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oil Heat Fulx within Coniferous Canopy in Kwangneung Arboretum

광릉수목원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시공간적 변화

  • 김현탁 (기상청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
  • 박윤호 (기상청 예보관) ;
  • 김연희 (기상청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 ;
  • 엄향희 (기상청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 ;
  • 최병철 (기상청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기상변동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위하여 장기관측을 통한 다양한 지표 생태계에서의 수분 및 에너지 순환에 대한 연구가 진행(Grelle, et al., 1997: Wilson and Baldocchi, 2000)되고 있으며, 모형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이에 대한 검증과 보다 정확한 자료의 산출을 위해서 양질의 관측자료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영향이 오래 지속되는 토양특성에 대한 정확한 토양수분 자료를 사용할 경우 기후 및 기상 예측의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tlas et al. 1993).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