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 응답

Search Result 3,00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Comparison of Inverter DC Spot Weldability with PI Controller Design (PI제어기 설계에 따른 인버터 DC 저항 점 용접의 용접성 비교)

  • Hwang, In-Sung;Yeun, Hyun-Joon;Eun, Jong-Mok;Kim, Dong-Cheol;Kang, Mun-Ji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7-117
    • /
    • 2009
  • 저항 점 용접 시스템은 SCR 방식과 Inverter 방식으로 나뉘어지는데 현재 공급전원의 안정화 및 고속의 제어가 가능한 Inverter 방식으로 점차 변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존 SCR 방식에서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고속의 전류제어가 요구되고 있으며 여러 제어 알고리즘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PI제어 알고리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PI제어보다 좀더 반응이 빠르고 정밀한 제어 알고리즘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하여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PI제어가 많이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전류의 제어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하지만 저항 점 용접 시스템에서는 일정한 전류의 공급 이외에 목표 전류까지 도달하는 응답시간 또한 주요한 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짧은 통전시간으로 인해 응답성에 따라 입열량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응답시간이 느릴수록 그만큼 전류의 공급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입열량이 감소하게 된다. 국내의 Inverter 방식의 경우 응답시간이 15ms 이상이지만, 해외 선진 제품의 경우 10ms 이하의 응답시간을 가져 크게는 1cycle(16.6ms)의 차이가 나고 같은 용접전류 조건에서도 용접성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시간에 따른 용접성의 변화와 응답시간 제어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PI제어기를 응답시간에 따라 설계하고 이를 자체 제작한 Inverter DC 저항 점 용접기에 적용하여 용접실험을 실행하였다. 용접소재로는 현 자동차용 강판 소재인 SPFC590, 1mmt를 사용하였고 인장 및 단면시험을 통해 용접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의 로브곡선을 도출하고 비교하여 응답시간에 따른 용접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 PDF

Study on Torque and Engaging time Analysis of Micro-Electromagnetic Clutch by Using FEM (FEM을 이용한 Micro-Electromagnetic Clutch 토크와 응답시간해석)

  • Park, Chang-Hao;Kim, Myoung-Gu;Lee, Heung-Shik;Cho, Chong-Du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8 no.1
    • /
    • pp.21-28
    • /
    • 2005
  • This study tries to analyzes the torque and engaging time generated in a micro-electromagnetic clutch by using FEM. For the purpose of design change and optimization of the micro-electromagnetic clutch, the torque prediction is very important. We employ a mathematical approach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principle. For torque prediction, real material properties are substituted to the constructed axi-symmetric FEM model to obtain the analytical torque and engaging time. The predicted torque and engaging time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experiments to discuss the validity of torque and engaging time analysis. The analytical results agrees well with experimental data, therefore explaining the validity of the torque and engaging time prediction method.

Statistical Space-Time Metamodels Based on Multiple Responses Approach for Time-Variant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s (구조물의 시간-변화 동적응답에 대한 다중응답접근법 기반 통계적 공간-시간 메타모델)

  • Lee, Jin-Min;Lee, Tae-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8
    • /
    • pp.989-996
    • /
    • 2010
  • Statistical regression and/or interpolation models have been used for data analysis and response predic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physical experiments and/or computer simulations in structural engineering fields. These models have been employed during the last decade to develop a variety of design methodologies. However, these models only handled responses with respect to space variables such as size and shape of structures and cannot handle time-variant dynamic responses, i.e. response varying with time. In this research, statistical space-time metamodels based on multiple response approach that can handle responses with respect to both space variables and a time variable are proposed. Regression and interpolation models such as the response surface model (RSM) and kriging model were developed for handling time-variant dynamic responses of structural engineering. We evaluate the accuracies of the responses predicted by the two statistical space-time metamodels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sponses obtained by the physical experiments and/or computer simulation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sponse-time Monitoring API for Web Application (웹 어플리케이션 응답시간 모니터링 API의 설계 및 구현)

  • 김태성;이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419-421
    • /
    • 2000
  •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불만이 제기되기 전에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문제를 미리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시스템의 응답시간 측정은 시스템의 성능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응답시간 측정 방법은 트랜잭션의 개념이 없거나,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트랜잭션의 개념을 지니고, 일반 자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자바 애플릿에서도 사용 가능한 응답 시간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논문에서 설계되고 구현된 웹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Web application monitoring: 이하 WM) API을 어플리케이션에 넣음으로써 시스템은 가용성, 서비스 수준 합의, 용량 계획 등을 위해 관리될 수 있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Classical Control and Modern Control via Analysis of Circuit-based Time Response (회로망 기반의 시간응답 해석에 따른 고전제어와 현대제어의 비교 연구)

  • Min, Yong-K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4
    • /
    • pp.575-584
    • /
    • 2017
  • It is suggested the circuit network to analyze the time response of control system. And it is analyzed the interrelation for classical control and modern control by the transfer function and the state equation. Without complicated integration of state transition equation, it is suggested to possible time response by combining the state transition matrix and the transfer function. A source program is coded to display the time response according to the unit-step and the sinusoidal input. Transient response is analyzed in the unit-step input and phase difference between current and voltage is analyzed in sinusoidal input. As writing the suggested contents in transient response or state-space analysis, it is improved the understanding for control engineering and ability for system design.

RPSim: A Generic Real-Time Performance Simulator for Manycore (RPSim: Manycore 를 위한 범용 실시간 성능 시뮬레이터)

  • Byung Kwan Jung;Sunwoo Lee;Jimin Kim;Minsoo R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924-927
    • /
    • 2008
  • 실시간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태스크들의 응답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 되고 있다. 그러나 manycore 환경에서는 응답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몹시 어려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과거에 스케줄링과 동기화 정책을 고려하여 최악 응답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했지만, 상당히 제한적인 태스크 모델을 가정하여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예측한 결과도 시스템의 정확한 응답시간과 상당한 괴리가 있다. 반면, 시뮬레이션 기법은 시스템의 스케줄링 상태를 시뮬레이션해 봄으로써, 상대적으로 정확한 응답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범용적이면서도 매우 효과적인 manycore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은 시스템 모델의 변화에 따라 소요되는 시뮬레이션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서 확인한다.

A study on Packet Losses for Guaranteering Response Time of Service (서비스 응답시간 보장을 위한 패킷 손실에 관한 연구)

  • Kim Tae-Kyung;Seo Hee-Seok;Kim Hee-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3
    • /
    • pp.201-208
    • /
    • 2005
  •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for user request, we should consider various kinds of things. The important thing of QoS is that response time of service is transparently suggested 'to network users. We can know the response time of service using the information of network latency, system latency, and software component latency,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the modeling of network latency and analyzed the effects of packets loss to the network latency, Also, we showed the effectiveness of modeling using the NS-2. This research can help to provide the effective methods in case of SLA(Service Level Agreement) agreement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user.

  • PDF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turbocharged diesel engine under operation conditions of rapid acceleration (터보과급기 부착 디젤기관의 급가속 운전시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최낙정;전봉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9 no.3
    • /
    • pp.33-41
    • /
    • 1995
  • 본 연구는 터보 과급기 부착 디젤 기관의 급가속 운전시 기관과 과급기의 과도 응답 성능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과도 응답 성능 구명은 일정한 회전 속도로 정상 운전중인 기관의 연료 펌프 랙을 10%에서 40%까지 일정 시간동안 급가속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때의 과급기 응답 지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실험은 급가속과 동시에 압축기 출구의 흡기메니폴드 내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추가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공기 분사 압력, 공기분사 기간, 가속률, 가속 시간 등이 압축기 출구의 압력과 온도, 터빈 입구의 압력과 온도, 실린더 압력, 기관과 과급기 회전 속도 등의 응답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가속전 정상 상태의 기관 회전 속도와 적용부하의 변화에 따라 시간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A Cache Access Protocol for High Usability in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높은 캐쉬 가용성을 위한 캐쉬 액세스 프로토콜)

  • Choi Jae-Ho;Le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145-147
    • /
    • 2005
  •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Invalidation Report(IR)의 사용은 무선대역폭과 배터리 사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임이 증명되어 왔다. 그러나, IR기반의 방법은 긴 응답시간과 낮은 캐쉬 가용성을 가지며, 또한 클라이언트가 충분한 캐쉬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짧은 응답시간을 요구하는 응용프로그램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캐쉬 사용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에서 클라이언트는 수동적으로 IR을 기다려 캐쉬를 사용하지 않고 보다 능동적으로 캐쉬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우리는 필요 없는 응답시간 지연을 야기하는 " false alarm"를 제거 할 수 있었다. 제안된 한계치 기반 방법을 통해 우리는 약간의 데이터 현재성을 손해 보았지만, 응답시간을 최적화 할 수 있었다. 제안한 기법을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우리가 제안한 기법의 아주 적은 현재성 손해를 보지만. 응답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Planning for Leased-line Bandwidth based-on web Traffic (Web 트래픽 기반의 전용 회선 대여곡 결정에 관한 연구)

  • Seo, Sang-Hyeon;Choe, Yeong-Su;An, Seong-Jin;Jeong, Jin-U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8S
    • /
    • pp.2713-2721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Web 사이트를 설계할 때 응답시간과 관련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수 중[10,15,16], 인터넷 연결 회선의 대역폭 결정에 참조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Web 세션 도착율에 따른 응답시간과 회선 이용율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특정 대역폭의 회선에 대해 Web 서비스가 한계 응답시간 내에 보장될 수 있는 Web 세션 도착율의 임계치를 구한다. [15,16].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실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자체적으로 구현한 패킷 생성기를 이용하여 세션 도착율의 변화에 따른 Web 트래픽을 시뮬레이션한다. 응답시간은 패킷 생성기가 생성한 각각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요청 패킷이 전송되는 시점부터 HTTP응답 메시지가 도착하는 시점까지의 경과된 시간으로 구하고, 회선 이용율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해 자체 구현한 데이터 수집기로 구한다[3]. 이 실험의 결과는, Web 사이트를 설계할 때 네트워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인터넷 연결 회선의 대역폭 결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쉽고 유용하게 참조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