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의 힐링각 변화에 따른 피난성 예측

  • 황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에너지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14.10.23

Abstract

In spite of the methodology of evacuation process on vessels should be different comparing to the architecture on land, some have simulated the evacuations onboard ship with simulation tools which is developed only for the architecture. On this study, a vessel-oriented simulation tool is us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evacuation for a passenger ship. ${\cdots}$(중략)${\cdots}$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responding time and start-to-move time are so important, ${\cdots}$(중략)${\cdots}$.

육상 건축물에서의 인적피난 해석과 달리 선박과 같은 해상구조물에서의 인적피난 해석을 위해서는 선박의 6자유운동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야만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툴 역시 해상용은 육상용과 구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일부에서는 육상용 시뮬레이션 툴로 선박의 피난성을 평가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시뮬레이션으로 특화된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cdots}$(중략)${\cdots}$. 시나리오별 피난성을 비교해 보면 초기반응시간과 피난개시 시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cdots}$(중략)${\cdots}$.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