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뮬레이션

검색결과 28,640건 처리시간 0.058초

디지털 생산 시뮬레이션과 합성 환경의 매핑 (Mapping between Digital Manufacturing Simulation and Synthetic Environment)

  • 문홍일;한순흥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56
    • /
    • 2004
  • 최근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야에서는 HLA에서 정의하듯이, 여러 가지 시뮬레이션이 동일한 환경에 참여하여 동시에 상호작용 하는 분산 시뮬레이션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모델링 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사용하고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다. 미국 국방부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합성 환경의 표현과 교환을 위해 SEDRIS와 같은 표준 개념들을 만들고 있으며, 산업계에서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영역에서도 역시, 호환성과 원가절감의 측면에서 표준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디지털 생산 시뮬레이션 솔루션인 DELMIA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와, 합성 환경의 표준인 SEDRIS 데이터간의 매핑 방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데이터의 표준 기술인 SEDRIS를 DELMIA와 같은 상업용 디지털 생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표현하고 교환하는 표준으로서 활용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프로크루스테스 분석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출력 분석 (Simulation Output Analysis s using Procrustes Analysis)

  • 박경종;이영해;문기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3년도 제3회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
    • /
    • 1993
  •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출력 분석은 중요한 분야중의 하나로 출력 분석을 정확히 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시뮬레이션 출력 분석 분야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프로크루스테스 분석(Procrustes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출력 데이타의 안정상태(steady state)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프로크루스테스 분석 방법은 시뮬레이견 출력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앨고리듬을 개선하여 적용하며, M/M/1 대기모형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M/M/1 대기모형에서 대기열의 평균대기시간과 평균길이라는 두가지 매개변수에 대한 출력 데이타를 동시에 사용하여, 프로크루스테스 분석을 행한 결과와 시뮬레이션 출력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반복-제거 방법(replication-deletion approach)을 비교한 결과, 시뮬레이션 실행 횟수를 줄여도 추정하고자 하는 참값에 보다 더 가깝고 신뢰 구간의 폭이 더 좁은 추정치를 얻는다.

  • PDF

시뮬레이션의 계층적 애니메이션 환경 (Hierarchical animation Environment for Simulation)

  • 조대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87-191
    • /
    • 1998
  •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형식론은 계층적이고 모듈화 된 형식으로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이론적으로 잘 정립된 시뮬레이션 방법론이다. 시뮬레이션의 진행과정 및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애니메이션 개발 환경에 있어서도 DEVS 모델의 구조를 반영하여 계층적 애니메이션 환경을 구현 할 수 있다. 계층적 애니메이션은 시뮬레이션 관찰자가 시스템의 특정 레벨에 맞추어 애니메이션 진행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이 갖는 장점인 시스템 이해 및 모델의 신뢰성 검증의 향상 뿐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시스템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다는데 그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인 애니메이션과 그래픽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DEVS 모델의 구조를 반영한 계층성을 갖는 애니메이터(시뮬레이션과 애니메이션의 연결 프로세서)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애니메이터는 모델과 같은 구조로 각 모델에 필요한 애니메이션 객체들을 유지·관리함으로써 계층적 애니메이션을 가능하게 하며, 시뮬레이션의 이산적인 시각 경과와 애니메이션의 연속적인 시간 경과와 애니메이션의 연속적인 시간 경과 사이에 동기화를 용이하게 한다.

  • PDF

개선된 DEVS 모델을 이용한 전략 시뮬레이터 개발

  • 황도성;박성봉;안명수;김탁곤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27
    • /
    • 2000
  •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기법이 최근 들어 통신망, 각종 제조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군사용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방법론으로도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군사용 전략 시뮬레이터는 모델간 대규모 상호 작용을 요구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델간의 사건 전달 방법을 적용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경우에 시뮬레이션을 위한 계산량이 과도하게 요구되어 대규모의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모두 갖춘 DEVS 형식론을 개선하여 군사용 전략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기 위한 Framework을 소개한다. 개발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DEVS 의미론에 기반한 모델링 환경을 제공하지만 시뮬레이션 속도 개선을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을 고려한다. 또한, GIS 기반의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모델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을 기술한다.

  • PDF

링크 용량계획을 위한 분석적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A Study on Analytical Simulation Technique for Link Capacity Planning)

  • 장택수;한정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04-506
    • /
    • 2011
  • 네트워크 관리자는 트래픽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성능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링크에 필요한 용량을 산정해야할 때가 있다. 대규모 네트워크의 경우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만을 수행하여 용량을 산정하는 것보다 분석적 시뮬레이션을 함께 사용하여 용량을 산정한다면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링크 용량계획을 위한 분석적 시뮬레이션의 활용방안을 논하고 그 기법을 기술하였다. 제안한 분석적 시뮬레이션 기법은 정상상태의 네트워크 분석이기 때문에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에 비해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은 작지만 정확도는 낮다. 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의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 좀 더 정밀한 시뮬레이션이나 분석을 위한 사전자료를 만들기에 충분할 것이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빠른 기능-시간 시뮬레이션 기법 (A Method for Fast Timed-functional Simulation of Embedded Software)

  • 김호근;정은진;박해우;하순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95-1598
    • /
    • 2010
  • 임베디드 시스템의 설계 복잡도가 높아지고, 설계 확인 및 수정 비용이 증가하면서 목표 아키텍처가 결정되기 전, 즉 시스템의 설계 초기 단계에서의 적절한 소프트웨어 검증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초기 단계의 시뮬레이션은 높은 성능을 보이면서도 기능과 타이밍, 하드웨어 아키텍처, 태스크 할당, 그리고 스케줄링 정책 등을 잘 반영해야 한다. 특히 외부와의 시간 의존적인 상호 작용이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인데 기존 연구[1]에서는 반복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시뮬레이션 결과의 수렴 속도에 따라 총 시뮬레이션 시간이 증가한다는 약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명세 조건에 따라, 가능한 경우 반복 시뮬레이션을 피하고 단일 시뮬레이션만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음으로써 시뮬레이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반복 시뮬레이션 예제, 로봇 예제, 센서 네트워크 예제 등의 예제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시뮬레이션 성능은 평균적으로 약 2.31 배 향상되었다.

무기체계 교전 시뮬레이션을 위한 매트랩 기반 이산사건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ATLAB-based Discrete Event Simulation Framework for the Engagement Simulations of the Weapon Systems)

  • 황근철;이민규;김정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39
    • /
    • 2012
  •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는 시뮬레이션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을 지원하는 기반 소프트웨어이다. 본 논문은 공학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매트랩을 이용하여 개발된 이산사건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의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매트랩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을 토대로 새롭게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매트랩 언어의 편리성과 이산사건시뮬레이션 형식론(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Formalism)이 가지는 뛰어난 개발 방법론을 결합시킴으로써 무기체계 교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에서 요구되는 생산성, 유연성, 확장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매트랩의 병렬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배치(Batch)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수행시 컴퓨터 환경에서 지원되는 CPU 코어의 수에 비례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연산성능을 향상시킨다.

수중 교전 모의를 위한 HLA/RTI 기반 시뮬레이션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of Distributed Simulation for Underwater Warfare)

  • 함원경;정용호;최종엽;박상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3-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중 환경에서의 교전급 모의를 위한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한다. 국방 분야에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S)을 통한 검증은 비용, 시간, 및 노력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접근 방법으로 주목되어 왔으며, 무기체계의 도입의 각 단계에서 시뮬레이션 기반의 획득(Simulation-Based Acquistion : SBA)이 필수 프로세스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복잡한 전장 환경을 전반적으로 묘사하는 방대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발은 많은 자원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미 개발된 한정적인 목적을 갖는 시뮬레이터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는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시스템의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 및 시간의 절약이 가능하다.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 중 High-Level Architecture(HLA)는 미국 표준으로 지정되었고, 이것을 구현한 Run-Time Infrastructure(RTI)는 미들웨어로서 효율적인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축을 도와준다.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HLA/RTI 기반의 수중 교전 모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수행 목적에 적합한 모니터링 요소를 도출하고, 그 체계 및 표현 방안을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분석하는 시스템의 구현에 있다.

Virtual-Constructive 시뮬레이션 연동을 활용한 공중전 전투 실험 (Virtual-Constructive Simulation Interoperation for Aircombat Battle Experiment)

  • 김동준;신용진;안경수;김영곤;문일철;배장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39-152
    • /
    • 2021
  •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경험하기 어려운 사건을 가상적으로 체험할 수도 있으며,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국방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이런 체험을 기반으로 Virtual 시뮬레이션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분석을 위하여 Constructive 시뮬레이션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런 시뮬레이션을 연동하여, VC(Virtual-Constructive)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할 수 있고, VC 시뮬레이션 환경은 전투 환경의 가상적인 경험과 교전개체의 지능적인 전술을 동시에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이다. 또한, 최근의 인공지능 연구를 위해, 사람의 행동을 학습하는 이미테이션 학습 혹은 역강화학습 분야는 VC 환경에서 수집된 인간 행동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제시된 연구는 공중전 분야에 VC 시뮬레이션 환경의 사례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인간 행동 데이터의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중전 분야 VC 시뮬레이션 환경이 어떻게 구축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학습을 위하여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