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디자인 분야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standards majoring in visual design -Focused on S University in Jiangsu Province, China -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직업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중국 장쑤성 S 대학을 중심으로-)

  • Zeng, Ying;Kim, Young-Sa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321-331
    • /
    • 2022
  • In order for visual design graduates to meet corporate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lete ncs system in the field of visual design like develope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self-evaluation, corporate job needs, and school education methods, and to develop voc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China's visual design by referring to the national voc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Korean visual design.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 of the Department of Visual Design at a university in Jiangsu Province, China, survey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Visual Design, and develop national vocational standards in China by referring to job requirements of Chinese visual design companies. Analyzing thi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ed a development plan for the national voc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the field of visual design in China.

A Study on the Early Turnover Factor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s in College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 졸업생의 조기이직요인 연구)

  • Cho, kyu-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83-484
    • /
    • 2018
  • 본 연구는 취업문제가 국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핵심이슈로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지만 시각디자인분야의 취업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는 시각디자인 분야 산업규모에 비해 대학에서 관련학과가 지난 30여 년간에 걸쳐 급속히 증가하여 대학졸업자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요공급의 균형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또한 4차 산업으로 산업이 재편되어 디자이너와 같은 창의적 직업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여전히 시각디자인분야의 취업난의 나아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취업난 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신입디자이너의 대부분이 조기이직을 하는 현상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대학이 시각디자인전공 졸업자의 퇴직을 예방하는 것도 취업을 지원하는 활동처럼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시각디자인학과 신입디자이너의 조기퇴직 예방을 위한 산업체 및 교육현장에서의 대처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Curriculum Design for multimedia (멀티미디어 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45-47
    • /
    • 1995
  • 멀티미디어 디자인 분야는 21세기 국가경제력을 주도해 나갈 미래 산업분야로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회전반에 걸쳐 그 중요성을 인정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 멀티미디어 디자인이란 아직 학문적 정의조차 명확히 내려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연구내용과 방법 등이 체계화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디자인, 컴퓨터 과학, 인간공학을 기본 축으로 하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디자인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그 성과물을 예로써 전시해 보고자 한다.

  • PDF

A Design Marketing System using Social Big-Data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디자인 마케팅 시스템)

  • Jeon, Jin-Hwan;Song, Jeo;Yoon, Yeo-Been;Lee, S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13-214
    • /
    • 2016
  • 디자인경영과 서비스디자인 등은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으며, 기업의 경쟁력으로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산업디자인 분야는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포장디자인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분야의 공통점은 제품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연계되어 관리되어 지며, 최근에는 저작권, 사회적책임, 시장영향력에 대한 부가적인 업무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디자인과 관련한 이미지와 오피니언에 기반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자인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컨설팅, 디자인제작, 유통, 후속조치 등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Design Field i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KDC 제6판 디자인학 분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S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3
    • /
    • pp.53-72
    • /
    • 2013
  •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in the design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design research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compared KDC, DDC, LCC, and NDC. The problems identified from the current KDC include lack of subdivisions regarding basic design theories and major design application fields and the absence of notes for explaining the scope of each design field.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for design theories, graphic design, industrial design, and environmental design.

Good Design 2020 (2020 우수디자인(Good Design)상품 선정품 -포장 관련 선정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34
    • /
    • pp.48-66
    • /
    • 2021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우수디자인(GD)상품 선정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해 1985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으며, 공정한 심사를 거쳐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에 정부인증 마크인GD(Good Design)마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2020년에는1208점이출품, 총 405점이 GD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Grand prize, Gold prize, Silver prize, Bronze prize 등 총 79점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우수디자인(GD)상품 선정은 최근 2년 이내 국내 또는 국외에서 판매를 개시하였거나 당해년도 판매 예정인 상품을 대상으로 하며, 제품, 시각/정보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산업공예 디자인 등 7개 부문, 총 27개 분야로 구성됐다. 포장은 시각/정보 디자인 부문 내 패키지 디자인 분야 외에도 제품 디자인 등 다수의 분야에서 선정됐다. 다음에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된 포장 관련 상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Good Design 2019 (2019 우수디자인(Good Design)상품선정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22
    • /
    • pp.48-64
    • /
    • 2020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우수디자인(GD)상품 선정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해 1985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으며, 공정한 심사를 거쳐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에 정부인증 마크인 GD(Good Design)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2019년에는 1041점이 출품, 총 340점이 GD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Grand prize, Gold prize, Silver prize, Bronze prize 등 총80점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우수디자인(GD)상품 선정은 최근 2년 이내 국내 또는 국외에서 판매를 개시하였거나 당해연도 판매 예정인 상품을 대상으로 하며, 제품, 시각/정보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산업공예 디자인 등 7개 부문, 총 27개 분야로 구성됐다. 포장은 시각/정보 디자인 부문 내 패키지 디자인 분야외에도 제품 디자인 등 다수의 분야에서 선정됐다. 다음에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된 포장관련 상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Good Design 2021 (2021 우수디자인(Good Design)상품 선정품 -포장 관련 선정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46
    • /
    • pp.48-63
    • /
    • 2022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우수디자인(GD)상품 선정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해 1985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으며, 공정한 심사를 거쳐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과 서비스에 정부인증 마크인 GD(Good Design)마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2021년에는 1,480점이 출품, 총 514점이 GD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Grand prize, Gold prize, Silver prize, Bronze prize 등 총 80점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우수디자인(GD)상품 선정은 최근 2년 이내 국내 또는 국외에서 판매를 개시하였거나 당해년도 판매 예정인 상품을 대상으로 하며, 제품, 시각/정보 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 디자인, 공간/환경 디자인,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서비스/경험디자인, 산업공예 디자인 등 7개 부문, 총 27개 분야로 구성됐다. 포장은 시각/정보 디자인 부문 내 패키지 디자인 분야 외에도 제품 디자인 등 다수의 분야에서 선정됐다. 다음에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된 포장 관련 상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 Song, Ji-Young;Kim, Sun-W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83-1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research the Capstone Design Learning Model which helps the students to acquire practical industrial skills and knowledge in real business fields, and secondly to analyze the qualitativ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in respect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hich NCS(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suggest in industrial design field. In order to study, the second-year students taking the class 'Communication and Design Project(CDP)' of Industrial Design Major of DIT, took part in the Capstone Design Project and proceeded a project 'Character design of the entertainer Robert Holley' in cooperation with a relevant company and the professor in charge of this project. Through this research, it appeared that Capstone design related to visual design tasks improved the technical skills and competenc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In other words, through analyzing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NCS, evaluation from relevant company, and awarding a prize of the design contest, we conclude that this instruction design and action plans have significant meanings to promote the students on-the-job competence.

Creative Design Thinking with Analogy of Verbal/Visual Information (언어/시각정보의 유추에 의한 창조적 디자인 사고)

  • 우흥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15
    • /
    • 1999
  •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목적지향의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구체적인 대상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형적인 컨셉트를 가시적인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디자인분야에서 시각심상의 표현을 통한 조형성과 창의성은 디자이너의 중요한 소양중의 하나가 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