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 암호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Visual Cyrptography Constructions (시각암호 구성법에 관한 고찰)

  • 최창근;박상우;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6.11a
    • /
    • pp.251-260
    • /
    • 1996
  • Naor & Shamir는 시각 암호에 관한 기본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구성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복잡한 암호학적인 계산 없이 숨겨진 비밀을 복호하는 새로운 암호형태로서 대단히 안전하고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 n)시각 비밀 분산법의 여러 방법들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시각 암호의 실질적인 응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농담화상에 적용하기 위한 시각 암호의 구성법과실제 구현결과를 보인다.

  • PDF

Improved Visual Cryptography Using Cover Images (커버영상을 이용한 개선된 시각암호)

  • Jang, Si-Hwan;Choi, Yong Soo;Kim, Hyoung Jo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4
    • /
    • pp.531-538
    • /
    • 2012
  • Visual cryptography is a scheme that recovers secret image through human vision by overlapping distributed share images without cryptographic operations. Distribution methods are still being developed for improving quality of shared images keeping size of images invariant and enhancing robustness against resize of images. Since visual cryptography only uses shared images, this fact is exploited to attack. From this fact, a scheme safe for sharing distributed images is needed. In this paper, a new visual cryptographic scheme using cover image is proposed. This scheme reduces the chance of detection against steganalysis and increases security.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completely decrypt secret image without creating noise.

Effect of the Phase and Amplitude for Optical Visual Encryption (광시각 암호화에 위상과 진폭이 미치는 영향)

  • 이석기;류충상;구향옥;오창석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 no.1
    • /
    • pp.74-82
    • /
    • 2001
  • Visual cryptography made it possible to decrypt the Information encrypted by thresholding scheme not with digital system but with human vision system. This method, however, has some limit in it because of the rack of resolution in both the spatial and amplitude domain. Optical visual cryptography, which used laser system instead of human eyesight, was proposed by conjunction of the optical theory with the cryptography. However, it also had some difficulties because it did not overcome the existing problem of visual cryptography completely. The problem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data processing system from visual to optic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pproach these problems in terms of optics. In this paper, we analysis, in the aspect of frequency, the security characteristics and the noise level occurred in the process of optical visual encryption.

  • PDF

Visual Cryptography for Multi Images Using Constant Weight Codes (고정 가중치 부호에 의한 복수 화상용 시각암호)

  • 김미라;박상우;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6.11a
    • /
    • pp.261-271
    • /
    • 1996
  • M.Naor와 A.Shamir의 시각암호는 기존의 비밀 분산법에서 분산/복호시 연산량이 많은 것과는 달리 인간의 시각에 의해서 직접 복호될 수 있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암호의 화장 방식인 복수 화상을 숨기는 방식에서 숨기려는 비밀화상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share 크기가 기하 급수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 가중치부호의 해밍 거리를 조정하여 share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ecret Sharing Scheme Using Visual Cryptography (시각암호에 의한 비밀 분산법)

  • 김미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7 no.4
    • /
    • pp.37-50
    • /
    • 1997
  • 시각암호는 기존의 비밀 분산법이 비밀을 분산/복호시의 방대한 연산량을 수반하는 것과는 달리 인간의 시각에 의해 직접 복호되기 때문에 복잡한 연산이 필요없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첩하는 슬라이드의 매수에 따라 복수의 비밀화상이 복원되는 시각암호에 대해 알아보고, 그 안전성을 검증한다. 분산하고자 하는 비밀화상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기하 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복원화성의 인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고정 가중치 부호의 해밍 거리를 조정하여 줄임으로서 복원화상의 해상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New Construction Scheme for Improving Contrast in Visual Cryptography (시각암호의 휘도 개선을 위한 새로운 구성법)

  • 양신석;김문수;박지환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4 no.2
    • /
    • pp.136-144
    • /
    • 2001
  • visual cryptography is a simple method in which secret information can be directly decoded in human visual system without any cryptographic computations. This scheme is a kind of secret sharing scheme in which secret of image type is distributed to n random image(we call it share). When the secret image is distributed to n shares, the original pixel is expanded as much as the size of column in basis matrix. It causes the deterioration of contrast in docoded secret image. Therefore, many researches have performed to reduce the size of pixel expansion and to improve the contrast by overlapping the row in basis matrix for (k, n) visual cryptography.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construct the (k, n) visual cryptography with multiple contrasts depending on selecting k out of n slides in a group.

  • PDF

Visual Cryptography Using the Number of $_nC_2$ (조합 $_nC_2$을 이용한 시각암호의 구현)

  • Kim, Moon-Soo;Kang, Mee-Kwa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2 no.4
    • /
    • pp.515-531
    • /
    • 2008
  • The visual cryptography scheme is a simple method which can be decoded directly the secret information in human visual system without performing any cryptographic computations. For some secret of image type, we scatter them to random n images and if any threshold (or more) of them are stacked together then original image is visible. In this paper we consider (2,n) visual cryptography scheme and show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ple matrix using the rule of binomial coefficients $_nC_2$. This scheme can contribute interesting and effectiveness to the study of mathematics.

  • PDF

New Construction for Reducing the Number of Subpixel in Visual Cryptography (시각암호에서 부화소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구성법)

  • 양신석;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05-209
    • /
    • 1998
  • 시각암호는 n개로 분산된 비밀화상을 슬라이드와 같이 물리적으로 중첩 가능한 곳에 인쇄하여 그룹내 n명에게 슬라이드를 배포한 후, 임의의 k명 이상의 슬라이드를 겹치면 비밀 화상을 복원할 수 있지만, k-1명 이하의 슬라이드를 겹치는 경우에는 비밀화상을 복원할 수 없는 방식이다. 이 논문에서는 (k, n) 시각암호의 휘도(contrast)를 개선하기 위한 구성법에서 모든 경우에 동일 휘도를 유지하면서 부화소의 수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구성법을 제안한다.

  • PDF

An Extension of Visual Cryptography and Its Application into Digital Watermark (시각암호의 확장과 디지털 워터마크에 응용)

  • 이혜주;박지환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 no.1
    • /
    • pp.80-89
    • /
    • 1998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method which a secret information is distributed in hard-copied image using visual cryptography that the secret can be identifying simply by human eyes. If slides constructed by patterning, which is one of dithering method, ar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cryptography, each slides will maintain the shape of original image because these slides have different Hamming weights. Therefore,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information distributed into slides by stacking them can decode and the shape about the original image can be keeping as wel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which shares the secret information into multiple original images by extension of ONM (Oka-Nakamura-Matsui) method which is devised to embed a secret information on hard-copied image. As a result, this proposed method is applicable to digital watermark because the copyright of image can be identified by stacking an image of owner for verification and the distributed multiple images.

  • PDF

Contrast Analysis According to Hierarchical Access Structure on Visual Cryptography Scheme and Its Application into Human identification (시각암호에서 계층적 접근구조에 따른 휘도분석과 식별에 응용)

  • 최창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8 no.2
    • /
    • pp.13-26
    • /
    • 1998
  • 시각암호는 비밀화상을 share라 불리는 암호화된 형태로 분산하는 방법으로서n명의 참여자로 이루어진 잡합 p에 대하여, 각 참여자는 share로 구성된 슬라이드(transparency)를 한장씩 부여받는다. 참여자들의 인가된 부분집합은 슬라이드를 중첩시켜 시각적으로 비밀정보를 복원할 수 있지만, 다른 부분집합은 비밀 정보를 복원 할 수 없다. 이 방법은 비밀정보를 복원라기 위하여 인간의 시각 체계를 이용하므로 컴퓨터를 사용한 복잡한 연산이 필요 없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복원화상의 휘도가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논문에서는 참여자의 계층화를 고려한 (2, n) VCS(Visual Cryptography Scheme)를 구성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계층적 접근구조에 의해 휘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보인다. 제안하는 방법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2, n) VC로 재구성되는 화상의 휘도를 분석한다. 또한 그 응용으로서 한 장의 슬라이드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 상호식별이 가능한 메카니즘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