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적 경험

Search Result 7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mparison between Affective Responses to Tactile Stimuli Based on the Presence of Visual Information Presentation (시각 정보 제시 여부에 따른 촉각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 비교)

  • Jisu Kim;Chaery Park;Jongwan Ki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7 no.2
    • /
    • pp.15-24
    • /
    • 2024
  • Previous studies on texture and emotion have focused on identifying precisely which tactile stimuli trigger specific emotions.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of vision in tactile perception, research has so far only focused on the singular aspect of texture. In this study, we used tactile stimuli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variables-roughness, hardness, and visual blocking-on the affective responses to tactile perception. The experimental stimuli that can be encountered in daily life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ur conditions of "rough/hard," "rough/soft," "smooth/hard" and "smooth/soft" by crossing two roughness conditions (rough, smooth) and two hardness conditions (hard, soft).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two session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visual blocking existed. Participants completed a session in which they evaluated a tactile stimulus after touching it without seeing it and then proceeded with a session in which they evaluated a stimulus after touching it with sight of it. The results of the repeated-measures ANOVA showed that individuals report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when touching stimuli with visual cues and more negative when touching stimuli without visual cues. Furthermore, the inclination to perceive smooth and soft stimuli more positively and rough stimuli more negatively was stronger when touching without visual c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 an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by elucidating how emotions are experienced differently in situations where visual information is provided and where it is not.

Entre l' espace sculptural et, l' espace architectural (조각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

  • Lee Bong-Soon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5
    • /
    • pp.175-216
    • /
    • 2003
  • 시각이 아닌 오감체계에 관계하는 때문에 현대미술은 외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 예술 작품들은 하나의 장소를 관객에게 제공하여, 심리적, 물리적, 또는 예술이 존재여부에 관한 갖가지 질문들을 제기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념 또는 아이디어에 우선하는 현대미술은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의 사회적 배경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없다. 우리의 물체 인식은 결국 우리의 경험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간주하면, 현대미술의 새로운 형태는 보편적 특질들이 그 특질들 이상의 상태로 보여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창조 행위의 시작은 현대인간의 문화 읽기이며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이 또한 우리의 지식과 정보 체계에 속한다. 회화가 평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조각은 자연 속, 즉 실재공간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각(visible) 이외에도 촉각(tangible)이 관여하게 된다. 조각의 특수성은 촉각(tangible)이 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과 촉각은 매우 적극적으로 미학적 경험에 참여하는 감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무척 힘들다. 왜냐하면 어떤 경험에 있어서 기억연합 또는 감각 연합에 의해 하나의 감각이 다른 여러 감각을 촉발하여 연쇄반응 혹은 '형태 Gestalt'를 이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근대 조각 작품들은 조각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구상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조각작품 자체가 지닌 외적 형태와 그 자체내의 공간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미로의 비너스 조각은 대리석과 비너스 형태의 결합이다. 때문에 관객은 그 주변을 돌면서 우리 신체의 내적 공간과 시각에 의존하면서 그 작품의 중량감, 양감, 형태 등의 특질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현대 추상조각과 개념조각은 이보다 좀 더 확장된 공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현대조각이 건축개념을 수용한 때문이며, 그것이 때로는 안 쪽에서 때로는 바깥 쪽에서 그 형태를 결정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지고 왕래하는 등의 인식 영역인 관객의 오감체계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축 공간에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지각한다. 대강 요약하자면 공간은 객관적 상태이기보다는 인식영역의 주관성을 통해 받아들여진 우리가 지나쳐온 것들이나 체험된 공간이다. 여기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과거 경험들의 주체들, 언어와 문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즉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중앙이 아니다. 중앙은 바로 나, 둘러싸여진 나이다 나는 나의 동작에 따라 그 공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동적인 중심이다 (이때의 나는 위치의 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귀속성과 조각의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조각은 건축물이 아니면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풍경이 아니면서 풍경 안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형조각 작품들 - 예를 들어 대형화된 미니별 조각이나 개념미술, 또는 대지예술 등 -은 풍경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조각은 더 이상 만져지는 실체이거나 점유하는 공간의 상징언어를 지닌 조각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게 된다. 조각과 건축의 공간인식을 인체의 크기와 관련하여 보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 은 우리가 논하는 작품의 공간체계를 분석하는데 지침표가 되어준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정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몸과 함께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지각은 우리가 부단히 눈을 움직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주변을 돌아 다니면서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 진다.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표현은 몸 자체가 원천적으로 지향적 활동의 주체로서 파악되는 한 이미 항상(恒常, constant) 의미 현상을 지니다. 우리의 지각이 움직이는 몸의 지향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몸의 지향활동이 의식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몸의 움직임은 의식의 의도를 표현할 때에만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가 살아있는 표현이다. 우리의 몸짓, 표정은 우리 의식이 의도하기 전에 이미 의미가 담겨있다. 몸은 그 자체가 기호(Signe)적이다. 결국. 메를로 퐁티에게서 세상(le monde entier)은 그 자신이 주체가 되어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 구조에는 우리의 몸이 구심점(le point centripete)이 된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메를로 퐁티의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재료와 크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the Visually Impaire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시각장애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 Kim, Hak Bum;Cha, J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2 no.1
    • /
    • pp.43-51
    • /
    • 2018
  • In this study, visually impaire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 of "changes of state of water" was explored. Science inquiry activity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implemented to 1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5 high school students from school for the blind. 14 of them were totally blind, 13 had low vision and the others were not identified. Inquiry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researcher while students were individually exploring the molecular models of water and ice developed for the study. After the exploration, students were asked to explain the concept of changes of state of water with the model they explored. Opinion on the need and the usability of this kind of tactile model was also asked to them. All conversation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As a resul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swered exactly about the materials used for the model and their numbers. However, they didn't know what the model stood for. They had experiences of learning molecule of water and changes of state of water, but it was a phenomenon and superficial understanding. Students got to understand the molecular structures of water and ice, and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usability of the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 Case Study on the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 of Dissolution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 Kim, Hak Bum;Baek, Sangsu;Cha, J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7 no.4
    • /
    • pp.507-514
    • /
    • 2013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n dissolution were investigate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about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and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were conducted with 4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ree were blind, and one had low-vision).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transcription. As a resul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knew well about the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and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while they couldn't explain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Althoug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found to have similar level of understanding with students without visual impairments, they had sounder understanding about uniformity of solution. Howeve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ad superficial understanding based on phenomenal experiences. Som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ried to give micro-level explanat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증거기반 창업교육: 대학 교재 분석

  • Han, Ji-Eun;Kim, Na-Yeong;Bae, Tae-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57-61
    • /
    • 2021
  • '증거기반 교육'은 개인적 경험이나 성공 사례, 그리고 전통적인 속설보다는 과학적 연구결과와 근거가 중심이 되는 교육이다. 증거기반 창업 교육은 기존 속설과 믿음, 단편적 성공 사례로 인해 고착된 인지 편향을 완화시켜 중립적인 시각을 견지할 수 있으며, 직관과 경험을 넘어 데이터와 연구 결과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분석적 자질을 연마하는데 기여한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의 증기기반 창업교육의 현주소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21년 출판된 49권의 창업교육 대학 교재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든 도서의 내용을 1)창업기초, 2)비즈니스모델, 3)마케팅계획, 4)재무계획, 5)운영계획, 6)창업유형, 7)절차 및 제도의 각 7가지 기준으로 구분하고, 각각 사례, 단순통계, 변인 통계, 선행 연구의 비중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증거의 핵심인 선행연구의 비중은 전체 교재의 총 분량 중 11.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harlier(2011)의 MBA 교과목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유사한 값이다.

  • PDF

A Study on Synesthetic Expression for Brand image Recognition (브랜드 이미지 인지를 위한 공감각적 표현효과에 관한 연구)

  • Gao, Yazhen;Jang, Ch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13-314
    • /
    • 2013
  • 브랜딩의 목적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의 개념에서 브랜드체험의 전달로 변화하며 오감과 감성의 활용에 주목하는 사회 환경에서 디자인도 감각디자인, 경험디자인 등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따라서 공감각적 표현의 전략적인 활용이 브랜드인지를 촉진한다는 가정을 하였다. 국내외 브랜드의 디자인에 나타나는 공감각적 표현을 분석해본 결과 시각과 청각, 촉각, 후각을 이용한 공감각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 PDF

21세기에도 빛날 20세기 고전(3)-한국 사회과학편

  • Lee, Eun-Ji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53
    • /
    • pp.22-23
    • /
    • 1999
  • 한국 사회과학이 근대적 학문으로 정립된 역사는 일천하다. 여기서 일천하다는 것은 그 역사가 짧다는 뜻이 아니라 학문이 발전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이 덜 성숙돼 있었다는 의미다. 지식인 사회가 서구 중심의 시각으로 무장하고 있는 상황, 한국의 경험적인 연구를 가능케 하는 자료의 부족, 한국인의 주체적인 문제의식의 방황(지식인 사회에서의 자기 문제에 대한 평가 부족), 연구방법에서 지나친 서구 의존은 바로 사회과학이 발전하기 어려운 상황을 증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식인 100명이, 한국인이 저술하고 한국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책을 8권 선정한 것은 이러한 사회적 조건 아래에서도 문제의식.자료.연구방법의 측면에서 높은 수준을 보여줬다는 점을 평가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Visualization of Linear Algebra concepts with Sage and GeoGebra (Sage와 GeoGebra를 이용한 선형대수학 개념의 Visual-Dynamic 자료 개발과 활용)

  • Lee, Sang-Gu;Jang, Ji-Eun;Kim, Kyu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7 no.1
    • /
    • pp.1-17
    • /
    • 2013
  • This work started with recent students' conception on Linear Algebra. We were trying to help their understanding of Linear Algebra concepts by adding visualization tools. To accomplish this, we have developed most of needed tools for teaching of Linear Algebra class. Visualizing concepts of Linear Algebra is not only an aid for understanding but also arouses students' interest on the subject for a better comprehension, which further helps the students to play with them for self-discovery. Therefore, visualizing data should be prepared thoroughly rather than just merely understanding on static pictures as a special circumstance when we would study visual object. By doing this, we carefully selected GeoGebra which is suitable for dynamic visualizing and Sage for algebraic computations. We discovered that this combination is proper for visualizing to be embodied and gave a variety of visualizing data for undergraduate mathematics classes. We utilized GeoGebra and Sage for dynamic visualizing and tools used for algebraic calculation as creating a new kind of visual object for university math classes. We visualized important concepts of Linear Algebra as much as we ca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extbook. We offered static visual data for understanding and studied visual object and further prepared a circumstance that could create new knowledge. We found that our experience on visualizations in Linear Algebra using Sage and GeoGebra to our class can be effectively adopted to other university math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is contribution has a positive effect for school math education as well as the other lectures in university.

A Study on Reality Enhancement Method of VR Baseball Game (VR 야구 게임의 현실감 강화 방법 연구)

  • Yoo, Wang-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9 no.2
    • /
    • pp.23-32
    • /
    • 2019
  • The popularization of VR content is slow. It's because they have not created a new visual experience, that is, 'utility' beyond 'interest'. The utility of VR content starts from functional reality. And to enhanced it, realistic interaction is required. Specifically, this study presents three methods of network play, characte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aptic implement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hypothesis, we conducted all phases of VR content production from baseball to contents production, play test, and technical verification. Through the test of the user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about the final product, it was evaluated that it contribu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content realism through the realistic visual effect, the play presentation, and the impact evaluation by the vibration.

Daesoonjinrihoe from both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 Focused on Religious Experience (표층과 심층의 시각에서 바라본 대순진리회 - 종교적 경험의 관점에서 -)

  • Lee, Eun-hui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7
    • /
    • pp.245-282
    • /
    • 2016
  • Currently, the whole world is being swept away by spiritual movements seeking divinity in oneself. Yet there are terror attacks, religious disputes and other conflicts continuously taking place on larger and larger scales as well as expanding further and further throughout the world. Interreligious harmony seems like a distant ideal. What is the ultimate cause of religious conflicts? Is interreligious communication truly that difficult? Even among different cultures, said cultures' varieties of ritual expressions, and various religious doctrines, there are points of general common to be appreciated if a deep perspective is adopted. When we find the common ground and understand each other's difference, it will be easier to communicate since everyone will be learning from each other. What could serve as common ground for different religions? Many scholars speak about the state of 'oneness' that is claimed by mysticism throughout a large array of religions. This state of oneness is typically not achieved overnight, but it serves as a prospective state which is pluralistically inclusive. This "religion of enlightenment" emphasizes the process of reaching comprehensive interreligious agreement would be characterized by a deep religious perspective. If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focuses only on faith to attain blessings and engage in blind belief, then, by contrast, deep religious perspectives emphasize inner divinity, the true self, orthe higher self. The words,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 were defined for personal convenience by O Gang-nam, a scholar of comparative religion. Consequently, this classification is a relative binary concept lacking hard and fast rules with regards to distinctions. But the concept of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has its advantage in allowing clearer and easier discussion about religions because it could embrace all aspects of religious lif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igious sentiment. In this way, the terms surface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will be used in limited framework. I both borrow this concept and reconsider it by referring to other scholars' methods of classification. From that point, I explore and these views in relation to religious experience. How does religiosity develop, maturity of religious faith take place, deep awareness of truth reveal itself, or an attitude of open-mindedness arise? After these states are realized, is interreligious agreement possible? Most religious studies scholars point out 'religious experience.' They say people could develop their faith from superficial religious beliefs into a more mature and deeper faith through religious experience while continuously aspiring towards enlightenment and practicing their religion in daily life. This study will try to examine aspects of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represented in each religion and also explore criticism of each religion. With this view of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and deep religious perspectives, some cases documenting the religious experience of Daesoonjinrihoe disciples will be analyzed to see how their religiosity develops from superficial religious perspectives into deep religious perspectives through certain religious experiences.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experiences will also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