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간정보추출

Search Result 2,165,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A Grid-based Matching Algorithm for Improving Response Time in Image Database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응답 시간 향상을 위한 그리드 기반 매칭 기법)

  • Nam, Yun-Young;Park, Jin-Kyu;Hwang, Een-Jun;Wee, Young-Cheul;Kim, D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283-286
    • /
    • 2006
  • 내용기반의 이미지 검색방법은 객체의 내부의 정보를 이용한 검색방법으로 색상, 모양, 질감과 같은 특징을 사용한다. 이러한 특징 중에 모양은 검색에 사용될 수 있는 점을 추출하여 유사도 계산에 사용한다. 유사도 계산은 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검색의 응답시간도 함께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응답시간 향상을 위하여 특징점들에 대한 그리드 기반의 유사도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드 기반의 유사도 매칭 기법은 점들을 그리드로 나누어 검색의 범위를 좁힘으로써 매칭하는 횟수를 줄이는 방법이다. 특징점으로 사용된 점들은 이미지의 선으로부터 MPP(Minimum Perimeter Polygons) 알고리즘으로 추출하였으며, 특징 점들간의 거리값의 합을 유사도로 계산하였다. 실험에서는 400여개의 식물 잎 이미지로부터 점들을 추출하여 검색 시간을 비교하였다.

  • PDF

Driving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of TCS Data Based on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Fuzzy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한 TCS 데이터 주행특성 분류 방법 연구)

  • Park, Won-Sik;Kim, Dong-Keun;Yang,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021-1024
    • /
    • 2009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행시간 분류방법은 하나의 통행시간을 대푯값으로 가지고 있다. 이에 문제점은 고속도로 특성으로 규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 규정 속도 및 휴게소 이용차량, 운전자의 운전 습성, 통행 목적, 피로의 정도, 운전자 성향과 도로상황에 따라 통행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점이다. TCS(Toll Collection System) 자료는 고속도로의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상 구간의 거리가 멀수록 목적지에 도달하는 통행시간의 분산이 커지는 특성 또한 보인다. 따라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통행시간 분류, 구간대표통행시간 추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법은 전체 통행차량의 통행시간을 감안한 방법으로 통행시간 예측시 정확성이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TCS 자료를 Fuzzy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일일 고속도로 통행시간의 시간별 주행특성을 고려한 대푯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제 서울-청주 구간을 운행한 TCS 자료를 가지고 실시한 실험으로, 주행특성 및 도로상황을 고려한 Fuzzy c-means를 이용한 통행시간 분류방법과 기존의 통행시간 분류 방법을 통한 통행시간을 PIFAB를 사용 TCS 자료의 실제 통행시간과 경로통행시간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Fuzzy c-means기법은 기존 방법인 MAD기법보다 75%, 신뢰구간(95%) 추출법 대비 81%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Design & Implementation of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a PC-Cluster (PC-Cluster를 사용한 내용기반의 화상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Young-Gyun;Oh, Gi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461-146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LAN 상에서 유휴 PC들을 사용하여 PC Cluster를 구성한 후 이를 사용한 내용기반의 화상 정보 검색(CBIR)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LAN 상의 유휴 PC 들은 인터넷상의 연산 자원들보다 안정되고 신뢰성이 있기 때문에 복잡한 보안 기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연산시간이 유휴시간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부하 및 노드의 부하를 고려하는 복잡한 부하 균등화 기법이나 스케쥴링 기법이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내용기반의 화상 정보 검색은 화상 데이터의 대용량 특징으로 인해 화상 특징 추출 및 유사도 계산을 위해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한다. 특히 다양한 내용기반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다중 특징(Multiple Features)을 동시에 추출하고자 할 때 연산시간은 급격히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 기반의 화상 정보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저비용의 고성능의 PC Cluster를 사용하여 전체 연산시간을 단축하고 실시간 정보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

  • PDF

Web Access Pattern Mining considering Page Visiting Duration Time (페이지 소요 시간을 고려한 웹 액세스 패턴 마이닝)

  • 성현정;용환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5-57
    • /
    • 2001
  • 웹로그 마이닝은 대용량의 웹로그 데이터로부터 웹액세스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등 패턴을 찾아내는데 이러한 작업은 웹사이트 설계상의 문제점 등을 발견 및 보완하거나 사용자에게 개인화 페이지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하는 웹액세스 패턴을 추출할 때 페이지의 액세스 횟수 뿐만 아니라 페이지의 소요 시간까지 고려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액세스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PDF

Saponin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ffected by Extracting Conditions (추출조건에 따른 홍삼추출액의 사포닌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 Lee, Seung-Ho;Kang, Jung-IL;Lee, Sang-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7 no.2
    • /
    • pp.256-260
    • /
    • 2008
  •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saponi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was analyzed based on various extracting conditions. The total saponin and individual ginsenoside concentration of the red ginseng extract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also, the extracting condition at $75^{\circ}C$ for 24 hour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 of $Rg_3$ increased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within the particular range. It was suggested that a certain part of ginsenosides changes to $Rg_3$ according to extracting conditions; thus, the concentration of $Rg_3$ increas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based on the extracting conditions were different compared to those for saponin; so,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brix and color difference increased but pH decreased indicating stabilization of the overall quality of the product. Therefore, the most appropriate extracting condition for both the product quality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and stable extraction of saponin was $80^{\circ}C$ within 48 hours, minimizing the loss of ginsenosides.

Information Extraction for Air Travel Dialogue System Using Hierarchical Information Types and Contextual Features (계층적 정보유형과 문맥정보를 사용한 항공여행대화시스템에서의 예약정보 추출)

  • Kim, Se-Jong;Na, Seung-Hoon;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204-208
    • /
    • 2007
  • 대화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연언어를 사용하여 해당 시스템과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목적 지향적 에이전트로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대화형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함으로써 이후 처리단계에서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여행관련 대화에서 발생하는 예약정보들 중에서 경유정보, 특히 경유하는 시간 및 날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출발 도착정보와 경유정보를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현재 발화되고 있는 문장보다 선행되고 있는 문장들의 예약정보들을 문맥정보로 사용하여 현재 문장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학습하고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출발.도착 및 경유정보를 동시에 고려했을 때보다 효과적인 학습 성능을 보였으며 실제로 시간정보에 대해서는 81.5%, 날짜정보에 대해서는 92.0%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 Speed-up Method of HOG Computation Algorithm for Realtime Pedestrian Detection (실시간 보행자 검출을 위한 HOG 연산 알고리즘 고속화 방법)

  • Lee, Yun-Gu;Lee, Jae-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921-923
    • /
    • 2014
  • 보행자 검출과정은 특징추출, 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한 학습과정, 그리고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류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연산시간이 가장 오래 걸리는 특징추출과정이다. 기존의 HOG 특징 추출은 하나의 학습 샘플 이미지에 대하여 많은 픽셀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스트리밍 환경에서 이전 프레임의 HOG 특징 검출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에서 보행자가 존재 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해서만 특징을 추출한다. 이 방법으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인식성능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인식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A scalable and automated feature data extraction system for AI analysis of computational science data (계산과학 데이터의 인공지능 분석을 위한 확장성 있는 특징 데이터 추출 자동화 시스템)

  • Ahn, S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2-105
    • /
    • 2020
  • AI 분석 과정에서 특징 데이터 추출은 분석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과정 중의 하나이다. 계산과학 데이터는 HPC를 활용하여 생산되므로 데이터가 크고 복잡할 뿐 아니라 데이터의 수도 방대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계산과학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 추출하는 과정은 복잡성이 크고, 소요 시간도 매우 크다. 본 논문은 먼저 계산과학 데이터로부터 특징 데이터 추출하는 과정에 대한 요구사항과 이슈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확장성을 고려한 계산과학 데이터의 인공지능 분석을 위한 특징 데이터 추출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Multiple Web-Information Viewer removing repetitive web searching (반복적 웹 검색을 제거한 다중 웹정보 뷰어)

  • Lee, Jung-Soo;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964-966
    • /
    • 2014
  • 인터넷 이용자 급증으로 정보들은 무한히 생산되고 사방에 산재되어 가고 있다. 이로 인해 정보들을 탐색하는 시간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지사항이나 날씨처럼 반복적으로 갱신되는 정보들을 얻기 위해 사람들은 동일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불필요한 트래픽 유발 및 검색시간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동일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서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웹상에서 각종 정보들만을 추출하여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배치하는 웹 컴포넌트를 설계 및 구현한다. 이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사용자는 단순히 하나의 웹페이지를 클릭함으로써 다수의 웹상에 저장된 정보들을 웹서핑 없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보검색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크로스 도메인상의 웹문서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조작하는 것을 금지하는 웹 표준 정책인 동일출처정책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이 정책을 회피함으로써 파생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존하는 관련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우수성을 보인다.

Reliability Measurement Technique of The Eye Tracking System Using Gaze Point Information (사용자 응시지점 정보기반 시선 추적 시스템 신뢰도 측정 기법)

  • Kim, Byoung-jin;Kang, Suk-ju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5
    • /
    • pp.367-373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eye trackers and how to analyze them.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a user profile information created by extracting gaze coordinates and color information based on the exact pupil information, and then, it maintains a high accuracy in the display. In case that extract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the changes of the accuracy for the gaze time also is estimated and the optimum parameter value is extracte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accuracy of the gaze detection, the accuracy was low if a user took a short time in a specific point.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more than two seconds, the accuracy was measured more than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