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가현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conomic Growth by Arts Activities Case Study on Nagahama Story in Shiga Pregecture, Japan (문화할동을 통한 지역활성화: 일본 시가현(滋賀縣) 나가하마(長浜市) 이야기)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3
    • /
    • pp.431-440
    • /
    • 2006
  •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cultural activities are introduced as a popular means of promoting local economies and identities. In many places of Japan, a traditional cultural activity, "Machtskuri" (meaning "Vilige Making," literally) has been practiced in the past several decades. A small town, Nagahama of Shiga Prefecture, with 50,000 people, started restoring an old castle and historical build, art exibition, traditional fashion festivals, etc. Based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from the cultural activities, community leaders of Nagahama made success in creating other projects, such as construction of a baseball stadium, a hotel and a community college. It can be concluded that Nagahama has been successful in creating making the place famious and the people confident.

  • PDF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Kumamoto region, Kyushu, Japan (일본 큐슈 구마모토 지역의 지하수 관리)

  • 정상옥
    • Water for future
    • /
    • v.37 no.2
    • /
    • pp.74-81
    • /
    • 2004
  • 구마모토현은 일본 큐슈지방의 좌측 중앙부에 위치하며, 우측은 남북으로 이어지는 큐슈산맥을 경계로 하고 좌측은 유명해에 접하고 있으며, 면적은 $7,404\textrm{km}^2$ 이고 2000년말 현재 인구는 1,865천명이다. 구마모토지역은 구마모토현에서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1,042.2\textrm{km}^2$ 의 면적에 설정한 구역으로 구마모토현의 중서부 지역에 있으며 16개 시정촌(2개 시, 12개 정, 2개 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마모토시가 가장 넓은 $226.2\textrm{km}^2$을 차지하고 있다(그림 1).(중략)

  • PDF

Development of a new engobe for raku ceramics (적색 RAKU 도자기의 화장토 개발에 관한 연구)

  • Kwon, Young Joo;Hwang, Dong Ha;Lee, Byung Ha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4 no.1
    • /
    • pp.21-26
    • /
    • 2014
  • Red clay has been used for making rakuyaki for the past 400 years. Because the resources for red clay in Japan are being depleted, many potters in Japan began to develop new materials which can replace red clay.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at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red clay from Shigaraki (Shiga, Japan), and developed a novel engobe which can be used for making Rakuyaki instead of Shigaraki red clay. Results from Raman spect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ferric oxide content in Shigaraki red clay is 9.4 % (Goethite 5 %, Wustite 4.4 %), and that the mechanism of red color development by the firing at $900^{\circ}C$ for 10 min is the chemical transformation of Goethite into Hematite, and the subsequent formation of solid solution with Alumina and Silica. To make similar ferric oxide content to that of Shigaraki red clay, we added 5 g of Goethite and 9 g of Wustite to 100 g of White kaolin from Hadong area (Gyeongsangnam-do, Korea). The $L^*a^*b^*$ color scale of the mixture was 56.83, 27.22, and 23.28, respectively, and stable red color was successfully developed under the same firing condition used for Shigaraki red clay.

패널 스터디(panel study)를 이용한 시 공무원 정수산정에 관한 연구

  • 김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93-10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횡단면 즉 지방자치단체별로 "고정된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시의 공무원 정원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시의 공무원 정원은 시 공무원 1인당 업무량에 기준한 적정정원에 대한 산출은 아니나 도시형태별로 - 일반시와 도농복합행태의 시 - 동종 시가 평균적으로 고용하고 있는 현정원에 가까운 평균 인력규모를 타단체와의 비교를 통하여 평균적인 추세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 있는 일이다. 그러나 공무원 정원산정의 거시적 모델을 학문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가능할 지 모르지만 계량적 방법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것은 정치적.사회적으로 타당성에 한계가 있다.성에 한계가 있다.

  • PDF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for Chounju Soccer Field (전주월드컵경기장 P.C 공사 시공사례)

  • 서수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4
    • /
    • pp.86-88
    • /
    • 2002
  • 지붕과 4개 부분으로 나누어진 스탠드는 전주의 전통 토산품인 합죽선의 이미지를 형성화하여 모든 이들에게 열려 있는 공간이라는 개념과 세계로 비상하는 전주시의 의지를 나타낸다. 부채 모양으로 펄쳐진 지붕을 케이블로 지지하는 4개의 대형 기둥은 그 옛날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년을 기원하여 마을 어귀에 세웠던 솟대를 이미지화 한 것이며, 인장 케이블은 우리 전통 악기인 가야금의 12현을 상징화하여 전주시가 소리의 고장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중략)

Groundwater Re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13-1917
    • /
    • 2009
  • 국제사회의 분위기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에너지 자원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수자원의 지속적인 확보와 개발은 가장 현실적이고 우선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자원확보/환경/개발 및 이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그간의 정량적 성과가 하나 둘씩 도출되어 적용 단계에 이르기도 하였다. 하지만 지하수의 경우 기초자료의 미흡과 불확실성,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에 대한 산정기법의 적용성 문제, 체계화된 개발 및 이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는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지하수이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잠재적 지하수오염 가능성이 높아져 지하수환경의 악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하천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개발가능량의 평가 및 체계적인 이용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나 지하수함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상태가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지하수함양량에도 매년 변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발가능량도 변하고 있어 지하수 개발과 관리 및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 현상으로 변화하는 토지피복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1961년부터 2007년까지의 지하수함양량 및 함양률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토지피복상태는 1975년 이전까지는 시가화지역이 18.6%, 농업지역이 30.0%, 산림이 48.8%, 초지가 0.1%, 나지가 2.0%, 수역이 0.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0년${\sim}$1985년에 농업지역이 18.3%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15.0% 증가하는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1995년${\sim}$2000년에도 농업지역이 5.5%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5.4%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전 연도에 걸쳐 산림지역과 초지, 나지, 수역에서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연구대상지역의 평균 강우량은 1509.3mm이고 지하수평균함양량은 216.0mm이며 지하수평균함양률은 14.3%로 나타났다. 연최대함양량은 강우량이 2138.1mm인 1970년에 408.9mm이며 연최대함양률은 강우량이 1492.6mm인 1984년에 19.8%이다. 연최소함양량은 강우량이 901.5mm인 1988년에 71.9mm이며 연최소함양률은 같은해에 8.0%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의 증가에 따라 강우량은 증가하였으나 지하수함양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제1회 대한민국 지역혁신박람회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63
    • /
    • pp.20-21
    • /
    • 2004
  • 제1회 대한민국 지역혁신박람회가 11월 11일부터 1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렸다. 개막식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시도지사, 시도의회 의장, 기초자치단체장, 지역혁신위원 등 1500여 명이 참석했으며, 4일간의 박람회 기간 동안 지역혁신 전문가 4000여 명과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행사장 을 찾았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산업자원부, 행정자치부, 부산시가 공동주최한 이번 박람회에서는 대규모 전시행사 뿐 아니라 159개의 성공사례 발표, 국내외 컨퍼런스, 52개 기초지자체가 참여하는 특산물 한마당, 전국 각지의 25개 문화행사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개막식에 참석한 노무현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지난 8월 확정한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에 따라 혁신기반 구축사업 등에 앞으로 5년간 총 45조원의 예산을 투입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대통령은 개막식 행사 뒤 허남식 부산시장, 협회 김태희 부회장 등 행사관계자와 함께 전시장 개막 터치버튼을 누르고 부산시 홍보관을 시작으로 전시장을 둘러보았다.

  • PDF

국채선물을 이용한 채권포트폴리오의 VECM과 VAR모형에 의한 헤지

  • Han, Seong-Yun;Im, Byeong-Jin;Won, Jong-Hye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8 no.1
    • /
    • pp.231-252
    • /
    • 2002
  • 2000년 7월부터 채권시가평가의 실행으로 채권운용자들도 채권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채권선물을 이용하여 통제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헤지를 하여야 한다. 이때 헤지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전통적 회귀분석모형, 백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 VECM)과 VAR모형(Vector AutoRegressive Model)이 있다. 전통적인 회귀분석모형에 의하여 추정된 헤지비율은 시계열자료의 불안정성(nonstationary) 등으로 인하여 잘못 추정될 가능성이 있어 면밀한 검토와 분석 후 사용하여야 한다. 시계열자료의 불안정성으로 말미암아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 VECM과 VAR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VECM과 VAR모형을 사용하여 추정된 헤지비율과 전통적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헤지비율을 비교하여 어떤 모형으로 추정한 헤지비율이 더 정확한지를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본 연구는 KTB 현 선물의 헤징에 대한 연구로 2000년 1월 4일부터 2001년 7월 27일까지 385일간의 KTB 현 선물 자료와 불룸버그 국채지수를 대상으로 VECM 및 VAR모형과 전통적 회귀분석모형에 의한 헤지비율을 추정하고 각 모형의 설명력과 예측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KTB 현물가격과 KTB 선물가격간, 블룸버그 국채지수와 KTB 선물가격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며, VECM 및 VAR와 전통적 회귀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최적헤지비율의 크기는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전통적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VECM과 VAR모형을 이용할 때 보다 설명력과 예측력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rowth Response and Absorption Capacity of Poplars on Livestock Waste Water (축산폐수(畜産廢水) 처리(處理)에 따른 포플러류(類)의 생육반응(生育反應) 및 축산폐수(畜産廢水) 흡수능력(吸收能力))

  • Yeo, Jin Kie;Koo, Yeong Bon;Son, Doo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6
    • /
    • pp.734-741
    • /
    • 2001
  • The two-month-old rooted-cuttings of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P. euramericana and P. nigra ${\times}$ maximowiczii clones were exposed to livestock waste water - one of major water pollutants, and ground water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vestock waste water on growth response and absorption capacity of the species. For this purpose, 5 clones of each species were used. In all the species, the height growth of rooted-cuttings was better in livestock waste water treatment than in ground water. Of all the poplar species compared, the height growth was best in P. alba ${\times}$ glandulosa. In the cases of P. euramericana and P. nigra ${\times}$ maximowiczii, the height growth in the livestock waste water treat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clone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 alba ${\times}$ glandulosa clones. Aboveground biomass such as leaf and shoot dry weight of all the species increased in the livestock waste water treatment, while root dry weight decreased. In addition, chlorophyll contents in leaf of all the poplar species increased in the livestock waste water treatment. All the poplar trees showed temporal variation in the absorption amount of livestock waste wate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all the poplar species, the absorption amount of livestock waste water was less than that of ground water. Of 3 poplar species, P. alba ${\times}$ glandulosa was best in the absorption capacity of livestock waste water. Of all 15 poplar clones compared in this study, the 72-16 clone of P. alba ${\times}$ glandulosa showed the best absorption capa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