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간적 특성

Search Result 6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using Ocean Color Remote Sensing Imagery (해색위성영상을 활용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 Kim Sang Woo;Cho Kyu Dae;Kim Young Seup;Kim Dong Sun;Choi Yoon Sun;Suh Young Sa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3.11a
    • /
    • pp.191-193
    • /
    • 2003
  •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s around the Korea Peninsula was described, using the monthly mean composite images of the SeaWiFS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 The high pigment concentrations appear in the spring and fall in the East Sea The spring bloom in the southern regions (in April) occurs one month in advance in comparison with tint in the northern regions (in May). In summer season, the pigment concentrations are low all over the region in the East Sea And the high pigment concentrations exist yearly around warm stream along the coast of the East Sea, and in the coast of the West Sea and South Sea In particular, the high pigment concentrations linking near the mouth q the Yangze River to coast of South Sea in Korea appear during August to December.

  • PDF

Development of a dispersion coefficient method using a drone-based spatio-temporal hyperspectral image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기법 개발)

  • Gwon, Yeonghwa;Han, Eunjin;Kim, Dongsu;You, Hojun;Kim, Youngdo;Kwon, Siyoo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2-113
    • /
    • 2021
  •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유수의 흐름에 따라 이송되며 혼합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해석을 위해서는 확산 또는 분산계수 산정이 필요하다. 오염물질의 거동과 관련된 실험적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와 형광성 물질을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추적자 실험은 많은 비용 및 인력을 요하며, 고정식으로 설치한 계측장비로부터 수집한 시계열 농도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공간적 분포에 대한 자료 취득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천의 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이동하는 입자의 관점에서 물리량을 표현하는 Lagrangian 방식보다 특정 위치에서 물리량 변화를 표현하는 Eulerian 방식이 적합하다. 그러나 드론을 활용한 하천원격탐사 연구의 대부분은 이동식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특정 시간에 공간적 분광특성의 분포 파악이 한정적이며, 동일 지점에서 분광특성의 시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면단위를 측정하는 이동식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천 모니터링에 적합한 Eulerian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촬영 플랫폼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하천에서 형광성물질인 Rhodamine WT를 이용하여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접촉식 센서를 활용한 농도측정과 동시에 드론과 초분광센서를 활용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결과 도출된 전통적인 방식의 분산계수 산정과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을 비교하여 오염물질 거동 분석에 초분광영상 활용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 기법을 교량이나 기타 하천구조물에 초분광 센서를 설치하여 CCTV형식으로 활용할 경우, 공단이나 하·폐수 처리장 등의 점오염원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직접 설치하여 화학사고의 감지 및 오염물질의 유출 확인 및 조류, 부유사 등의 다양한 수질항목의 농도 변화 감지가 가능하고, 수심변화 감지로 장기적으로 활용할 경우 특정 지점에서의 하상변동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의 유출 사고 발생 등의 사람이 직접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 드론을 활용하여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오염물질 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tuberculosis mortality estimations in Korea (시공간 분석을 이용한 결핵 사망률추정)

  • Park, Jincheol;Kim, Changhoon;Han, Junhe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5
    • /
    • pp.1183-1191
    • /
    • 2016
  • According to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Korea ranked 1st place for TB morta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several administrative policies have been suggested and their efforts start showing some improvement. Meanwhile, those policies must be supported by solid scientific evidences by conducting appropriate statistical analyses. In particular,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uch as TB must be analyzed considering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analyzed TB mortality rates in Korea from 2000 to 2011 using one of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which is implemented as R package (R-INLA).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Time and Space for Water Surface in Bill Viola's (물 표면의 시공간성 변형에 대한 연구 1 -빌 비올라의 을 중심으로)

  • Lee, Yele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43-644
    • /
    • 2021
  • 최근 가상 디지털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물의 다양한 속성에 관한 시공간적 표현은 동시대 매체 미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물의 표면을 경계(boundary)로 그 경계면의 상하 공간, 경계면과의 거리감, 물그림자, 물의 투영성 등을 통한 시공간 표현에 관한 것이다. 대상 작품으로는 빌 비올라의 을 중심으로, 레안드로 에를리치의 설치 작품, 데이비드 호크니의 회화를 사례로 제시한다. 다양한 미술 매체를 통해 변형된 시공간성은 물 표면이라는 매개체와의 관계적 특성 안에서 이미지의 환상성을 부각한다.

  • PDF

농축산 B2B 현황과 추진방향(농축산 업종)

  • 천재성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1.08a
    • /
    • pp.111-119
    • /
    • 2001
  • 1. 농촌의 낙후성 극복 ㆍ 농촌지역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른 문화/교육 등의 낙후성은 지식/정보를 통해 극복 ㆍ정부의 농촌지역 정보 인프라 구축을 유도해내기 위한 농업정보화 추진 필요 2 유통개혁에 대한 국민적 기대 증대 ㆍ 농얼 유통산업을 위한 공동도매시장, 물류센터 등의 시설에 대한 집중 투자 및 유통부문 예산확대 ㆍ 농안법 개정 ㆍ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제정 3. 유통구조의 변화 ㆍ 외국계 대형할인점 국내진출 가속화 및 중소유통업의 조직화 → Buying Power 강화 ㆍ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상거래. TV홈쇼핑 등 사이버 마켓의 급부상(중략)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oil Heat Fulx within Coniferous Canopy in Kwangneung Arboretum (광릉수목원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시공간적 변화)

  • 김현탁;박윤호;김연희;엄향희;최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430-431
    • /
    • 2002
  • 기상변동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위하여 장기관측을 통한 다양한 지표 생태계에서의 수분 및 에너지 순환에 대한 연구가 진행(Grelle, et al., 1997: Wilson and Baldocchi, 2000)되고 있으며, 모형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이에 대한 검증과 보다 정확한 자료의 산출을 위해서 양질의 관측자료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영향이 오래 지속되는 토양특성에 대한 정확한 토양수분 자료를 사용할 경우 기후 및 기상 예측의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tlas et al. 1993). (중략)

  • PDF

SOM-based Spatio-Temporal Data Mining System (SOM 기반 시공간 데이터 마이닝 시스템)

  • Kang Juyoung;Lee Bongjae;Song Jaeju;Shin Jinho;Yong Hwa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05-108
    • /
    • 2004
  • 데이터 양이 급증함에 따라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지식을 추출해 내고자 하는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최근, 환경이 이동 분산화 되어감에 따라 감시${\cdot}$모니터링 시스템, 기상 관측 시스템, GPS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응용 시스템으로부터 방대한 양의 시공간 데이터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른 효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시공간 데이터 마이닝 연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경우 문자나 숫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적화 되어있기 때문에 시${\cdot}$공간 속성을 동시에 가지는 데이터를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SOM(Self-Organizing Map)을 적용하여 시공간 클러스터링 모듈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듈의 성능 및 클러스터링 정확성을 다른 세 가지 군집분석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가시화 모듈을 개발하여 입력 데이터의 특성과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ata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Spatio-Temporal Query (모바일 시공간 질의을 위한 데이타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Ki-Young;Lim, Myung-Jae;Kim, Joung-Joon;Kim, Kyu-Ho;Kim, Jeong-La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1
    • /
    • pp.109-113
    • /
    • 2011
  •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computing, the u-GIS which not only used in u-Transport, u-Care, u-Fun, u-Green, u-Business, u-Government, and u-City but also used to provides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user is be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mobile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Systems for handling the Spatio-Temporal Data in mobile equipment.The mobile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Systems provides the spatio-temporal data type and the spatio-temporal operator that is expanded by the spatial data type and the spatial operator from Oe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 It supports arithmetic coding compression techniques that is considered with a spatio-temporal data specific character. It also provides the function of data cashing for improving the importation and exportation of the spatio-temporal data between a embedded spatio-temporal DBMS and u-GIS server.

A Comparison of Performance between STMP/MST and Existing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Methods (STMP/MST와 기존의 시공간 이동 패턴 탐사 기법들과의 성능 비교)

  • Lee, Yon-Sik;Kim, Eun-A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5
    • /
    • pp.49-63
    • /
    • 2009
  • The performance of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depends on how to analyze and process the huge set of spatio-temporal data due to the nature of it. The several method was presen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which existing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methods[1-10] have, such as increasing execution time and required memory size during the pattern mining, but they did not solve properly yet. Thus, we proposed the STMP/MST method[11] as a preceding research in order to extract effectively sequential and/or periodical frequent occurrence moving patterns from the huge set of spatio-temporal moving data. The proposed method reduces patterns mining execution time, using the moving sequence tree based on hash tree. And also, to minimize the required memory space, it generalizes detailed historical data including spatio-temporal attributes into the real world scopes of space and time by using spatio-temporal concept hierarchy. In this pap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MP/MST method, we compared and analyzed performance with existing spatio-temporal moving pattern mining methods based on the quantity of mining data and minimum support factor.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flash drought using Flash Drought Intensity Index based on soil moisture (토양수분 기반 FDII를 활용한 돌발가뭄의 시공간적 정량화)

  • Hee-Jin Lee;Won-Ho Nam;Jason A. Otkin;Yafang Zhong;Mark D. Svobod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46
    • /
    • 2023
  • 돌발가뭄 (Flash drought)은 일반적인 가뭄과 달리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이상으로 인해 단기간 급속하게 발생하는 가뭄이다. 짧은 기간에 식생 스트레스가 증가하며, 작물생산량의 감소로 인해 농업 생태계에 피해를 야기하며, 과도한 증발 수요 및 급격한 토양수분의 감소는 수문학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Flash Drought Intenisty Index (FDII, 2021)를 활용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발생한 돌발가뭄에 분석하였다. FDII는 가뭄 심화속도, 평균 심각도의 두 가지 요소를 곱하여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가뭄 및 비가뭄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아노말리 (Anomaly) 대신 백분위수 (Percentile)를 활용한다. 국내 돌발가뭄 분석을 위하여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위성영상 기반 근역층 토양수분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8도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를 대상으로 돌발가뭄 사상에 대하여 토양수분 백분위수의 월별 공간분포 및 FDII를 산정하여 국내 돌발가뭄의 강도를 정량화하였다. 지역 및 시기별로 다르게 발생하는 돌발가뭄을 대상으로 FDII를 활용하여 돌발가뭄의 초기 발생, 가뭄 전이 현상 등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향후 대상 지역의 세분화 및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FDII 적용으로 신뢰성 높은 국내 돌발가뭄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