡/다양해지고 그래서 단순한 수작업이나 현장 기술자의 경험만으로는 명쾌한 해답을 내놓기 곤란한 상황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한 무선망최적화/엔지니어링 작업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 현장 기술자가 보다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무선망 최적화 기법에 익숙해질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rmal-Hydraulic Models into a Power Plant Simulation Tool (발전소 시뮬레이션 툴을 위한 열수력 모델 구현)

  • 손기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95-99
    • /
    • 1998
  • 한전 전력연구원은 발전소의 복잡한 계통을 효과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기반을 둔 시뮬레이션 툴(PowerSim)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열교환기, 펌프, 밸브, 탱크등의 구성요소에 적합한 열수력 모델을 개발하고, 이 모델을 ORCAD로부터 생성된 Netlist의 연결정보에 맞게 연결하여 발전계통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또한, 발전계통의 열수력현상을 지배하는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 방정식을 실시간에서 풀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UI based Electronic Power System Simulator (GUI 기반의 발전계통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 피무호;최종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643-645
    • /
    • 2004
  • 발전계통 시뮬레이션은 CFO(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으로서 다차원 미시적인 현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뜻한다. 주요 특징으로써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된 계통의 다양성으로 보일러, 급수계통, 증기계통, 복수계통 등 다양한 계통들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컴포넌트 모듈을 저장할 수 있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시뮬레이션 툴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발전계통 시뮬레이션 툴의 문제점은 외국의 상용화 툴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곧 시뮬레이터 유지 보수의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계통 시뮬레이션을 위한 컴포넌트 모듈의 생성, 모듈과 그래픽 라이브러리간의 연결, 유량-압력 알고리즘을 이용한 계통 Solver를 설계하고 멀티스레드를 이용한 복수개의 계통 시뮬레이터 구현 방법을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MATLAB/Simulink Modular Simulation Toolbox for Space Shuttle Main Engine (MATLAB/Simulink 모듈화 기반 우주왕복선 주엔진 시뮬레이션 툴박스 개발)

  • Cho, Woosung;Cha, Jihyoung;Ko,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3 no.4
    • /
    • pp.50-60
    • /
    • 2019
  •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a toolbox for the Space Shuttle Main Engine(SSME) based on MATLAB/Simulink. A mathematical model of rocket engine creation and validation can be a complex process, the development of a rocket engine toolbox simplifies this process, thereby facilitating engine performance optimization as well as new design development. The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SSME dealt with in this paper is formed by 32 first-order differential equations derived from seven governing equations. We develop the toolbox for the SSME classifying each module according to the engine components. Further, we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oolbox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obtained using the toolbox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original simulation of the engine.

Development of Dynamic Simulator for Light Rail Transit Depot (경량전철 차량기지 동적 시뮬레이터 개발)

  • Yang, Won-M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1
    • /
    • pp.9-18
    • /
    • 2011
  • Recently, in the era of low carbon and green growth, the importance of railway transportation is being emphasiz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imulation for railway depot.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dynamic simulator for LRT(Light Rail Transit) depot. This study presents explanations of requirement analysis, architecture, database design, simulation algorithm, and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tool. The dynamic LRT depot simulation tool consists of four modules; a Network Editor to create and modify information regarding railroad, train, signal, turnout, job and station, a Simulator to calculate train movement algorithm, a Reporter to show simulation results in table and graphs, and an Animator to animate simulation results dynamic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n general details of structure, design and development of LRT depot dynamic simulator will perform as a good reference to future development of new simulation tools.

여객선의 힐링각 변화에 따른 피난성 예측

  • Hwang, Gw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70-271
    • /
    • 2014
  • In spite of the methodology of evacuation process on vessels should be different comparing to the architecture on land, some have simulated the evacuations onboard ship with simulation tools which is developed only for the architecture. On this study, a vessel-oriented simulation tool is us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evacuation for a passenger ship. ${\cdots}$(중략)${\cdots}$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responding time and start-to-move time are so important, ${\cdots}$(중략)${\cdo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