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나리오

Search Result 5,8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under climate stress scenarios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댐 이수안전도 평가)

  • Jihyeon Jo;Dong Kook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5-38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특성 및 기후변동을 체감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자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IPCC의 미래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는 특정 복사강제력에 기반을 하기에 그 자체만으로도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전 지구적 모형을 활용하는 점에서 우리나라 기후변화 예측 정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장래 수자원 공급의 의사결정 객관성 및 체계를 확보하고 위에 제시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ecision-Scaling을 적용하여 댐 이수안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충주, 용담, 합천, 섬진강댐을 선정하였다. 기후스트레스 시나리오는 총 91개(순위 기반 강우 스트레스 시나리오 13개 및 0℃에서 6℃까지의 7개 온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1995년부터 2014년까지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하였다. 수문모형(IHACRES)과 저수지모형(HEC-ResSim)을 결합하여 이수안전도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검정은 과거 댐 유입량과 비교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은 매우 높은 정확도(R2≥0.81)를 보여, 과거 사상에 대한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여름철 강우 변동이 온도와 비교하여 용수공급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i) 강우와 온도가 동시에 변화하는 시나리오와, (ii) 개별적으로 변화하는 시나리오에 대한 이수안전도의 합과 비교하여, (i)의 경우가 이수안전도에 더 큰 영향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 강수량의 감소와 증가로 인해 각각 물과 에너지가 제한된 실제증발산이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를 포함한 기후 스트레스 발생 시 효율적인 댐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f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과학관 챗봇 도슨트 개발을 위한 구조화된 시나리오의 틀 연구)

  • Kim, Hong-Jeong;Rhee, Sang-Won;Jeong, Seok-Hoon;Tahk, Hyun-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1
    • /
    • pp.115-1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of structural scenarios for chatbot docent that supports visitors' activities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examples. For this study, the author adapted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the frameworks of scenario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Coll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CST) and Inquiry-Based Exhibition(IBE). These frameworks had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storytelling in common. Especially, framework of IBE scenario was added the usage dimen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between exhibits and visitors. This study could be basic materials for AI chatbot to support exhibition descriptions using the built data, and is expected to be help develop a more visitor-oriented scenarios of activities.

A Sutdy of VTS Simulator Development using port specified scenario technology (항만별 맞춤 시나리오 생성기술을 적용한 VTS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Nam, Gyeungtae;Lee, Sangil;Lee, Younggeun;Park, Gw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2-33
    • /
    • 2013
  • In the past, the scenario of VTS simulator was made by instructor's manual operation using waypoint definition of target ship. but in this study, we use automatic scenario creation technology with AIS data and Port-MIS data. The created VTS simaulator scenario also can be modified, added, and saved by instructor's manual operation. VTS simulator display target ship on the Electronic Navigation Chart based on S-57 format. A instructor can easily open this scenario and start, pause, stop operation wirth VTS simulator. A new modification also can be applied immediately to current scenario and can be saved new scenario file. VTS simulator using this technology can create many scenarios for a specific purpose and can be easi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 fields.

  • PDF

Layered Authoring of Cyber Warfare Training Scenario (계층적 사이버전 훈련 시나리오 저작)

  • Song, Uihyeon;Kim, Donghwa;Ahn, Myung Ki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1 no.1
    • /
    • pp.191-199
    • /
    • 2020
  • Cyber warfare training is a key factor for boosting cyber warfare competence. In general, cyber warfare training is conducted by scenarios, and the effects of training can be enhanced by including various elements in the scenario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training information, network map, traffic generation policy, threat/defense behavior identified as elements to be included in training scenarios, and propose a method of authoring training scenarios by layering and combining them. We also propose a database design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each scenario layer. The layered training scenario author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convenience of authoring by reusing existing layers and extending training scenarios based on various combinations between the layers.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Bias Correction Method for Hydrologic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 편의보정 기법 개발)

  • Lee, Moon-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8-158
    • /
    • 2012
  • 기후시나리오는 시 공간 해상도가 낮아 결과를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지역기후모형(RCM)을 통해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여 각 분야의 영향평가 시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후모형이 갖는 한계로 인하여 시나리오는 관측자료에 비해 과소모의되는 경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수 있는 편의보정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외적으로 여러 편의보정기법이 존재하며, 편의보정기법 선정에 따라 최종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수문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 기후시나리오 중 가장 중요한 요건은 일단 관측치의 월 및 계절별 변동성이 잘 반영되는 가이며, 두 번째는 극한 사상(high, low)을 얼마나 잘 모의하여 홍수와 가뭄을 평가하는데 용이한 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편의보정 기법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의 편의 보정 기법을 제안 및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기존 편의보정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Change factor method, Quantile mapping, Weather Generator 등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역학적으로 상세화된 기후시나리오와 기상청 관할의 기상관측소의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강수량 등의 기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평가를 위해 선정한 관측소 지점은 1951년부터 강수 및 기온 자료가 존재하는 기상청 관할 기상관측소를 토대로, 지역적인 평가를 위해 최종적으로 서울, 강릉, 대구, 부산, 목포, 광주, 전주, 울산, 추풍령을 선정하였다. 이 중 1956~1980년을 과거기간으로 1981~2005년를 미래기간으로 가정하고, 편의 보정 기법 적용하여 기온과 강수량의 통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평가결과, 편의보정 기법의 따른 한계점들을 도출하였다. 한계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편의 보정기법은 강수량을 크게 3단계(극한 호우사상, 강수일수, 평균 표준편차 보정)로 나누어 편의보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극한 호우사상을 위해서는 연최대치 계열을 이용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비초과확률을 이용하여 RCM 결과값의 강수일수를 보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나머지 강수시나리오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보정하여 최종시나리오를 생산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편의보정기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수문학 분야에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제안한 편의보정 기법 및 평가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발표 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Climate Zone Shifts over Asia under Global Warming using CMIP6 Projections (CMIP6 기반 전지구 기온상승에 따른 아시아 지역 기후대 변화분석)

  • Kim, Jeong-Bae;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37
    • /
    • 2021
  • 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 인구의 60%가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 내에는 다양한 기후대가 혼재되어 있다. 통상, 기후대는 지역의 전반적인 기후 및 가용 수자원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지역의 기후변동성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급격한 기후대 이동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AR6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전지구 기온상승에 따른 아시아 지역의 기후대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CMIP6 GCMs 및 공유사회경제경로(SSP1-2.6 및 SSP5-8.5)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앙상블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산출하였다. 관측 및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화 이전 대비 미래 전지구 기온상승(1.5℃~5.0℃) 특성을 추정하였다. 통계적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상세화하고, 쾨펜 기후구분법을 적용하여 기후특성에 따라 기후대를 구분하였다. 이후, 개별 전지구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아시아 지역의 기후대 분포 및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아시아 지역 전반에서 기후대 변화가 가속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모든 SSPs 및 GCMs 시나리오 하에서 동일하였다. 전지구 기온 상승폭은 SSP1-2.6 대비 SSP5-8.5 시나리오 하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1.5℃ 및 2.0℃ 기온상승 조건에 도달하는 시기도 SSP5-8.5 시나리오에서 현저히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기후대 이동이 나타나는 지역은 전지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 (SSP5-8.5)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 변화량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동일한 기온상승 조건 하에서는 SSP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기후대 변화 면적 및 공간적 변화패턴이 유사하였다. 기온상승에 따라 아시아 지역 내 열대기후와 건조기후 지역은 확대되는 반면, 온대 및 한랭, 극기후 지역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지구 기온상승 조건 별 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후대 변화특성은 지역별 기후변화 영향평가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impact assessment on water resources (수자원 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

  • Im, Eun-Soon;Kwon, Won-Tae;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2 s.173
    • /
    • pp.1043-1056
    • /
    • 2006
  • Our ultimate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hange in regional surface climate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to produce higher quality regional surface climate inform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for comprehensive impact assessment. Toward this purpose, we carried out two 30-year long experiments, one for present day conditions (covering the period 1971-2000) and one for near future climate conditions (covering the period 2021-2050) with a regional climate model (RegCM3) using a one-way double-nested system. In order to obtain the confidence in a future climate projection, we first verify the model basic performance of how the reference simulation is realistic in comparison with a fairly dense observation network. We then examine the possible future changes in mean climate state as well as i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climate events to be derived by difference between climate condition as a baseline and future simulated climate states with increased greenhouse gas. Emphasis in this study is placed on the high-resolution spatial/temporal aspects of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under different climate settings over Korea generated by complex topography and coastlines that are relevant on a regional scale.

A Study on Selection of Standard Scenarios in Korea for Climate Change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Jae-Kyoung;Kim, Young-Oh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1
    • /
    • pp.59-73
    • /
    • 2010
  •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projecting future water resources and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is 'uncertainty'. In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results were very heterogeneous even in a same basin, but there have been few climate change studies dealt with the uncertainty reduction. This is because emission scenarios, GCMs, downscaling, and rainfall-runoff models that were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almost all different. In this research, fifty one GCM scenarios based A and B emission scenarios were download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observed values for a period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8. The downloaded GCM scenarios in general simulated well the observed but did not simulated well the observed precipitation especially for the flood season in Korea. The accuracy of each GCM scenario was measured with the model efficiency, PDF-based, and Relative Entropy methodology. Among the selected GCM scenarios with three methodologies, the four common GCM scenarios(CGCM2.3.2(MRI-M, B1), MIROC3.2medress(NIES, B1), CGCM2.3.2(MRI-M, A2), CGCM2.3.2(MRI-M, A1B)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of the four selected GCMs were heterogeneity and projected increases of precipit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by from 27.36% to 12.49%, respectively. It seems very risky to rely a water planning or a management policy on use of a single climate change scenario and from this research results. Therefore, the four selected GCM scenarios proposed quantitatively were considered firstly for the water supply in the dry season and the drought management strategy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uture.

Integrated Scenario Authoring Method using Mission Impact Analysis Tool due to Cyber Attacks (사이버공격에 의한 임무영향 분석 도구를 이용한 통합시나리오 저작 방법)

  • Yonghyun Kim;Donghwa Kim;Donghwan Lee;Juyoub Kim;Myung Kil Ah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4 no.6
    • /
    • pp.107-117
    • /
    • 2023
  • It must be possible to assess how combat actions taking place in cyberspace affect the military's major mission systems and weapon systems. In order to analyze the mission impact caused by a cyber attack through cyber M&S, the target mission system and cyber warfare elements must be built as a model and a scenario for simulation must be authored. Many studies related to mission impact analysis due to cyber warfare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and existing studies have authored separate scenarios for physical battlefields and cyber battlefields. It is necessary to build a simulation environment that combines a physical battlefield model and a cyber battlefield model, and be able to integrate and author mission scenarios and cyber attack/defense scenarios. In addition, the physical battlefield and cyber battlefield are different work areas, so authoring two types of scenarios for simulation is very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using mission system information to prepare the data needed for scenario authoring in advance and using the pre-worked data to author an integrated scenario. The proposed method is being developed by reflecting it in the design of the scenario authoring tool, and an integrated scenario authoring in the field of counter-fire warfare is being performed to prove the proposed method. In the future, by using a scenario authoring tool that reflects the proposed method,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author an integrated scenario for mission impact analysis in a short period of time.

Emergency Scenarios Interpretation through Event Recognition of Independent Objects (독립 객체의 이벤트 인식을 통한 긴급 상황 시나리오 해석)

  • Kim, Young-Hwan;Kim, Min-Jun;Choi, Chang-Gyu;Kim,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494-499
    • /
    • 2007
  • 본 논문은 객체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각 객체의 행동 양식을 분석함으로써 객체의 현재 이벤트를 인식하고 확률 모델을 기반으로 한 긴급한 상황에서의 시나리오를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해석을 위한 이벤트 인식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적용되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인식된 객체의 이벤트를 바탕으로 미리 정의된 시나리오에 가장 근접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자동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벤트 규칙, 이벤트 인식, 그리고 이벤트를 바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시나리오가 실내 또는 실외 환경에서 객체 추적만을 통해 얻을 수 없는 의미론적 정보를 제안된 방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