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 상관도

Search Result 4,95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함양지역 지하수위 변동자료의 시계열 분석

  • 정재열;함세영;손건태;이병대;류상민;차용훈;류수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48-551
    • /
    • 2003
  • 부산 금정산 지역의 지하수위와 강우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자기상관함수와 상호상관함수를 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정산 산성마을 주변의 19개 관측공 중 자동수위측정기가 설치된 4개 관측공(KJ2, KJ8, KJ15, KJ19)의 지하수위 자료와 부산지역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하수위 및 강수량은 각각 1일 평균, 1일 누적 값을 이용하였다. 자기상관분석의 경우, KJ2와 KJ19의 경우 지연시간이 2일 이내, KJ8의 경우는 3일 이내에 0으로 수렴하며, KJ15의 경우는 지연시간이 8일째에 0으로 수렴한다.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교차상관분석결과, KJ2, KJ15, KJ19호 공은 지연시간이 0일 때 교차상관함수가 각각 0.6572, 0.6303, 0.7857이교 KJ8호 공은 지연시간이 1일 때 0.7141이다. 또한 대부분 짧은 지연시간에 교차상관함수가 0으로 수렴한다.

  • PDF

A new approach to estimate the link travel time by using AVL technology (AVL을 이용한 구간통행시간 산출기법 개발)

  • 김성인;이영호;남기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91-103
    • /
    • 1999
  • 이 연구는 자동 차량위치 측정기법(Automatic Vehicle Location, AVL)을 이용해서 수집한 교통상황자료를 가지고 구간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AVL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처리해야 할 자료량이 많아서 실시간에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처리해야 할 자료량을 가능한 한 줄이고 자료량이 적은 경우에도 효율적인 구간통행시간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크게 4가지인데, 첫째, 해석 기법, 둘째, 회귀분석, 셋째, 인공지능 및 전문가 시스템, 넷째, 통계분석이다. 이 방법론을 이용해서 세 단계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첫째는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 둘째는 과거자료분석 알고리즘, 셋째는 자료응합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 가운데 자료융합 알고리즘 결과가 산출하고자 하는 구간 통행시간이다.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은 연속하는 세 개 구간의 통행 패턴을 이용해서 가운데 구간의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으로 산출하지 못한 구간은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이용해서 구간통행시간을 추정한다. 과거자료분석 알고리즘은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시간대별 통행시간 평균과 분산을 구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오프라인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자료융합 알고리즘은 2가지 단계를 거치는데, 그것은 실시간 자료융합과 최종 자료융합이다. 실시간 자료융합은 실시간에 가까운 자료원의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 결과 패턴과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이용한 구간통행시간 추정 결과를 이용해서 패턴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융합을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최종 자료융합은 실시간 자료융합 결과와 회귀분석 결과의 패턴을 이용해서 구간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이 연구를 기존 연구와 비교할 때, 세 가지 독차성이 있다. 첫째는 연속하는 세 구간 통행 패턴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노드의존 방식을 탈피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료량이 적은 경우도 믿을만한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구간통행시간 산출에 이용하였기 때문에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자료원 패턴을 분류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료융합 하였기 때문에 수행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개발한 알고리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두 가지 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첫째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것이고, 둘째는 실제 주행조사 분석을 이용한 것이다. 두 가지 검증 결과는 알고리즘 정확도를 보여준다.

  • PDF

Temporal Color Correlograms for Video Retrieval (비디오 검색을 위한 시간 색상 상관관계그래프)

  • Park, Ho-Sik;Lee, Young-Sik;Kim, Jin-Han;Na, Sang-Dong;Bae, Cheo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43-646
    • /
    • 2003
  • 본 논문은 분할된 비디오 화면들의 색상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간 색상 상관그래프는 공통적인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디오 화면 내의 공간-시간 관계를 계산한다. 시간 색상 상관 그래프는 내용 기반의 영상 검색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HSV(Hue, Saturation, Value) 색상 상관 그래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시간 색상 상관 그래프는 하나의 비디오 화면으로부터 추출된 프레임 샘플의 양자화 된 HSV 색상 값의 자기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1시간 분량의 분할된 MPEG-1 비디오에 대한 질의와 질의에 대한 관련성 판정을 하고자 내용 기반의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견과 제안된 방법이 시각 정보만을 필요로 하는 검색에 있어 기존의 다른 검색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증명하였다.

  • PDF

SCS Curve Number and temporal Variation of Rainfall (강우의 시간분포를 고려한 CN값 산정)

  • Cho, Hong-Je;Lee, Tae-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183-193
    • /
    • 2003
  • A relation between the temporal variation of rainfall and direct runoff was characterized using temporal indexes of rainfall(1st, 2nd, 3rd, and 4th moment). Curve Number has a relation with 1st and 2nd moment for AMCIII condition when the rainfall duration is relative (10th quantile). Also peak runoff ratio(QP/Q) has a relation with 1st and End moment for AMCIII condition as well as 3rd and 4th moment for AMC I condition. Considering all durations of rainfall, alternatively, Curve Number has a relation with 1st and 2nd moment for AMCIIIcondition besides every moments for AMC I condition. But peak runoff ratio(QP/Q) has few relations excepting 3rd and 4th moment for AMC I condition. As a results, temporal indexes of rainfall are useful to determine curve numbers regarding the temporal variation of rainfall.

Nonlinear Analog of Autocorrelation Function (자기상관함수의 비선형 유추 해석)

  • Kim, Hyeong-Su;Yu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731-740
    • /
    • 1999
  • Autocorrelation function is widely used as a tool measuring linear dependence of hydrologic time series. However, it may not be appropriate for choosing decorrelation time or delay time ${\tau}_d$ which is essential in nonlinear dynamics domain and the mutual information have recommended for measuring nonlinear dependence of time series. Furthermore, som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one should not choose a fixed delay time ${\tau}_d$ but, rather, one should choose an appropriate value for the delay time window ${\tau}_d={\tau}(m-1)$, which is the total time spanned by the components of each embedded point for the analysis of chaotic dynamics. Unfortunately, the delay time window cannot be estimated using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r the mutual information. Basically, the delay time window is the optimal time for independence of time series and the delay time is the first locally optimal time. In this study, we estimate general dependence of hydrologic time series using the C-C method which can estimate both the delay time and the delay time window and the results may give us whether hydrologic time series depends on its linear or nonlinear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y important for modeling and forecasting of underlying system.

  • PDF

Automatic Segmentation Using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를 이용한 자동 음성 분할)

  • 김도한;이상운;이기정;홍재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95-798
    • /
    • 2000
  • 연속음 인식과 음성 합성을 위해서는 정밀한 음성학적 모델과 연속 음성에 적용 가능한 언어 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음성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인식 단위, 혹은 합성 단위의 분할이 필요한데, 수동음성 분할은 일관성의 유지가 어렵고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자동 분할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자동 음성 분할 기법으로는 시간 영역이나 주파수 영역특징 벡터의 천이를 분석하는 방법과 특징 벡터간의 상관도를 구하여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는 음성의 주파수 영역의 특징을 잘 나타내며, 동일 음소 내의 상관도가 서로 다른 음소의 상관도보다 더 크고, 음소의 경계구간에서 급격한 상관도의 변화를 보인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이웃 프레임에 대한 상관도의 방향성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여 음소의 경계를 구하는 방법을 찾았다. 또한 LPC. 이득 인자만으로 묵음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렇게 하면 묵음 구간검출과 음소 경계 검출의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안한 기법으로 허용 오차 20ms 이내에서 연속음성에 대한 음소 경계 검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작업으로 행한 경계 검출 지점의 약 88%를 정확히 검출하였다.

  • PDF

Analysi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구조 분석)

  • Park, Chang-Yeol;Kim, Kyoung-Jun;Hwang, Jung-Ho;Jun, Kyung-So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90-7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 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시간해상도별로 공간상관함수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단위 강우 자료를 호우 발생 특성별(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공간상관함수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때 시간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한 대상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이고, 대상지점은 중부지역의 27개 우량관측소 지점을 이용하였다. 그 적용 결과 분단위 강우자료의 경우 무강우 자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상관거리는 적용 분포형, 호우 발생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분의 경우 약 $9{\sim}15km$, 60분의 경우 약 $21{\sim}53km$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우의 집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간상관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공간상관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단위 강우자료의 관측소 밀도가 시단위 강우자료 관측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나타내며,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과 같은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할 경우 적절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Coherence Bandwidth and Coherence Time for the Communication Frame in the Underwater of East Sea (동해 천해환경에서 수중 통신 프레임 설계를 위한 상관 대역폭과 상관 시간의 산출)

  • Choi, Dong-Hyun;Kim, Hyeon-Su;Kim, Nam-Ri;Kim, Seong-Il;Chung, Jae-Ha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6
    • /
    • pp.365-373
    • /
    • 2010
  • For effective underwater digital communications, a frame structure is used, which includes pilot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for channel estimation at a receiver. To estimate channel precisely, the each pilot should be located less than coherence time and coherence bandwidth. This paper measured underwater communication environments to provide coherence time and coherence bandwidth. Based on the measurement, the paper exhibits the calculated coherence time and coherent bandwidth is adequate by computer simulations.

Low-complexity Timing Synchronization System for IEEE802.11a Wireless LANs (IEEE802.11a 무선 랜 적용을 위한 시간동기 시스템 제안)

  • 하태현;이성주;김재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11B
    • /
    • pp.965-971
    • /
    • 2003
  • This paper suggests a low-complexity frame timing synchronization system for IEEE802.11a wireless LAN systems. The proposed timing synchronization scheme has been implemented by correlating the received OFDM preamble with quantized coefficients composed of {0, ${\pm}$2$^{0}$ , ${\pm}$2$^1$‥‥‥ ${\pm}$2$^{i}$ ), where i is an integer number. The 2$^{i}$ -valued coefficients enable the multipliers in the correlation system to be simplified to i-bit shifters. So we can design the correlation system using shifters instead of multipliers. We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ystems under the AWGN and Rayleigh fading channels. In this paper we show that the complexity can be reduced by 90% while still maintaining a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the conventional system.

Pitch Estimation Method in an Integrated Time and Frequency Domain by Applying Linear Interpolation (선형 보간법을 이용한 시간과 주파수 조합영역에서의 피치 추정 방법)

  • Kim, Ki-Chul;Park, Sung-Joo;Lee, Seok-Pil;Kim, Moo-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7 no.5
    • /
    • pp.100-108
    • /
    • 2010
  • An autocorrelation method is used in pitch estimation. Autocorrelation value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correspond to the pitch period and fundamental frequency, respectively. We utilize an integrated autocorrelation metho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It can remove the errors of pitch doubling and having.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pitch period and fundamental frequency have reciprocal relation to each other. Especially, fundamental frequency estimation ends up as an error because of the resolution of FFT. To reduce these artifacts, interpolation methods are applied in the integrated autocorrelation domain, which decreases pitch errors. Moreover, only for the pitch candidates found in a time doma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domain autocorrelation values are calculated with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Using linear interpolation, we can decrease the required number of FFT coefficients by 8 times. Thu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computational complexity can be reduced by 9.5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