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미디어에 의한 대재앙적 사건의 트라우마 규정과 그에 따른 문제들 - "반모방 이론"에 대한 비평적인 분석을 통해서

The Definition of a Catastrophe as Trauma by Visual Media and the Resultant Problems: A Critical Analysis of the "Antimimetic Theory"

  • 투고 : 2016.05.10
  • 심사 : 2016.06.08
  • 발행 : 2016.06.30

초록

이 논문은 시각 미디어에 의해서 어떤 특별한 사건이 '트라우마'로 정의되는 과정과 그에 따른 문제들을 궁구(窮究)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은 9/11이 "국가적 트라우마"로 시각화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 9/11 테러 사건은 그 사건의 가장 충격적인 이미지들 중 하나인 타워에서 떨어지는 사람들에 대한 이미지들을 배재한 채 "국가적 트라우마"로 구성되었다. 떨어지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둘러싸고 벌어진 미국 시각 미디어의 이 같은 재현 작업은 대재앙과 폭력적인 사건을 트라우마 규정하는데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는 현대 트라우마 이론 연구와 맞물려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주요 시각 미디어들이 9/11 테러 사건을 트라우마로 정의할 때 그 차제의 트라우마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현대 트라우마 이론 연구의 지배적인 경향인 "반모방 이론"에 의거하고 있다는 점을 포착하고 그 이론 모델이 갖는 한계와 문제점을 비평적으로 검토한다. 이 작업은 시각 미디어가 "반모방 이론"에 기대서 어떤 사건을 '트라우마'로 정의할 때 초래되는 문제점과 위험성을 드러내 보여준다. 미국의 시각 미디어가 9/11을 "국가적 트라우마"로 명명할 때 사용한 트라우마의 "반모방 이론"은 트라우마적 사건의 직접적이고 무매개적인 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건에 대한 외상 주체의 능동적인 대응 방편과 사건과 관련된 인간적인 양상에 대한 이해를 결여한다. 트라우마의 형성과 해석과 관련해서 외상 주체가 개입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부 권력의 조작적인 개입 가능성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트라우마의 "반모방 이론"이 갖는 이 같은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비평적인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시각 미디어를 통해 대재앙적인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이 특정 미디어나 외부 권력의 규정적인 관점에 대항해서 대재앙적 사건을 경험하고 대응하는 대안적인 시각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This essay begins by discussing the issue of the definition of a catastrophe as a trauma by visual media and the problems that result. We assume a concrete approach towards these problems by examin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9/11 was defined as a "national trauma" in the exclusion of images of bodies falling from towers, which were some of the most shocking images in the media coverage of 9/11. The choice to exclude images of falling men from American visual media representations of 9/11 goes hand in hand with the tendencies of a contemporary trauma theory. This essay assumes that the representations in the U.S visual media depend on "antimimetic theory," one of the leading contemporary trauma theories, in order to validate its logic, and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theory. This work aims to examine the issue of the definition of a catastrophe as trauma by visual media on the basis on the "antimimetic theory" and the danger that results. Because the antimimetic theory, which the visual media in the United States uses to define 9/11 as trauma, emphasizes literal and unmediated representation of an external event, it lacks an understanding of the human aspects of the event. There is no way to intervene in the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rauma. As a result, the theory discourages active attempt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peopl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vent. Thus, it provides an opening for manipulative intervention of an external power. This essay attempt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f the "antimimetic theory" in order to help people who witness catastrophic events through various types of visual media, and to seek an alternative means of experiencing and responding to the trauma, that does not stem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fic media outlets or external pow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