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적 표시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해양오염사고 시각화에 관한 연구 : 사고정보 심볼 중심으로

  • Ha, Min-Jae;Yun, Jong-Hwi;Kim, Tae-Hyeong;Jeong, Min-Gi;Lee, Mun-Jin;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
    • /
    • 2017
  • 해양오염사고를 표시하는 기존의 방법은 사고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는 방법, 사고의 빈도나 규모를 해도에 영역(Heat map)으로 표시하는 방법, 사고정보를 코드화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 그리고 사고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해도에 구획을 정하여 해당 구획의 위험도를 표시하는 방법 등이 해양사고 관련 연구나 분석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사고표시방법은 정보를 제한적으로만 표시할 수 있어, 종합적인 사고정보를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오염사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 및 전달하기 위해 기름유출사고를 시각화하여 압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Pavement Markings(Life Line) Design for Disaster Prevention (방재디자인 기반 응급도로 표시(Life Line) 디자인 개발)

  • Won, jeong-yeon;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5-206
    • /
    • 2017
  • 교통사고나 안전사고로 인한 중증 피해자를 사망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서는 앰뷸런스가 병원으로까지 환자를 이송하는 "골든타임(Golden time)"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람들에게 미리 "라이프 라인(Life Line)"을 시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복잡한 도로에서 응급상황이 왔을 때 자연스럽게 앰뷸런스의 길을 터 주어 빠른 시간 안에 환자를 병원까지 이송하도록 하는 응급도로 표시를 연구하였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도로 노면표시 중 기존차량에 관한 노면표시를 살펴보고 응급차량 관련 새로운 노면표시 디자인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Visualization of Path Expressions in a Graphical Object-Oriented Query Language (그래픽 객체지향 질의어에서 경로식의 표현방안)

  • Koo, Yeo-Woon;Cho, Wan-Sup;Rhee, Chung-Se;Choi, 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60-262
    • /
    • 2000
  • 인터넷-웹 환경에서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시각적 질의어(graphical query language)를 설계할 때 복잡한 질의 조건을 간단하고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경로식 표현을 인터넷/웹 기반으로 설계, 구현하였다. 시각적 표현 기밥을 사용하여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schema)와 질의어를 하나의 통일된 시각적 표시법으로 표현하며, 객체관계형 질의어인 경로식 표현에도 간단한 시각적 표시법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이 그래픽 질의어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텍스트 기반 질의어들에 비하여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문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넷/웹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Java source code Similarity Measurement System (자바소스코드 유사도 측정 시스템)

  • Kim, Eun-Hye;Lee, Song-A;Heo, Jun;Han, Kyung-Sook;Oh, Y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536-539
    • /
    • 2007
  • JSMS(Java source code Similarity Measurement System)는 자바 소스 코드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이와 관련한 소스코드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표절 검사 시스템은 소스코드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해 유사도 결과의 신뢰성이 낮고 대부분 편리성과 가독성이 좋지 않아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JSMS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함수 선형화를 사용하여 소스코드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하였다. 또한 쉽고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성을 제공하며, 관련 정보와 유사 구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향후 다양한 언어 지원과 폭넓은 시각적 정보 제공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학습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스코드 표절의 객관적 기준이 되는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 PDF

A Transmission Service Method for Processing Visual Recognition of Sender Information (발신자 정보에 대한 시각적 인식 처리를 위한 전송 서비스 기법)

  • 김기현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0 no.4
    • /
    • pp.328-336
    • /
    • 2004
  • Recently a mobile service is changing into a system environment that offers the customer various contents service. Representative example of service is a Calling Identity Del ivory Service(CID). Such service has the problem in the case which the receiver cannot remember the phone number of the sender; it has a difficult problem that cannot easily confirm whose the phone number it i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esign and implement visual services that can enhance the recognition of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rchitecture that is similar to a Calling Identity Delivery Service. We propose the architecture for communication service and system that is able to visually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sender using 2D image data in mobile environment. After that we set the image information to represent the user and this method is able to visually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sender by transmitting an image data through channels from switch station or base station using the server. When the receiver receives a phone call from the sender, this method provides an efficient service by transmitting visual data with bell sound. That is, the image information of sender is appeared on liquid crystal display(LCD) of the receiver at the same time. We investigate the concepts for processing real-time transmission of image data and describe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result that is based on system. This technology has a potential influence on the marketing and presents an efficiency of this method.

Rehabilitation program for hemiplegic patient by visual displaying of the current gaze position (응시위치의 시각적 표시를 통한 편마비 장애인의 재활치료 프로그램)

  • 이정준;박강령;김민영;김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02-207
    • /
    • 1999
  • 응시위치 추적이란 현재 모니터 상에 사용자가 응시하고 있는 지점을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정보로부터 파악해 내는 것을 말한다. 응시위치 추적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모니터 상에 바라보고 있는 응시위치점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한쪽 면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에 대한 진단 및 재활치료를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이와같은 시스템은 사용자가 관심있어할 만한 상황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적으로 만들고 그 안에 있는 물체들을 사용자가 고개움직임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강한 동기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편측 시각 무시에 대한 보다 정량적 인 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작업치료사의 도움을 받아야 했던 것에서 탈피할 수 있으므로 인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 PDF

Route Map Visualization method for Mobile Handset Environment (모바일 핸드셋 환경을 위한 라우트맵 시각화 방안)

  • Ryu, Dong-Sung;Park, Dong-Kyu;Uh,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48-150
    • /
    • 2002
  • 본 논문은 모바일 핸드셋이라는 제한적인 디스플레이 환경과 입력환경에서 필요한 라우트맵의 시각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경로표시 방법은 일반적으로 노트북이나, PDA, 전용 디스플레이 시스템등에서 구현되어 있으나, 모바일 핸드셋과 같이 제한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경로표시 방법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인간의 인식능력이 임의의 경로를 회전방향점(turning point)의 연속으로 인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원래의 경로가 가진 축적을 변형하여 선분과 회전방향점으로 경로를 표시하는 라인 드라이브 시스템을 모바일 환경의 경로표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GIS의 벡터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와 Brew 플랫폼을 지원하는 모바일 핸드셋으로 구성된다. GIS 서버는 프로토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 핸드셋으로 전송하고, 이러한 정보는 모바일 핸드셋의 Brew 플랫폼에서 간략화, 도식화 과정을 거쳐서 시각화된다. 본 논문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환경의 경로 확대표시를 위하여 계층별 경로 시각화 방법을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추구한다.

  • PDF

Study on Visualization of Multi-domain Network Topology (멀티 도메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시각화 연구)

  • Beom-Hwan Cha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2 no.4
    • /
    • pp.169-178
    • /
    • 2022
  • In general, organizations operating multi-domain networks find it difficult to represent and manage multiple domain net works on a single screen space. Instead, most of them are managed with multiple screens visualizing network topology by domain or partitioning one screen area into multiple domains.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o visualize the topology using only minimal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domain-agnostic nodes in this work. This method visualizes the topology by utilizing centrality indices representing the influence of nodes in the network. Furthermore, the method dynamically segments the entire node's display area using virtual Root nodes to auto-separate domains and weights of child nodes and placing nodes in 3D space. Thus, although it is a straightforward method, the multi-domain network topology can be visualized with only minimal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nodes.

VOQL : A Visual Object Query Language (Stochastic VOQL : 시각적 객체 질의어)

  • Kim, Jeong-Hee;Cho, Wan-Sup;Lee, Suk-Kyoon;Whang, Kyung-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8 no.5
    • /
    • pp.1-15
    • /
    • 2001
  • Expressing complex query conditions in a concise and intuitive way has been a challenge in the design of visual object-oriented query languages. We propose a visual query language called VOQL (Visual Object oriented Query Language) for object oriented databases. By employing the visual notation of graph and Venn diagram, the database schema and the advanced features of object oriented queries such as multi-valued path expressions and quantifiers can be represented in a simple way. VOQL has such good features as simple and intuitive syntax, well-defined semantics, and excellent expressive power of object-oriented queries compared with previous visual object-oriented query languages.

  • PDF

An Effective Display of Scientific Data Using 3-D GIS Functions of GRASS (GRASS의 3차원 GIS기능을 이용한 효과적인 과학자료 표시)

  • 이행곤;유태웅;오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35-637
    • /
    • 1999
  • GRASS는 GIS 공개 소프트웨어로서, 이의 효과적인 활용은 비용 면이나 기술 개발 및 축적 면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하다. 생물, 지질, 환경 등의 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방대한 자료를 3차원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논문은 GRASS의 3차원 기능을 이용하여 식물의 서식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과 실제 구현 사례를 기술한다. 지역으로는 내장산을 선택하였으며,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실제 내장산 DEM 자료를 사용하였다. 식물 분포 표시를 위해 GRASS가 제공하는 컬러-기반 3차원 디스플레이 기능을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