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재현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Solid Electron Display Effect availability Computer Display (파티클 효과 응용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35-23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파티클 효과 응용에 대해서 나타낸다. 파티클 효과는 연기, 화염, 불꽃, 특수 효과를 이용하여 이러한 입자들을 표현하여 현실 세계에서 보다 더 현실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파티클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장소에 관계없이 콘텐츠를 제작하여 필요한 영상 분야나, 비디오 시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보다 많은 영역에서 특수 효과를 쉽게 연출 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생활에서 다양한 파티클 효과를 재현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도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구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서 콘텐츠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본다.

  • PDF

Simulator for current weather (현재 날씨를 그대로 재현하는 시뮬레이터)

  • Park, Min-Ju;Choi, Hyo-Rim;Jang, You-Won;Kang, Seo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372-374
    • /
    • 2019
  • 기계를 잘 다루지 못하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활용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기계에 서툰 사람뿐 아니라 날씨를 확인하기 힘든 바쁜 현대인들이 날씨를 시각적으로 좀 더 쉽게 확인하고, 필요한 용품을 미리 챙겨서 날씨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뿐만 아니라 사계절이 없는 나라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계절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나라를 선택하면 날씨 정보가 화면에 나타나고, 날씨 박스에도 시각적으로 표현이 된다. 날씨 박스로는 인형 소품을 이용해 계절을 알려주고, 조명을 이용해서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낮과 밤을 나타내고, 효과음을 이용해서 비 또는 천둥을 표현한다.

A Multi-Sensory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the Comfort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of Infant (유아보육환경 내 편안함 및 집중도 향상을 위한 다감각 시스템)

  • Moon, Seung-Mi;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35-537
    • /
    • 2013
  • 최근 현대사회의 가족체제 변화로 인해 유아 보육의 수요와 보육 시설이 급증함으로써 양질의 보육 환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아기는 성인과 비교할 때 정서가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시기이며 특히 시각 및 청각을 통한 자극에 더욱 민감하므로 유아 시기의 보육 환경은 성장 이후 지적 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유아의 보육 활동 유형에 따라 이러한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동시에 자극하게 되면 감각의 통합과 상호작용으로 편안함과 집중력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만 3~5 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양질의 보육 환경 제공을 위해 '수면', '학습', '놀이', '식사 및 휴식'을 포함한 네 가지 보육 활동 유형을 상황 정보로 정의하고 각 상황에 적합한 시각 및 청각 환경을 복합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다감각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Definition of a Catastrophe as Trauma by Visual Media and the Resultant Problems: A Critical Analysis of the "Antimimetic Theory" (시각 미디어에 의한 대재앙적 사건의 트라우마 규정과 그에 따른 문제들 - "반모방 이론"에 대한 비평적인 분석을 통해서)

  • Seoh, Gil-Wan
    • Cross-Cultural Studies
    • /
    • v.43
    • /
    • pp.265-288
    • /
    • 2016
  • This essay begins by discussing the issue of the definition of a catastrophe as a trauma by visual media and the problems that result. We assume a concrete approach towards these problems by examin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9/11 was defined as a "national trauma" in the exclusion of images of bodies falling from towers, which were some of the most shocking images in the media coverage of 9/11. The choice to exclude images of falling men from American visual media representations of 9/11 goes hand in hand with the tendencies of a contemporary trauma theory. This essay assumes that the representations in the U.S visual media depend on "antimimetic theory," one of the leading contemporary trauma theories, in order to validate its logic, and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theory. This work aims to examine the issue of the definition of a catastrophe as trauma by visual media on the basis on the "antimimetic theory" and the danger that results. Because the antimimetic theory, which the visual media in the United States uses to define 9/11 as trauma, emphasizes literal and unmediated representation of an external event, it lacks an understanding of the human aspects of the event. There is no way to intervene in the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rauma. As a result, the theory discourages active attempt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peopl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vent. Thus, it provides an opening for manipulative intervention of an external power. This essay attempt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f the "antimimetic theory" in order to help people who witness catastrophic events through various types of visual media, and to seek an alternative means of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the trauma, that does not stem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fic media outlets or external powers.

Book Genre Visualization based on Genre Identification Algorithm (장르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한 책 장르 시각화)

  • Kim, Hyo-Young;Park, Jin-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52-61
    • /
    • 2012
  • Text visualization is one of sectors in data visualization. This study is on methods to visually represent text's contents, structure, and form aspects based on various analytic techniques about wide range of text data. In this study -as a text visualization study-, 1) a metho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 book's genre using words in the text of the book was looked into, 2) elements of visualization of a book's genre based on verification through an experiment were drew, and 3) the ways to intuitionally and efficiently visualize this were explained. According to visualiz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first, actual genre of a book can be understood based on words used in the book. Second, with which genre is closed to the book can be found out with one glance through images of visualization.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complicated genres included in a book can be understood. Furthermore, the level of closeness (similarity) of a genre -which is found to be a representative genre using the number of dots, curvature of a curve, and brightness in the image- can be assumed. Finally,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book customizing service such as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provides images of personal preference books or genres through application of books favored by individual customers.

Computational Retinal Model by emphasizing region contrast (영역대비강조에 의한 계산론적 망막모델)

  • Je Sung-kwan;Kim Kwang-back;Cho Jae-hyun;Cha Eui-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7
    • /
    • pp.1594-1600
    • /
    • 2005
  •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in the human vision model to solve the Wblem of the machine vision. Starting from research on the human visual system, first, we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retina through physiological and biological evidence. In retina, input data was processed information processing that was data reduction edge detection, and emphasizing region. The processed image was recognized by reg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retinal algorithms that process data reduction and edge detection by the wavelet transform and emphasize region contrast. In experiments, the proposed model simulates processing the retina outputs in the levels and compares with outputs.

A Study on Web Identity of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Focused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연구 -영어, 일어,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 Kim, Mirea;Hwang, Jung-Hy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93-4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대학학위 과정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외국어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규명의 필요성과 규명된 웹 아이덴티티와 학습동기유발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는 타 교육 분야보다 각 민족 언어의 아이덴티티가 시각적으로 재현되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바 있는 웹 아이덴티티 분석 기준에서 출발하여 온라인 교육 콘텐츠 측면에서 이를 적용 및 재해석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의 웹 아이덴티티 기준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년제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국내 0 사이버대학교의 외국어 교육 콘텐츠(영어, 일어, 중국어)의 사례를 웹 아이덴티티를 구현하는 세부 요소--시각디자인측면, 사운드측면, 인터페이스측면--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각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교육 효과 획득을 위한 학습동기유발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와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되지 않은 채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 간의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등 학습동기유발 효과를 비교하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에 있어서 웹 아이덴티티의 개발과 적용이 외국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학습동기유발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A Proposal of VST-HMD based XR Experience Framework for Immersive Cultural Heritage Site Education (몰입형 문화유산 현장 교육을 위한 VST-HMD 기반 XR 체험 프레임워크 제안)

  • Kwon, Oh-Ya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97-4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의 몰입형 교육을 위한 VST(Video See-through) 방식의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XR(eXtended Reality)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문화유산 현장의 경우 실물이 남아있지 않아 교육 및 체험 측면에서 흥미로운 정보 전달이 어렵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적인 확산에 따라 이를 이용해 문화유산 현장에 소실된 문화유산을 AR(Augmented Reality)로 복원 및 시각화하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OST(Optical See-through) 방식의 안경형 AR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사례들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몰입감과 사용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보였으며, 단순히 소실된 문화유산의 복원된 모습을 정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에 그쳐 문화유산 현장에 내재된 동적인 역사 스토리를 재현한다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 VST-HMD를 이용하여 AR 기반의 정적 문화유산 시각화뿐만 아니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동적 역사 스토리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XR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더욱 몰입감 있고 만족스러운 문화유산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한다.

  • PDF

웹기반 3D 가시화 모듈 연구

  • Park, Ji-Su;O,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34
    • /
    • 2016
  • 웹기반 3D 가시화 모듈은 선박운항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플랫폼 종류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웹브라우저에서 3D 가시화 시뮬레이션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Socket.io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하였으며 시각 및 기상상태, 해상 환경을 재현하였다. 또한 3D 가시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대상 선박과 항만의 3차원 모델 데이터를 로드하고,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3차원 가시화 화면을 생성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발된 기술은 장비 선택에 제약이 없어 시간, 인력, 공간, 예산에 유연한 시스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igital Photogram and Possibility of Digital Photo (디지털 포토그램과 디지털 사진의 확장)

  • Kim, Mi-Ryeon;Park, N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8-310
    • /
    • 2012
  • 오늘날 디지털기술과 결합한 사진은 현실과 허구를 결합하는 상호 텍스트성으로서의 사진이미지로 빠르게 변모하며 예술, 과학, 산업이 혼융되어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디지털 사진과 재현의 새로운 관계 모색을 위해 적용된 디지털 포토그램의 다양한 사례를 Scanography, 3D Scanning작품, 나노과학기술과 사진이 만나 결합한 Nanogrphy, 렌티큘러 필터를 이용한 즉석 입체영상 배경사진 촬영 등을 통해 살펴보고 다양한 문화현상을 형성하고 새로운 시각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문화변동까지 이끌어내는 디지털 사진의 확장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