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구조

Search Result 1,57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New Representation and Algorithm for Visualizing RNA Pseudoknot Structures (RNA Pseudoknot구조의 시각화를 위한 새로운 표현 기법과 시각화 알고리즘)

  • 김우택;이유진;한경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685-687
    • /
    • 2002
  • RNA pseudoknot은 RNA 삼차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요소일 뿐만 아니라, RNA 분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RNA pseudoknot 구조를 시각화하는 도구는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pseudoknot 구조의 시각화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RNA pseudoknot을 시각화를 위한 새로운 pseudoknot 표현 기법과 시각화 알고리즘에 대해서 소개한다. 새로운 표현기법은 모든 H-type pseudoknot을 uniform planar graph로 나타내고 RNA sequence의 진행방향을 따라가기가 쉽게 되어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PseudoViewer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PseudoViewer는 어떠한 시스템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Java로 구현되었다. 그 결과는 pseudoknot을 명확히 구분되고 보기 쉽도록 시각화됨을 보여준다.

  • PDF

A Three Schematic Analysi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정보시각화에 대한 스킴모형별 비교 분석)

  • Seo, Eu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6 no.4
    • /
    • pp.175-205
    • /
    • 2002
  •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information retrieval is a creating tool that enables us to observe, manipulate, search, navigate, explore, filter, discover, understand, interact with large volumes of data for more rapidly and far more effectively to discover hidden pattern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i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n the three-schematic levels. In result, it was found that first, scientific data, documents, and retrieval result information are visualiz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Seco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which facilitate navigation and interaction are zoom and pan, focus+context techniques, incremental exploration, and clustering. Third, the visual metaphors used by the visualization systems are presented in the linear structure, hierarchy structure, network structure, and vector scatter structure.

Visualization and EDiting of RNA Secondary Structure (RNA 이차 구조의 시각화와 편집)

  • Han, Gyeong-Suk;Kim, Do-Hyeong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5
    • /
    • pp.539-548
    • /
    • 1999
  • RNA 분자의 이차 구조를 예측하고 예측된 구조를 분석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화하는 작업은 RNA의 구조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논문은 이차 구조를 시각화하고 편집하는 실용적이면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이 시각화 알고리즘은 벡터와 백터공간을 이용하여 RNA 분자의 구조 요소가 배치될 방향과 영역을 나타낸다. 구조 요소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방향ㄹ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찾기위하여 구조 요소를 배치하는 순서에 관한 휴리스틱과 구조 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휴리스틱을 사용한다. 이 시각화 알고리즘은 IBM PC/Windows 95 환경에서VizQFolder 라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었다. 실험 결과는 VizQFolder 가 이미 배치한 구조 요소들을 재배치하거나 변형하지 않으면서 helix의 회전만으로 겹침 현상이 거의 없는 이차구조를 효율적으로 생성한다는 것을 보인다.

Development of Mobile Phone Menu Structure based on Visual Concept Map (Visual Concept Map 에 기초한 핸드폰 메뉴 구조 개발)

  • Lee, Suk-Won;Myung, Ro-Hae;Kim, In-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99-404
    • /
    • 2008
  •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지식 구조를 이해하게 되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달된 자극들이 만들어낸 개념들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정신 모형(mental model)을 형성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인간의 지식 구조는 MDS (Multidimensional Scaling)과 Trajectory Mapping을 이용하여 Visual Concept Map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인간의 지식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MDS 는 인간의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는 개념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고, Trajectory Mapping 은 개념들 간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즉, Trajectory Mapping 을 통하여 개념들 간악 인지적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DS 와 Trajectory Mapping 을 이용하여 핸드폰 메뉴로부터 전달 받은 시각적 자극들에 악해 형성된 개념들에 대한 인간의 지식 구조를 Visual Concept Map 으로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시각화된 지식 구조를 바탕으로 메뉴 구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MDS 와 Trajectory Mapping 을 이용한 인간의 지식 구조의 시각화는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Virtual Visual Sensors and Their Application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가상 시각 센서의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응용)

  • Kim, Hee Seung;Choi, Kyoung Kyu;Kim, Tae Jin
    • Magazine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8 no.4
    • /
    • pp.83-88
    • /
    • 2014
  • 구조물에 최적화된 센서 배열(Sensor Array)을 수행하는 것은 센서 네트워크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센서의 설치와 관리는 구조물이 처해 있는 환경이나, 경제성 그리고 센서의 주파수대역의 제한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문제와 환경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센서 대용으로 가상 시각 센서(VVS: Virtual Visual Sensor)를 제안하였다. 가상 시각 센서는 설치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편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 시각 센서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최첨단 컴퓨터 시각 알고리즘과 마커 추출 기법의 적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 시각 센서를 이용하여 모드 형태와 주파수를 추출하는데 용이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를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에 적용할 경우 효율적이라는 점을 입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Type, Function, and Structure of Inscrip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 on Earth Science Cont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및 구조 분석: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7
    • /
    • pp.897-908
    • /
    • 2009
  • Inscriptions are integral parts of the current science textbooks, and become medium that makes sense of scientific concepts effectively. This study analyzed the inscriptions from five science textbooks at the secondary level in terms of its type, function, and structures. Analyzing types of inscriptions resulted that the ratio of frequently used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graphs and tables used. In case of function analysis, illustrative and complementary functions were dominant in terms of frequency and ratio, whereas explanatory, decorative and inquisitive functions were relatively rare. Inscriptions of single structure was much more than multiple structure. Multiple structure of pair and series were mainly used for representing contrast and sequence,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inscriptions in type, function and structure across the textbook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emiotic study about the function and the structure of inscriptions need to be carried out in earth science area to better understan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inscriptions in school science.

Visualization of RNA secondary structure using vector-based heuristics (벡터에 기반한 휴리스틱을 이용한 RNA 이차 구조의 시각화)

  • 김도형;한경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33-635
    • /
    • 1998
  • RNA 분자의 이차 구조를 예측하고 예측된 구조를 분석,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화하는 작업은 RNA의 구조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논문은 이차 구조를 시각화하는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이 알고리즘은 vector와 vector space를 이용하여 RNA 분자의 구조 요소가 배치될 방향과 공간을 나타낸다. 구조 요소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방향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찾기 위하여, 구조 요소를 배치하는 순서에 관한 휴리스틱과 구조 요소를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휴리스틱을 사용한다. 기존의 시각화 알고리즘이 구조요소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면서 겹침 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제거 하기 위하여 이미 배치한 구조 요소들을 재배치 하거나 변형하는 것에 반하여, 이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판단이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겹침 현상이 거의 없는 이차 구조를 효율적으로 생성한다는 점에서 기존 방법을 많이 개선하였다.

  • PDF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Massive Source Code (대용량 소스코드 시각화기법 연구)

  • Seo, Dong-S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8 no.4
    • /
    • pp.63-70
    • /
    • 2015
  • Program source code is a set of complex syntactic information which are expressed in text forms, and contains complex logical structures. Structural and logical complexity inside source code become barriers in applying visualization techniques shown in traditional big-data approaches when the volume of source code become over ten-thousand lines of code. This paper suggests a procedure for making visualization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source cod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efines internal data structures as well as inter-procedural relationships among functions. The paper also suggests a means of outlin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urce code by visualizing the source codes with network forms The result of the research work can be used as a means of controling and understanding the massive volume of source code.

Strategy for Visual Clustering (시각적 군집분석에 대한 전략)

  • 허문열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1
    • /
    • pp.177-190
    • /
    • 2001
  •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군집분석의 방법들은 개체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이들을 분류해 내는 것이며, 따라서 거리 측정 방법에 따라 여러 형태의 군집분석 방법이 나타나게 된다. 어떤 방법을 적용하던 간에 그 결과는 고정된 수치로써 나타난다. 다차원 자료의 구조파악이 몇 개의 수치로 나타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각적 매체를 동원하여 다차원 자료의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이를 시각적 군집분석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군집분석에 대한 기본적 개념과 이를 위한 통계 도형의 활용, 구현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Improved Visual Cryptography Using Cover Images (커버영상을 이용한 개선된 시각암호)

  • Jang, Si-Hwan;Choi, Yong Soo;Kim, Hyoung Jo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4
    • /
    • pp.531-538
    • /
    • 2012
  • Visual cryptography is a scheme that recovers secret image through human vision by overlapping distributed share images without cryptographic operations. Distribution methods are still being developed for improving quality of shared images keeping size of images invariant and enhancing robustness against resize of images. Since visual cryptography only uses shared images, this fact is exploited to attack. From this fact, a scheme safe for sharing distributed images is needed. In this paper, a new visual cryptographic scheme using cover image is proposed. This scheme reduces the chance of detection against steganalysis and increases security.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completely decrypt secret image without creating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