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계열 표현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ime Series Representation Combining PIPs Detection and Persist Discretization Techniques for Time Series Classification (시계열 분류를 위한 PIPs 탐지와 Persist 이산화 기법들을 결합한 시계열 표현)

  • Park, Sang-Ho;Lee, Ju-H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9
    • /
    • pp.97-106
    • /
    • 2010
  • Various time series representation methods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process time series data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AX is the representative time series representation method combining segmentation and discretization techniques, which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he time series classification task. But SAX requires a large number of segments in order to represent the meaningful dynamic patterns of time series accurately, since it loss the dynamic property of time series in the course of smoothing the movement of time seri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new time series representation method that combines PIPs detection and Persist discretization techniques. The suggested method represents the dynamic movement of high-diemensional time series in a lower dimensional space by detecting PIPs indicating the important inflection points of time series. And it determines the optimal discretizaton ranges by applying self-transition and marginal probabilities distributions to KL divergence measure. It minimizes the information loss in process of the dimensionality reduction. The suggested method enhances the performance of time series classification task by minimizing the information loss in the course of dimensionality reduction.

Analysis of the Music based on Time series (시계열을 이용한 음악의 해석)

  • 손세호;이중우;권순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113-116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an analysis of the music as a time series and the fuzzy logic-based modeling of it. All music is made up of a finite number of musical notations known as the musical symbols, such as clefs, staff, tine signature, notes, rests, etc. . The musical score uses musical symbols to present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rhythm, melody, chord, etc,. for interpreting the music.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transform the beat and pitch in the musical into time series from the viewpoint of recognizing beat and pitch of sounding tone at each time. On the basis of the identified features of the musical score, a musical score is represented as a time series and then is constructed to fuzzy logic-based model for predicting them. Example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 PDF

Time series representation for clustering using unbalanced Haar wavelet transformation (불균형 Haar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군집화를 위한 시계열 표현)

  • Lee, Sehun;Baek, Changryo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1 no.6
    • /
    • pp.707-719
    • /
    • 2018
  • Various time series represent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efficient time series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Lin et al. (DMKD, 15, 107-144, 2007) proposed a symbolic aggregate approximation (SAX) method based on symbolic representations after approximating the original time series using piecewise local mean. The performance of SAX therefore depends heavily on how well the piecewise local averages approximate original time series features. SAX equally divides the entire series into an arbitrary number of segments;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capture key features from complex, large-scale time series data.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data-adaptive local constant approximation of the time series using the unbalanced Haar wavelet trans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o outperforms SAX in many real-world data applications.

Rule discovery for sequential patterns of trend from Time-Series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경향성을 이용한 순차패턴의 탐색)

  • 오용생;남도원;장지숙;이동하;이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5-332
    • /
    • 2000
  • 데이터마이닝 분야에서 시계얼 데이터(time-series data)내에서 숨어 있는 순차패턴의 발견은 상품(Items)이나 어떤 사건(Event)과 같이 데이터의 특징이 명확한 대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왔으나 수치 값을 가지는 시계열 데이터에서 이들 내부에 숨어 있는 패턴을 발견하는 것은 최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는 시계열 데이터를 시간적 변화에 따라 값의 변화 경향(Trend)이 같은 데이터 그룹을 패턴 요소인 벡터 (Vestor)로 표현하여 이들을 이용해서 흥미로운 패턴들을 발견한다. 이와 같은 벡터적인 표현으로 우리는 벡터들 간의 포함관계를 적용해 모든 가능한 형태의 패턴 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향성을 가진 패턴 요소를 사건(Event)과 같이 취급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가 동시에 발생될 때 이들 상호간에 연관된 시간적 패턴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경향성을 기초로 한 순차패턴의 탐식은 기업내부의 판매실적의 변화 패턴이나, 고객의 구매 행동분석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 PDF

패턴인식법에 의한 압축기의 이상진단에 관한 연구

  • 김태구;김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30
    • /
    • 2001
  • 엔진이나 콤프레셔 등과 같은 기기 진동의 동특성은 불규칙적으로 변동하는 성분을 갖는 랜덤 프로세스로 그것을 수학적으로 명확히 기술하는 것은 어렵다/sup 1)/. 하지만 통계학적인 입장에서 시계열 데이터를 보면 시계열 데이터가 확률변수로서 각각의 모집단에 속한다. 따라서 이 점에 주목하여 시계열의 확률적인 특징을 추출하는 것으로, 각각의 시계열 데이터를 확률공간으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시계열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어진 상태의 식별가능하다는 이론이 성립된다/sup 2)/.(중략)

  • PDF

Fusion of Multi-Scale Features towards Improving Accuracy of Long-Term Time Series Forecasting (다중 스케일 특징 융합을 통한 트랜스포머 기반 장기 시계열 예측 정확도 향상 기법)

  • Min, Heesu;Chae, D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539-54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장기 시계열 예측을 위해 시계열 데이터의 다양한 스케일 (시간 규모)에서 표현을 학습하는 트랜스포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시계열의 다중 스케일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트랜스포머에 반영하여 예측 시계열을 생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케일 정규화 과정을 통해 시계열의 전역적 및 지역적인 시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융합하여 종속성을 학습한다. 3 가지의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Hangel Handwriting generation using HMMs (HMM을 이용한 한글 필기 생성)

  • Sin, Bong-Kee;Kim, Jin-H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152-163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은닉 마르코프 모형(HMM)을 이용하여 사람이 쓴 필기의 통계적 특징을 갖는 글씨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코자 한다. 온라인 필기처럼 같이 필기 궤적을 시계열 신호로 표현하고, 그 특징을 통계적 모형의 하나인 HMM으로 표현한다. HMM은 시계열 신호에 대응하는 모형 내부 경로와 심볼열의 확률 분포를 표현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최적 경로에서 볼 수 있는 최적 출력 심볼열은 훈련 필기 데이타의 평균적 필기 특징에 해당한다. HMM이 주어졌을 때 HMM에서 최적의 패턴을 해석적으로 구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여 HMM이나 HMM 네트워크 모형에서 필기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아울러 HMM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 PDF

Application of Type-2 Fuzzy Logic System to Forecasting Time-Series Process (Type-2 퍼지 논리 시스템의 시계열 예측 공정으로 응용)

  • Baek, Jin-Yeol;Oh, Sung-Kwan;Kim, Hyun-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95-9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예측 공정의 모델링을 위해 Type-2 퍼지 논리 집합을 이용하여 불확실성 문제를 다룬다. 기존의 Type-1 퍼지 논리 시스템(Fuzzy Logic System, FLS)은 외부의 노이즈와 같은 불확실성에 민감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Type 퍼지 논기 시스템은 불확실한 정보까지 멤버쉽 함수로 표현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여기서 불확실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규칙의 전 후반부 멤버쉽 함수로 삼각형 형태의 Type-2 퍼지 집합을 사용한다. 전반부의 경우 HCM 클러스터링을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들 간의 거리를 중심으로 멤버쉽 함수를 정의하고, 후반부는 입자 군집 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으로 멤버쉽 함수의 정점을 동조한다. 제안된 모델은 표준 모델 평가에 주로 사용되는 가스로 시계열 데이터를 적용하고, 특정 데이터로 노이즈에 영향 받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치 석인 예를 보인다.

  • PDF

An Encoding Method of Sequential Patterns using Energy-based models (에너지 기반 모델을 이용한 순차 패턴 부호화 방법)

  • Heo, Min-Oh;Kim, Kwon-Ill;Lee, Sang-Woo;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30-332
    • /
    • 2012
  • 시계열 데이터 모델링은 시간 간격의 길이에 따라 단기적인 패턴이 주로 반영된다. 특히, 모델에 마코프 가정을 적용하였을 경우 이전 시간의 값에 따라 현재값이 결정된다. 시계열 데이터의 장기적인 변화를 다루기 위해, 특정 길이의 순차적 패턴을 부호화 하고, 이를 상위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추상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실제로 사람의 감각기억은 200~500 밀리초 가량의 짧은 기억 유지기간을 갖는데, 이 기간의 정보를 상위 처리기의 입력 단위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에너지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순차적 패턴을 부호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부호화 방법은 시간 순서에 따른 패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확률적으로 다음 패턴과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시계열 데이터를 간략하게 표현하여 분석 및 시각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Visualization Tool of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왜곡 제거 시계열 매칭의 시각화 도구)

  • Moon, Seongwoo;Lee, Sanghun;Kim, Bum-Soo;Moon, Yang-Sa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9
    • /
    • pp.377-384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ualization tool for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Supporting distortion-fre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ime-series matching to get more accurate matching results. In this paper, we visualize the result of time-series matching, which removes various time-series distortions such as noise, offset translation, amplitude scaling, and linear trend by using moving average, normalization, linear detrending transformations, respectively. The proposed visualization tool works as a client-server model. The client sends a user-selected time-series, of which distortions are removed, to the server and visualizes the matching results. The server efficiently performs the distortion-free time-series matching on the multi-dimensional R*-tree index. By visualizing the matching result as five different charts, we can more easily and more intuitively understand the matching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