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측정 위치

Search Result 1,28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 OF CURING METHODS OF RESIN CEMENTS ON BOND STRENGTH AND ADHESIVE INTERFACE OF POST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이 포스트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

  • Kim, Mun-Hang;Kim, Hae-Jung;Cho, Young-G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4 no.2
    • /
    • pp.103-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curing methods of adhesive resins and resin cements in the root canal. Crown portions of 32 single-rooted mandibular premolars were removed. Routine endodontic treatment was done, and 9 mm deep post spaces were prepared within root canals. No.3 FRC Postec posts (Ivoclar-Vivadent AG, Liechtensteih) were cemented in the post spaces by self-(SC) or light-curing (LC) using two dual-cured adhesives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and Exite DSC )and resin cements (RelyX ARC and Variolink II). They were assigned to 4 groups (n=8): R-SC, R-LC, V-SC, V-LC group. After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each root was transversally sectioned with 1.5 mm thick and made three slices.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push-out test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 Shimadzu Co., Japan) with a crosshead speed of 1 mm/mi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peated ANOVA and one-way ANOVA. Also the interface of post-resin cement and resin cement-canal wall of each group was observed under FE-SEM. When fiber posts were cemented into the root canal using total-etch adhesives, the bond strength and adaptation between post and root canal dentin was affected by curing method. Self-cure of adhesives and resin cements showed higher bond strength and closer adaptation than light-cure of them.

Quantitative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the Basin Model (유역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정량적 평가)

  • Kwon, Heon-Gak;Kim, Dong-Il;Lee, Jea-Woon;Han, Kun-Yeun;Cheon, S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1-141
    • /
    • 2012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 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 간 유출량 변화가 대단히 크게 나타나며, 기후, 지형, 토지이용, 토양 등과 지역적인 특성과 유역 형상에 따라 변화되므로 비점오염원 유출량에 대한 정량화를 위해서는 강우지속시간동안 정확한 수질과 유량에 대한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해 현장 모니터링 및 현장 실측 관련 기존 연구자료 수집을 통해 중분류 토지피복분류별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또한 특정 유역에 중분류 토지피복 분류별 산정된 원단위를 적용하여 유역기반의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 하였다. 대상 유역에 해당하는 하천 말단에서의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유역모형을 구축하고, 강우를 입력 자료로 하여 비점오염 물질별 부하량을 모의 산정하였다. 유역모형으로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을 실제 대상유역에 적용하였고, 이에 따른 모의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여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모의 산정된 부하량은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원단위의 적용에 따른 부하량과 비교 검토하여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유역은 동천유역으로 병성천의 주요 지류로서 유역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중분류 토지피복 중 공업지역, 교통지역, 과수원재배지, 비닐하우스재배지, 기타재배지에 대해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이외의 중분류 토지피복에 대한 결과는 수계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환경기초조사사업 중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 모니터링'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동천유역의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BOD 부하량은 대지의 경우 391.4 kg/day로서 중분류 군으로 구분한 결과에 비해 높게 산정되었다. T-N, T-P 발생부하량도 토지피복군이 대분류에서 중분류로 변화됨에 따라 부하량의 차이가 발생 하였다. 또한 동천유역에 대해 구축된 HSPF 모형의 적합도를 시기별 4개의 Case로 구분하여 평가해 보았는데 그 결과, 모형 모의치의 실측치에 대한 적합도가 높게 평가 되었다. 현재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조사되고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을 조사 기관간의 교차 조사를 통해 지역적 제한성을 낮추고, 중분류에 속하는 세부피복지점을 확대하여 모니터링 지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동시에 한시적인 조사가 아닌, 장기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 될 경우 원단위에 대한 현재의 불확실성 및 제한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기초 자료 확보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수반될 시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원단위가 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기틀이 마련되어야 비점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유역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Wonmun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Late Summer (늦여름 원문만 굴양식장 입자유기탄소의 일변동)

  • KANG Chang-Keun;LEE Pil-Yong;KIM Pyoung-Joong;CHOI Hee-Gu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6 no.3
    • /
    • pp.279-287
    • /
    • 1993
  •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POC) and some factors controlling its level were examined for a semi-enclosed bay(Wonmun Bay, south coast of Korea), in which a lot of suspended oyster culture farms existed, in September, 1992. Observations were made at hourly interval. In spite of the relatively short survey period, strong short-term variation of POC concentration could be observed. Concentrations of POC were the range of $58{\sim}582{\mu}g/l(average 272{\mu}g/l)$ and their vari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ose of chlorophyll a with the range of $0.90{\sim}7.25{\mu}g/l(average 3.35{\mu}g/l)$. The low C/N ratios also suggested that marine microalgae was a major component of POC for Wonmun Bay. Primary production, average $1.97\;gC/m^2/day$, was the main source of POC beacuse the supply of POC via freshwater input and exchange with the outer part of the bay was little. Oyster population also excreted a small amount of POC. About $40\%$ of produced POC was decomposed heterotrophically. Another important cause for the fluctuation of observed POC was tidal cycle. Considerable POC, which amounted $37\%$ of produced POC, was lost from the bay due to flushing by tidal cycle. It was also calculated that about $16\%$ was transported onto the sediment. It seemed that a part of POC was consumed by oyster and other heterotrophs.

  • PDF

Characterizing CO2 Supersaturation and Net Atmospheric Flux in the Middle and Lower Nakdong River (낙동강 중하류에서 이산화탄소 과포화 및 순배출 특성 분석)

  • Lee, Eun Ju;Chung, Se Woong;Park, Hyu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6-416
    • /
    • 2019
  • 육상 담수는 대기중 이산화탄소($CO_2$) 배출의 중요한 발생원으로 주목되고 있다. 하천 및 강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CO_2$는 전 세계 탄소순환의 핵심요소이며, 대부분의 하천과 강은 $CO_2$로 과포화 되어있다. 세계적으로 하천 및 강의 $CO_2$ 배출량은 호수 및 저수지의 배출량보다 약 5배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연구에서는 연구사례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중하류에 위치해있는 강정고령보(GGW), 달성보(DSW), 합천창녕보(HCW), 창녕함안보(CHW)에서 발생되는 순 대기 배출 플럭스(Net Atmospheric Flux, NAF)의 동적 변동 특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쉽게 수집할 수 있는 물리적 및 수질 변수로 $CO_2$ NAF를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간략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CO_2$ NAF는 대기-수면 경계면에서의 $CO_2$ 부분압($pCO_2$)의 차에 기체전달속도를 곱하여 산정하였으며, 기체전달속도는 Cole and Caraco(1998)가 제안한 식을 사용하였다. 담수와 해수의 탄산염 시스템에서 열역학적 화학평형을 모두 고려한 $CO_2$SY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중의 $pCO_2$를 산정하였고, $CO_2$ NAF는 Henry의 법칙과 Fick의 1차 확산법칙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CO_2$ NAF의 시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관분석,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단계적다중회귀모델(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SMLR),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RF)방법을 사용하였다. SMLR 모델은 R package인 olsrr, RF 모델은 R package인 caret, randomFor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개 보 상류 하천구간은 조류의 성장이 활발한 일부 기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에서 $CO_2$를 대기로 배출하는 종속영양시스템(Heterotrophic system)을 보였다. $CO_2$ NAF의 중위값은 HCW에서 최소 $391.5mg-CO_2/m^2day$, DSW에서 최대 $1472.7mg-CO_2/m^2day$였다. 모든 보에서 NAF는 pH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CO_2$와 Chl-a도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조류가 수중에서 $CO_2$를 소비하고 pH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PCA 분석 결과, NAF와 $pCO_2$가 높은 공분산을 보였으며, pH와 Chl-a는 반대 방향으로 군집되어 상관분석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SMLR 모델과 RF 모델의 Adj. $R^2$ 값은 모든 보에서 0.77 이상으로 나왔으며, $pCO_2$ 측정 데이터가 없더라도 하천의 $CO_2$ NAF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using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Miryang area. (지하수관측망을 이용한 밀양지역의 지하수 변화 분석)

  • Baek, Mi Kyung;Sim, Gyu Sung;Kim,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1-221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대비가 상시체제가 된 요즈음,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가뭄 등의 비상시 지표수는 물론이고 지하수의 공급 가능량에 대해서도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하수관리를 위해 국가 최상위 계획인'지하수관리기본계획(2012~2021)'이 수립되었고, 지하수의 장기적인 수량, 수질 관리를 위해 국가지하수관측망, 지역지하수관측망(보조지하수관측망), 수질측정망, 해수침투관측망 등 광역과 지역단위로 크게 나누어 지하수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법에 의거하여 전국의 주요지점(2016년 말 기준 412개소)에 관측소를 설치하여 수위 및 수질의 변동실태를 광역적으로 분석함이 목적이며, 보조지하수관측망은 국가지하수관측망과 연계하고 보완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지역별 주요 관측지점의 수위, 수질자료를 획득하며, 2018년 9월 현재 3,429개소가 설치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하수 관측망 중 경남밀양지역에 설치된 관측정 31개소에 대해 수위와 수질을 장기 분석하였다. 밀양지역의 보조지하수관측망 설치는 지하수관리계획의 하부계획인'경상남도 지하수관리계획(2015~2025)'에 의거 2012년에 6개소의 관측공이 설치를 시작으로, 2013년 7개소, 2014년 10개소, 2015년 8개소를 설치하여 총 31개소의 설치를 완료하였고, 2016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전체 관측정 31개소에 대하여 관측 운영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1월~2019년 1월까지 지역의 누적강수량과 지하수위 및 수질변화를 관측하였다. 전 관측정에 대해 수위(GL.m), 수질(온도, EC)은 1시간 주기로 관측하였으며, 연 2회 생활용수 기준(19항목)의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지하수성분의 지질학적 기원분석을 위한 양음이온 분석을 연 1회 실시하였다. 관측정의 양수능력 변화관측을 위해 대수성 시험을 연 1회 실시하였고, 관측정의 특성상 장기간 미사용 관정이므로 최적의 상태유지를 위해 연1회 공내세척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측정의 지형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관측정의 설치위치를 산악, 강변, 기타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대표관정에 대해 지형에 의한 서로 다른 영향을 분석하였고, 관측정의 심도별 변화를 알기위해 동일지역에 충적, 안반 관측정을 따로 설치하고 관측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심도별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동일지역의 관측결과 평균 5m이하의 수위변화를 보이나, 5m 이상의 수위변동을 보이는 관측망은 15년 14개소 17년 19개소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이는 주로 밀집된 시설하우스 단지의 수막재배를 위한 겨울철 지하수 사용량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밀양지역은 강변지역에 밀집된 시설하우스단지의 동절기 수막재배를 위한 지하수 과다사용으로 수위급감 및 수량부족현상이 반복되고 있어, 예방과 대책강구를 위해 지표수의 함양과 지하수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과 자료축적 및 추가연구를 위한 장기관측이 요구된다.

  • PDF

The test-bed construction and water purification assessment of the eco-convergence type aerated string contacted oxidation system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 Test-Bed 구축 및 정화효율 평가)

  • Choi, Sunhwa;Lee, Seung-Heon;Jang, Kyusang;Kim, He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2-592
    • /
    • 2016
  • 국내에는 17,5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국내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이 소규모이며, 연중 수량 변동이 심하고, 유역배율이 작아 태생적으로 수질오염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 많이 위치하고 있어 유역 내 축산 농가나 미처리 생활하수에서 유래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유입에 의한 수질오염도가 높다. 저수지에 고농도로 유입되는 유기물, TN, TP를 처리하기 위하여 농어촌연구원과 수생태복원(주)에서는 공동으로 친환경 수처리시설인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상부 식생과 수로 내의 섬유상 끈상 미생물 접촉재를 이용하여 오염수가 수로를 흐르면서 침전, 여과, 흡착, 산화, 흡수 등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유기물과 질소, 인을 제거하는 물리적, 생물학적 공정을 융복합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하고 있는 M 저수지에 현장 Test-bed를 구축하여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M 저수지는 유효저수지량이 약 23만톤에 해당하는 소규모 저수지로, 1941년도 준공된 아주 노후화된 저수지로 평균 수심이 2m 이하이고 연중 수질오염도가 높은 저수지이다. 매화저수지 수변에 설치된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전체규모는 길이 8.6m, 폭 2m, 수심 2m에 해당하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 3개($2{\times}2{\times}6m^3$), 침전조 1개($2{\times}2{\times}2m^3$)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부대 장치로는 끈상 메디아조에 산소공급을 위한 Air-mist(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자동운전계기판, 유입펌프 등이 있다.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처리 공정은 유입수${\rightarrow}$에어미스트${\rightarrow}$고속복합응집장치${\rightarrow}$융복합 산화조(3조)${\rightarrow}$침전조${\rightarrow}$방류로 구성되어 있다. 테스트 베드는 2015년 8월 말경에 구축 완료하였으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9월부터 11월까지 총 7회 걸쳐 유입수와 유출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현장 측정항목인 수온, pH, EC, DO 등은 유입수 및 유출수간 큰 차이가 없었고, COD, SS, Chl-a, TP 등은 수처리시스템 초기 가동시에는 메디아에 미생물 부착율 저조로 유입수 및 유출수 수질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운영시간의 경과와 함께 메디아의 미생물 충진율이 높아짐에 따라 처리효율이 최대 SS 69.6%, Chl-a 89.3%, TP 89%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부지 집약적인 컴팩트한 수처리 시설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공습지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 판단된다.

  • PDF

Defining the Tumour and Gross Tumor Volume using PET/CT : Simulation using Moving Phantom (양전자단층촬영장치에서 호흡의 영향에 따른 종양의 변화 분석)

  • Jin, Gy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5 no.7
    • /
    • pp.935-942
    • /
    • 2021
  • Involuntary movement of internal organs by respiration is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results of radiotherapy and diagnosis. In this study, a moving phantom was fabricated to simulate the movement of an organ or a tumor according to respiration, and 18F-FDG PET/CT scan images were acquired under various respiratory simulating conditions to analyze the movement range of the tumor movement by respiration, the level of artifac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umor and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Based on Windows CE 6.0 as the operating system, using electric actuator, electric actuator positioning driver,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the position and speed control module was operated normally at a moving distance of 0-5 cm and 10, 15, and 20 reciprocations. For sphere diameters of 10, 13, 17, 22, 28, and 37 mm at a delay time of 100 minutes, 80.4%, 99.5%, 107.9%, 113.1%, 128.0%, and 124.8%, respectively were measured. When the moving distance was the sam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rate was insignificant. When the number of breaths is 20 and the moving distance is 1 cm, 2 cm, 3 cm, and 5 cm, as the moving distance increased at the sphere diameters of 10, 13, 17, 22, 28, and 37 mm, the ability to distinguish images from smaller spheres deteriorated. When the moving distance is 5 cm compared to the still image, the maximum values of the standard intake coefficient were 18.0%, 23.7%, 29.3%, 38.4%, 49.0%, and 67.4% for sphere diameters of 10, 13, 17, 22, 28, and 37 mm, respectively.

A Study on User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y Website based Big Data: Focusing on the Library of C University (빅데이터 기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C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Lee, Sun Woo;Chang, Woo 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3
    • /
    • pp.149-174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use data of the websites of university libraries, analyzes the users' usage behavior,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websites. The study analyzed users' traffic and analyzed their usage behavior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8 on the C University website. The website's analysis tool used 'Google Analytics'. The web traffic variables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user general characteristics, user environment analysis, visit analysis, inflow analysis, site analysis, and site analysis based on the metrics of sessions, users, page views, pages per session, average session time, and bounce rate. As a result, 1) In the analysis resul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users, there was some access to the website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2) In the user experience analysis, the main browser type appeared as Internet Explorer. The next place was Chrome, with a bounce rate of Safari, third and fourth, double that of the Explore or Chrome. In terms of screen resolution, 1920x1080 resolu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with access in a variety of other environments. 3) Direct inflow was the highest in the inflow media analysis. 4) The site analysis showed the most page views out of 4,534,084 pages, followed by the main page, followed by the lending/extension/history/booking page, the academic DB page, and the collection page.

The Influence of perceptual load on target identification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in post-cueing forced choice task (순간 노출되는 표적의 식별과 부적 반복효과에 지각부하가 미치는 영향)

  • Kim, Inik;Park, Chang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1
    • /
    • pp.1-22
    • /
    • 2022
  • Lavie's perceptual load theory (Lavie, 1995) proposes that the influence of distractors would be blocked as the load gets higher. Studies of perceptual load have usually adopted the flanker task, developed by Eriksen and Eriksen (1974), which measures reaction time on the target flanked by distractors. In the post-cueing forced task, participants should report the identity of the target cued later,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has often been observed. NRE means the effect that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is worse when the target is flanked by the same nontargets than when flanked by different nontargets. This study has tried to check whether perceptual load has an effect on identification rate and NRE.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similarity between targets and a distractor, and observed a tendency of NRE, but not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Experiment 2 used 4, 2 (in two kinds of diagonal arrangement), or none distractors of the same identity to burden more perceptual load. NRE was significant and perceptual load showed significance but not a linear trend. Experiment 3 checked again whether NRE would be varied according to two levels of perceptual load strengthened by positional variability of load stimuli, but did not find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It is concluded that perceptual load might have a limited effect on the early stage of perceptual processing due to divided attentional processing of the targets briefly expo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Drone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using Camera-based Reinforcement Learning (카메라 기반 강화학습을 이용한 드론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

  • Jo, Si-hun;Kim,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7 no.5
    • /
    • pp.63-71
    • /
    • 2021
  • Among drone autonomous flight technologies, obstacle avoidance is a very important technology that can prevent damage to drones or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prevent danger. Although the LiDAR sensor-based obstacle avoidance method shows relatively high accuracy and is widely used in recent studies, it has disadvantages of high unit price and limited processing capacity for visual inform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for drones using camera-based PPO(Proximal Policy Optimization) reinforcement learning,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highly scalable using visual information. Drone, obstacles, target points, etc. are randomly located in a learning environmen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stereo images are obtained using a Unity camera, and then YOLov4Tiny object detection is performed. Next,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 and the detected object is measured through triangulation of the stereo camera. Based on this distan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stacles is determined. Penalties are set if they are obstacles and rewards are given if they are target points. The experimennt of this method shows that a camera-based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can be a sufficiently similar level of accuracy and average target point arrival time compared to a LiDAR-based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so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