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디자인 분야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ata Visualization Analysis Tool for Service Design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분석 도구)

  • Nam, you-seon;Ha,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9-70
    • /
    • 2019
  • 서비스디자인 분야의 확장에 따라 서비스디자인 대상이 광범위해지면서 상황에 따른 적절한 방법론 선정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유형화하는 단계에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디자이너의 주관이 개입될 확률이 크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벤 다이어그램 활용을 제안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2{\times}2$ 매트릭스 방법론과 벤 다이어그램을 비교하여 $2{\times}2$ 매트릭스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완된 형태의 벤 다이어그램을 3가지로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HMD Design (HMD디자인을 위한 기술 발전방향 연구)

  • Xiang, Ke xin;Go, Jeong 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9-240
    • /
    • 2019
  •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VR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몰입감 증대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시각적 정보를 구현한다는 것이다. 현재 군사 교육 엔터테인먼트 의료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콘텐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게임 산업에서 주로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배경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VR기술의 발전사로부터 VR구현 장비인 HMD의 기술적 발전방향 연구를 통해서 미래형 HMD디자인의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탐구 이를 기반으로 향호 게임마니아의 니즈에 부합한 HMD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f Title Design using Motion Graphic;Focused on KBS and tvN News Program Title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타이틀디자인의 활용 사례 연구;KBS, tvN 뉴스프로그램 타이틀 중심으로)

  • Kim, Sung-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7
    • /
    • pp.146-152
    • /
    • 2008
  • In the modern times, video media area is dramatically developing and growing. The motion graphic that is one of video presentation technique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way between sender and receiver is beginning to make its appearance. The motion graphic provides the clearance of visual information to deliver it more easily and accurately and improves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o increase the effect of image and information delivery. In this research, the writer wants to examine the production method of motion graphic to improv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communication to the better direction for production proces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title design and its structure having short and significant information delivery and strong visual presentation function.

Stretch Aesthetic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스트레치의 미(美)연구)

  • Cho, K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6
    • /
    • pp.67-88
    • /
    • 1999
  • 텍스타일의 발전에 있어서 진보적 기술혁신은 합성섬유의 잠재력을 높이는데 큰 촉매 역할을 해왔는데 그 중 가장 두드러지게 성공적인 분야는 바로 스트레치 직물 분야이다. 스트레치는 그자체의 다양한 종류와 변화무쌍한 특성과 함께 스포츠 웨어, 캐주얼웨어 뿐 아니라 최근에는 정장류 남성복에 이르기 까지 그 사용범위와 미적 표현이 크게 증가되고 다양해졌다. 스트레치의 미는 기능적이고 편안하면서도 직물자체의 유동적인 특성과 함께 인체와 더불어 표출되는시각적 이미지가 현대미에 새로운 개념을 더하고있다는 데에 그 가치가 있다. 본 연구목적은 현대 패션디자인에 표현되어진 스트레치의 미적 개념과 가치가 무엇인가를 발견하는데 있다. 특히 섬유과학기술의 진보로 인한 스트레치 직물의 다양함과 그에대한 디자이너들의 패션철학과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를 강조하고 나아가 다음세기를 위한 보다 나은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1, 스트레치의 가장 두드러지는 현대적 미는 편안함과 기능성에 있다. 특히 스트레치 직물 자체가 더욱 가벼워지고 강해지면서 현대생활과 미래생활에서 가장 크게 중시되고 있는 comfortable & functional 의 이상적인 개념을 충적시켜 주고 있다. 2. 스트레치 직물의 유동적특징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 스타일은 바디스트인데 이것은 스트레치 자체의 신축성이 기본적으로 인체곡선 위에서 표현되어진 것으로서 거의 비슷한 스타일의 uniformity 현상을 낳게 되었고 또한 인체선의 드러남으로 인해 'healthy'이미지 추구라는 현대미의 새로운 개념을 가져왔다. 2. 더욱 정교해진 스트레치는 결국 transparent look을 낳았고 또한 비치는 직물들을 겹쳐입는 layering 현상을 가져왔는데 이것은 현대적 순수미와 여성미가 시감각적 이미지로 표현되어진 것이라 할수 있다. 4. 스트레치가 되므로서 생기는 긴장은 다른 디자인 요소들에 대해서는 극히 단순한 것을 요구하면서 결국 simplicity를 동반하게 되었다. 5. 스트레치는 디자인 구성 요소들의 보다 작은 개념을 낳았는데 즉 더욱 좁아진 형과 작아진 사이즈 없어지거나 줄어든 다트와 구성선 그리고 그에따라 줄어든 공정과 낮아진 가격이다. 이 개념은 현대미의 minimalism의 한 현상으로 해석되어지며 스트레치 직물은 여기에 가장 부합되는 소재가 되었다. 6. 스트레치의 시각적 이미지는 그자체가 'easy' 'free'느낌과 함께 보편적이면서 미래적이다. 이상으로 볼 때 미래의 패션은 보다 진보적인 섬유과학발전에 힘입어 21세기의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 할 수 있는 합리적이면서도 미적 가치가 내포된 인간에게 보다 친숙한 디자인으로 전개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Novel Kernel Design for Implementing Volume Rendering in the PyCUDA Framework (PyCUDA 프레임워크에서 볼륨 렌더링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커널 디자인)

  • Lee, SooHo;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49-3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계산양이 큰 볼륨 렌더링을 구현할 수 있는 파이썬 기반의 CUDA(Computed Unified Device Architecture) 커널(Kernel) 디자인에 대해서 소개한다. 최근에 파이썬은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서버, 보안, GUI, 데이터 시각화, 빅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만을 위한 언어라는 색을 탈피한지 오래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병렬처리 기법인 NVIDIA의 CUDA를 이용하여 파이썬 환경에서 커널을 디자인하고, 계산양이 큰 볼륨 렌더링이 빠르게 계산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C언어 기반의 CUDA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개발이 효율적인 파이썬 환경에서도 GPU(Graphic Processing Unit)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볼륨 렌더링을 통해 보여준다.

  • PDF

Schematic Design Using a Design Tool based on Three Dimensional Bubble Diagrammatic Technique (3차원 버블 다이어그램 기법을 지원하는 디자인 도구를 이용한 개략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Yun-Gil;Park, Jae-Wan;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57-62
    • /
    • 2006
  • 건축디자인 초기단계에서 다이어그램은 아이디어 및 디자인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Wang, 1999; Do, 1997).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시각적 디자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디자인 실무 및 교육에서 필수적인 디자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Schon and Wiggins, 1992; Gross, 1996; Kurmann, 1998). 최근에 IT 기술이 건축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건축가들의 전통적으로 고려되어 왔던 인간의 행동, 자연현상, 건축재료, 건축부재, 대지조건 외에 다양한 IT 기술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고려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IT 기술은 건축적인 요소들과 접목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건축가들은 디자인 초기단계부터 IT 기술의 접목이 가능한 디자인 도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즉, 이는 IT 정보와 공간정보와의 관계 및 적용을 건축가가 빠르게 이해하고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각적 다이어그램 표출이 가능한 디자인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IT 기술과 공간 정보의 다양한 형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3 차원 버블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계략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3 차원 버블 다이어그램을 지원하면서 건축 디자인 초기단계에 이용 가능한 디자인 도구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자인 도구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노드(node)와 연결선(edge)로 구성되고, 저장된 특정 건축정보는 다이어그램으로 생성된 디자인 대안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일종의 DSS(Decision Support System)인 본 시스템은 디자인 초기단계에서 3 차원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대안을 빠르게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효율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기술이 적용된 신도시에 생성될 통관관제센터 디자인에 실험적으로 적용되었다.

  • PDF

Design Application for Urban Air Mobility(UAM) by STEEP Analysis (STEEP 분석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디자인 활용방안)

  • Lee, Dong Hun;Park, Hae Rim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2 no.4
    • /
    • pp.94-105
    • /
    • 2022
  • Urban Air Transportation (UAM) is a three-dimensional transport within the city using eVTOL as an alternative to the saturation of land transportation due to overcrowding in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Design has played its roles in various fields in the development of transport, but research on the design application of UAM, which will be commercialized soon,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prior research on the forecasting the future environment and the design application through phenomenon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ga trends through STEP analysis for UAM and present ways to apply design in the UAM field based on this.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UAM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prior art documents on UAM. Second, five trends in the future environment centered on UAM were derived through STEP analysis. Finally, in order to derive a design application, five experts in each design area (product, visual, video, environment, service) discussed the design application focusing on the results of STEP analysis and derived a design application plan for each design area in the UAM fiel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design area in the STEEP analysis is product design and service design, and therefore related design development is important. After analyzing UAM's information provision plan, display method, and usage process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lead to various prior design studies related to UAM, such as customized service design, to establish an infrastructure environment for commercialization of UAM.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for Expressing Big Data Visualization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가이드라인 연구)

  • Kim, So-Yeon;An, Se-Yun;Ju, Hanna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2
    • /
    • pp.100-112
    • /
    • 2021
  • With the recent growth of the big data technology market, interest in visualization technology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past few years. Data visualization is currently used in a wide range of disciplines such as information science, computer science, human-computer interaction, statistics, data mining, cartography, and journalism, each with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Big data visualization in smart cities that require multidisciplinary research enables an objective and scientific approach to developing user-centered smart city services and related policies. In particular, spatial-based data visualization enables efficient collabo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visualization data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ity policy. In this paper, a user-centered spatial big data visualization expression request method was derived by examining the spatial-based big data visualization expression process and principle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not just a visualization tool.

A Study on the 'Pictomation' Contents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Method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증강현실환경에서 '픽토메이션' 콘텐츠의 효율적 시각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Myung, Ho-Sung;Choi, Nam-Seok;Shin, Ho-Hwan;Jung, Eun-Kyung;Lee, Byung-Gook;Kim, Hyung-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46-850
    • /
    • 2009
  • 본 논문은 픽토그램(Pictogram)의 시각전달 요소를 재해석하고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효율적 전달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픽토그램은 국경을 넘어 남녀노소 모두가 인지할 수 있어야 함이 규칙이며 불특정 다수라는 사용자들을 위해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시각전달 매체로서 공정성, 객관성을 가지고 디자인 되어야 한다. 사용자에게 정보전달 인식을 높이기 위해 표준 픽토그램 과 문화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행위들을 접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고, 이를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또는 AR) 기술에 적용하여 표현하였다. 증강현실은 사용자-콘텐츠 정보전달 매체로서 현실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3 차원공간의 시각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픽토메이션은 기존 공공장소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다양한 픽토그램을 패턴화하여 마커로 활용하고 사용자는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UMPC 혹은 PDA를 통하여 증강현실 환경에서 제작된 픽토메이션 콘텐츠를 경험해 볼 수 있다. 픽토메이션은 시각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고, 정보습득의 주체인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는 선택의 자유를 준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디자인 요소를 포함한 콘텐츠와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희적 요소의 접목을 시도하고 증강현실환경에서 Pictomation을 통하여 사용자들과의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Types of metonymy applied to emoticons and their salience attribut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high-context and low-context emoticons -) (이모티콘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 - 고 맥락과 저 맥락 이모티콘의 비교를 중심으로 -)

  • Kim, Chan Hee;You, Si Cheon
    • Smart Media Journal
    • /
    • v.10 no.4
    • /
    • pp.91-101
    • /
    • 2021
  •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context, such as emoticons on social media,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isual expression of metonymy as a mean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age of visu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etonymy is visualized within a cultural context. Specifically, , a typical underlying phenomenon of metonymy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principles of various reproduced through it are identified by pairing them with the cultural context. Based on context theory, which is a representative discours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emoticons from in high context and emoticons in in low context were selected and compared as case study subjec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a visual application model of metonymy was proposed regar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metonymy is reproduced as a visual result. Second, the types of metonymy and their salience attribute applied to the emoticon expression method was identified in detail. Third, based on the contextual theory, how the characteristics of high-context visual metonymy differ from that of low-context visual metonymy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local acceptability and local suitability of design result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quires the use of localiza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