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측정

검색결과 14,911건 처리시간 0.072초

Three-step 알고리즘을 이용한 H.263 기반의 움직임 측정 (H.263 Motion Estimation using the three-step algorithm)

  • 윤성규;유환종;임명수;임영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389-391
    • /
    • 1999
  • 영상 압축 기법에는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적용되고 있다. 이런 알고리즘들에는 주파수 영역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DCT, 시간 중복성 제거를 위한 움직임 측정, 압축기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정보를 부호화하는 VLC들이 있다. 이런 부호화 알고리즘들은 부호화기를 구현하는데 많은 시간을 요구하며 특히 움직임 추정은 부호화기의 절반에 가까운 시간을 소비한다. 움직임 측정 기술의 복잡도는 search algorithm, cost function, search range parameter의 요인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Full Search 알고리즘 대신에 three-ste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움직임 측정 시간을 줄였다. Full Search 알고리즘은 search area에서 모든 지역에 대해 cost function을 사용하여 이전 블록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조사한다. 따라서 이전 블록과 가장 유사한 부분을 찾는 좋은 방법이지만 그만큼 시간이 많이 사용한다. Three-step 알고리즘은 search area의 일정 지역에 대해 cost function를 사용하여 이전 블록과의 유사성을 찾는 fast 알고리즘이다. Three-step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 기존의 full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보다 60% 정도의 시간이 단축되었다. 그리고 생성되는 압축 데이터의 크기는 full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보다 많이 차지한다. 생성되는 H.263파일의 화질에서는 Three-step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일지라도 full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비슷한 화질을 보여준다.

  • PDF

한국어의 낱말 지속시간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contextual effect와 관련하여 -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f the Word Duration in Standard Korean - with reference to its contextual effects -)

  • 성철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5년도 제12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 논문집 (SCAS 12권 1호)
    • /
    • pp.191-194
    • /
    • 1995
  •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측정간격이 지속시간이 변할 수 있는 지의 l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서의 측정간격은 어절단위이며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소위 구-길이 효과의 한 츠면도 파악해 볼 수 있다. 측정간격 양쪽의 어절에서 체계적인 음절증가를 유도한 뒤 나타날 수 있는 측정간격의 지속시간에서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엄격한 의미에서 체계적으로 기술될 수 있을 만한 단음화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느 정도의 융통성을 둔다면 순행단음화 효과의 부분적인 출현은 인정할 만하다. 문장의 중간에 위치한 어절과 양쪽 환경 각각을 짝을 지워 상관관계를 따져본 결과 양의 상관이 더 많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실험에서의 측정간격은 지속시간에 관한 한 문장 내에서 독립적인 활동을 하는 단위로 생각할 수 있다.

  • PDF

상호참조시간을 고려한 단기간 임시지역성 측정 (Measurement of Short-term Temporal Locality Based on Request Interarrival Time)

  • 김영일;심재홍;최경희;정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1호
    • /
    • pp.63-74
    • /
    • 2004
  • 임시지역성은 웹 캐싱 전략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임시지역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호 참조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스택을 이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임시지역성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참조시간을 고려한 단기간 임시지역성 측정도구를 제안하고, NLANR과 NASA의 로그 파일로 실험한 결과를 논의한다. 실험 결과 스택기반의 기존 측정도구보다 상호참조시간 기반의 제안 측정도구가 단기간 임시지역성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다.

Flow-through fish test를 이용한 일부 농약의 생물농축예수의 측정 (Determination of the Bioconcentration Factor in Some Pesticides by Flow-through Fish Test)

  • 민경진;차춘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42
    • /
    • 2001
  • Zebrafish(Brachdanio rerio)를 실험어류로 하여 methidathion 과 phosalone의 생물농축계수(bioconcentration factor : BCF)와 배설속도상수 (depuration rate constant) 및 LC$_{50}$를 측정하였다. Methidathion의 24, 48, 72, 96시간 LC$_{50}$는 각각 28.34, 35.98, 24.43, 22.03 mg/$\ell$로 측정되었다. Methidathion 0.22 mg/$\ell$(고농도)와 0.022 mg/$\ell$(저농도)에서 어류 체내에서의 농축정도는 두 농도군에서 각각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도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8.72(n=4)와 11.25(n=4)로 조사되었다. 배설속도상수는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6시간 이내에 모두 배설되어 배설속도상수를 구할 수 없었다. Phosalone의 24, 48, 72, 96시간 LC$_{50}$는 각각 3.76, 2.43, 1.86, 1.05 mg/$\ell$로 측정되었다. Zebrafish 체내에서의 농축정도와 BCF값은 고농도(0.01 mg/$\ell$)에서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은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48.88(n=4)로 측정되었다. 저농도(0.001 mg/$\ell$)에서는 실험 전기간동안 zebrafish 체내에서 phosalone이 검출되지 않아 BCF값을 산출할 수 없었다. Zebrafish 체내에서 phosalone(고농도)의 배설속도상수와 반감기를 구하기 위하여 6,12시간의 배설실험 결과 각각 0.17$hr^{-1}$과 4.01 시간이었다. Methidathion과 phosalone의 BCF값은 phosalone이 methidathion 보다 약 5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농약의 배설속도는 phosalone이 methidathion보다 빨랐다.

  • PDF

Complementary Correlation OTDR에서의 긴 코드 길이에 따른 측정시간 증가에 의한 Dynamic Range 증가 제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 of Dynamic Rrange Improvement of Complementary Con-elation OTDR Caused by the Increased Measurement Cycle at Long Code Length)

  • 김동선;박재홍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11호
    • /
    • pp.19-28
    • /
    • 2003
  • CCOTDR (complementary correlatio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의 dynamic range는 사용된 코드의 길이와 평균 횟수에 따라 증가한다. OTDR의 전체 측정 시간이 제한된 경우에는 코드 길이를 늘이게 되면 평균 횟수를 줄여야 한다. 이와 같은 관계 때문에 코드 길이가 일정 이상 증가하면 dynamic range의 증가 정도가 어느 이상 커지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측정 시간이 제한된 경우에 단일 펄스를 사용한 측정 방법에서 1회 측정에 걸리는 시간과 코드를 사용한 측정 방법에서 1회 측정에 걸리는 시간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코드를 길게 해서 dynamic range를 개선시기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보였고, 길이가 짧으면서 최대 dynamic range를 달성할 수 있는 코드 길이를 제시하였다.

시간 안정성 해석법을 통한 토양수분 관측소 대표지점 선정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points of soil moisture observatories through temporal stability analysis method)

  • 김기영;이용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4-384
    • /
    • 2021
  • 토양수분량 측정은 대표적으로 유전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토양수분 측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비교적 정확하고 연속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토양수분량은 인근의 동종(homogeneous)의 지형일지라도 측정 위치에 따라 값과 변화 특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각 지점마다 토양, 식생, 지형 등의 다양한 환경 때문에 발생하며, 이러한 다양한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기란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적 안정성 해석(Temporal stability analysis) 개념을 통해 기 설치된 토양수분의 지속적인 토양수분 패턴을 식별하고 선택된 대표 센서 위치에서 전체적인 평균을 산출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미국에서도 위성을 활용한 지상검증 연구를 위해 측정 그리드(grid)별로 시간적 안정성 해석 개념을 통해 지상 측정 네트워크 체계를 갖추었다. 국내에서도 최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연구가 많아짐에 따라 측정 지역의 대표 토양수분 값을 선정하는 연구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수문자료의 지속성을 위해 결측을 최소화 방안으로 관측소 이중화 지점을 선정하는 연구의 필요성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설마천, 청미천 토양수분 관측소에 구역별 시간 안정성 해석법을 수행하여 추후 지점의 대표 토양수분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중화 설치 지점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렌즈 성형품에 대한 사출시간, 충진 압력, 그리고 보강시간의 영향 (Effects on Injection Time. Filling Pressure, and holding Time on Injection-molded Lens Pats)

  • 송영현
    • 유변학
    • /
    • 제4권2호
    • /
    • pp.116-12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형내압 파형제어 시스템, 초고속, 사출성형, 그리고 금형진공 시스템 등을 갖춘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정밀 구면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러한 목적을 위해 성형공정 변수인 사출시간 충전압력 그리고 보압시간이 성형품에 미치는 영향을 중량과 곡률반경 구면 정밀도 그리고 구면오차의 간접무늬를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그결과로서 성형품의 중량(칫수)과 곡률반경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충전압력 이며 사출시간과 보압시간은 곡률반경과는 무관해 보이고 중량의 증가에는 기여하지만 공정 사이클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지적된다. 구면정밀도 측정실험 결과 길지도 짧지도 않는 15∼20초 사이의 보압시간 4초이내의 빠른 사출시간 그리고 860kg/cm2 이상의 높은 충전압 력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구면의 형상에 대한 간접무늬 측정결과는 성 형공정을 이해하는데 강력한 도구가 됨을 발견하였다.

  • PDF

소스코드와 실행코드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최악실행시간 측정 방법 (Measuring Method of Worst-case Execution Time by Analyzing Relation between Source Code and Executable Code)

  • 서용진;김현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1-60
    • /
    • 2016
  • 내장 소프트웨어는 실시간성 및 실행 환경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요구사항으로 갖는다. 실시간성 요구사항은 탑재된 태스크의 최악 실행 시간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적 분석 기반의 최악 실행 시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최악 실행 시간을 파악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최악 실행 시간 분석은 실행 환경으로부터 독립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에 우리는 실행 환경으로부터 독립성을 제공하기 위해 소스코드로부터 실행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실행 코드가 아닌 소스코드로부터 생성된 제어 흐름 그래프를 통해 실행 시간을 측정한다. 또한 소스코드로부터 생성된 제어 흐름 그래프에는 실행 시간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제공하기 위해 소스코드의 문장과 실행코드의 명령어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실행 시간 측정이 가능한 제어 흐름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종속적인 부분을 매개변수화할 수 있기 때문에, 최악 실행 시간 분석 도구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 응답시간 모니터링 API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sponse-time Monitoring API for Web Application)

  • 김태성;이금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419-421
    • /
    • 2000
  •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불만이 제기되기 전에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문제를 미리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시스템의 응답시간 측정은 시스템의 성능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응답시간 측정 방법은 트랜잭션의 개념이 없거나,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트랜잭션의 개념을 지니고, 일반 자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자바 애플릿에서도 사용 가능한 응답 시간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논문에서 설계되고 구현된 웹 어플리케이션 모니터링(Web application monitoring: 이하 WM) API을 어플리케이션에 넣음으로써 시스템은 가용성, 서비스 수준 합의, 용량 계획 등을 위해 관리될 수 있다.

  • PDF

가상 시스템 호출을 이용한 시간 측정 함수의 성능 향상 (Enhanced Time Measurement Function Using Virtual System Call)

  • 김재열;손성훈;정성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237-1240
    • /
    • 2003
  • 최근의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해 주는 스트리밍 서비스가 활성화가 되고 있다. 스트리밍 서버는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일정한 데이터 전송률로 서비스를 하게 되는데, 이때 시간측정 함수를 매우 빈번히 사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시간 측정함수를 가상 시스템 호출 기법을 이용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