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승무원 관리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object-based flight operation scheduling techniques (객체기반 항공운항 스케줄링기법)

  • Kim, Jin-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597-600
    • /
    • 2006
  • 항공운항 스케줄링 문제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많고 탐색공간이 방대하기 때문에 백트래킹 방법이나 단순 스케줄링을 통한 방법으로는 항공운항 스케줄링에서 매우 중요한 승무원(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들의 운항스케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어렵다. 객체기반 항공운항 스케줄링 기법은 제약만족문제(CSP;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와 객체지향개념을 운항관리 스케줄링 문제에 적용하여 승무원들에 대한 인력관리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객체 지향 개념을 기반으로 승무원 객체들이 갖고 있는 사건들을 주어진 제약들에 만족하도록 목표인 운항스케줄 보드에 배정한다. 승무원들의 운항 스케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승무원의 스케줄 우선순위에 따라서 자원(타임 슬롯)을 배정하고, 자원에 대한 승무원들의 선호도 차이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보드에 대한 정의와 모든 사건들에 대한 정보를 전역제약으로 사용하고, 승무원들이 가지는 보드의 타임 슬롯들에 대한 선호도를 지역 제약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실제로 항공운항 스케줄링을 모의실험해서 승무원들의 운항 스케줄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Effects of Foreign Cabin Attendants' Assignment on Teamwork, Team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Korean Cabin Attendants (외국인 승무원의 팀 배속이 한국인 승무원과의 팀웍, 팀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K항공사를 중심으로)

  • Kim, Su-Jin;Jin, Chang-O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68-72
    • /
    • 2016
  • 본 연구는 외국인 승무원의 팀 배속이 한국승무원과의 팀웍, 팀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효율적인 외국인 승무원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한국인 및 외국인 객실승무원의 단합된 팀웍으로 최상의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외국인 승무원의 팀 배속이 한국승무원과의 팀웍, 팀만족도,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설문은 K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496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외국인 승무원의 팀 배속이 한국승무원과의 팀웍, 팀만족,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Legal Proposal of Crew's Fatigue Management in the Aviation Regulations (항공법규에서의 승무원 피로관리기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ICAO, FAA, EASA 기준을 중심으로 -)

  • Lee, Koo-Hee;Hwang, Ho-Wo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27 no.1
    • /
    • pp.29-73
    • /
    • 2012
  • Aviation safety is the State and industry's top priority and more scientific approaches for fatigue management should be needed. There are lately various studies and regulation changes for crew fatigue management with ICAO, FAA and EASA. ICAO issued the provisions of fatigue management for flight crew since 1st edition, 1969, of Annex 6 operation of aircraft as a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ARPs).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few changes and improvement to fatigue management provisions since the time they were first introduced. However the SARPs have been big changed lately. ICAO published guidance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prescriptive fatigue regulations through amendment 33A of Annex 6 Part 1 as applicable November 19th 2009. And then ICAO introduced additional amendment for using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FRMS) with $35^{th}$ amendment in 2011. According to the Annex 6, the State of the operator shall establish a) regulations for flight time, flight duty period, duty period and rest period limitations and b) FRMS regulations. The Operator shall implement one of following 3 provisions a) flight time, flight duty period, duty period and rest period limitations within the prescriptive fatigue management regulations established by the State of the Operator; or b) a FRMS; or c) a combination of a) and b). U.S. FAA recently published several kinds of Advisory Circular about flightcrew fatigue. U.S. passed "Airline Safety and FAA Extension Act of 2010" into law on August 1st, 2010. This mandates all commercial air carriers to develop a FAA-acceptable Fatigue Risk Management Plan(FRMP) by October 31st, 2010. Also, on May 16, 2012, the FAA published a final rule(correction) entitled 'Flightcrew Member Duty and Rest Requirements; correction to amend its existing prescriptive regulations. The new requirements are required to implement same regulations for domestic, flag and supplemental operations from January 4, 2014. EASA introduced a Notice of Proposed Amendment (NPA) 2010-14 entitled "Draft opinion of the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for a Commission Regulation establishing the implementing rules on Flight and Duty Time Limitations and Rest Requirement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with aeroplanes" on December 10, 2010. The purpose of this NPA is to develop and implement fatigue management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ions. Comparing with Korean and foreign regulations regarding fatigue management, the provisions of ICAO, FAA, EASA are more considering various fatigue factors and conditions. Korea regulations should be needed for some development of insufficiency points. In this thesis, I present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in respect of fatigue management crew member. Also, I suggest legal proposals for amendment of Korea Aviation act and Enforcement Regulations concerning fatigue management for crew members. I hope that this paper is helpful to change korea fatigue regulations, to enhance aviation safety, and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relating to fatigue. Fatigue should be managed at all level such as regulators, experts, operators and pilots. Authority should change surveillance mind-set from regulatory auditor to expert adviser. Operators should identify various fatigue factors and consider to crew scheduling them. Crews should strongly manage both individual and duty-oriented fatigue issues.

  • PDF

A Survey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Behaviors about Health Management for Seafares (상선 승무원들의 건강관리에 관한 지식, 태도, 실천행위에 관한조사)

  • Kim,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47-4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behaviors related Health Management of Seafa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6 Seafares' who took education in Korea Institud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this questionnaire was focused on finding the basic data for health management of Seafa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gher age, married life, religious belief, duty position, and embarkation carrer are, the higher knowledge-degree. And the higher age, married life, religious belief, embarkation carre and duty time are, the higher attitude-degree and practice -degree(p < 0.05).

  • PDF

Implementation of an Aircraft Cabin Management System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활용한 비행기 객실 관리 시스템 구현)

  • Park, Myeong-Chul;Kim, Min-Jeaong;Lee, Si-Hyeong;Moon, Hwa-Rang;Choi,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99-300
    • /
    • 2022
  • 현대에 이르러 항공산업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다. 그만큼 조종사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많은 시스템이 생겨났다. 그러나 조종사를 위한 시스템만큼 객실 승무원을 위한 시스템은 큰 발전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승객을 위한 서비스를 하는 객실 승무원을 비행 중 일어나는 위험에 노출되게 한다. 본 논문은 객실 승무원이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객실 상황을 확인하고, 반자동 서빙 카트를 조작하여 승객의 주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행기 객실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객실 승무원은 객실 상황을 판단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고, 승객과의 불필요한 말이 오가는 것을 방지하여 전염병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The object-based reservation scheduling techniques (객체기반 예약 스케줄링기법)

  • Kim, Jin-Bo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8 no.2
    • /
    • pp.89-96
    • /
    • 2007
  • The object-based reservation scheduling techniques are to solve complex scheduling problems using 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s and object-oriented concepts. We have tried to apply the object-based reservation scheduling techniques to the flight operation scheduling problems. For crew's satisfaction, we have considered the total crew's preferences board in the flight operation scheduling. To consider the over all satisfaction, the events of every object are alloted to the board along its priority. Constraints to reservation scheduling are classified to global and local. The definition of board and information of every event are global constraints and the preferences to object's board slots are local constraints. Actually, we have made an experiment on flight operation scheduling in order to raise crew's satisfaction.

  • PDF

HNS 선박 승무원 Risk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Gyeong-Ui;Yun, Jong-Hwi;Jeong, Min-Gi;Lee, Mun-Jin;Gang, Won-Su;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
    • /
    • 2018
  • 위험 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과 유출에 및 그 대응 기술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HNS 선박 승무원 안전 관리 연구는 미흡한 면이 있다. 승무원은 HNS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의 초등 대응 책임자로서 재해 감소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무원 재해를 분류 및 구조화하고 Risk 평가하였다. 현 HNS 선박의 방제자원을 분석하여 승무원 Risk를 기반으로 사고 초기 대비 대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NS 선박의 방제자원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Sailor Management System based on Ubiquitous Healthcare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반 실시간 선박승무원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on, Nam-Rye;Jung, Min-A;Lee, Sung-R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3A
    • /
    • pp.279-286
    • /
    • 2010
  • Although seaman has made a contribution marine transportation and the marine products industry, the current status of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 by monitoring health danger factors is very unsatisfied. Therefore, a monitoring system regarding health condition and disease occurrence of seaman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sailor management system based on uniqutious healthcare, which collects various organic signals and analyzes their relation in order to confirm blood pressure, temperature and pulsation of seaman. The proposed system enables a medical doctor to manage the diseases anywhere at any time even via a PC and PDA.

The analysis of the line crew performance through the Line Operation Safety Audit (LOSA) (LOSA실행을 통한 운항 승무원 수행 분석)

  • Choi, Jin-Kook;Kim, Chi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16 no.2
    • /
    • pp.43-50
    • /
    • 2008
  •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Doc 9803의 국제규정에 의거하여 SMS(Safety Management System-안전관리시스템)의 대표적인 비행안전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인정된 신개념의 운항감사제도인 LOSA(Line Operations Safety Audit-항공운항 안전감사)를 항공사에서 실시하여 정상 운항시의 운항승무원을 관찰하여 실제의 안전취약 및 위협요소, Error를 포착하여 텍사스대학 인적요인 연구소에서 작성한 최종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제도와 방안을 개선한다. 본 논문에서는 LOSA실행을 통한 승무원들의 위협 및 error의 유형과 발생율, 관리율 및 관리여부를 분석하여 설명하고 항공사내 개선인 SCP(Safety Change Process)를 소개하는데 있다.

  • PDF

Research on the ways to resolve Conflicts among Crew members for Flight safety management (항공안전관리를 위한 운항승무원 갈등해소 방안 연구)

  • Kim, Gwan-Ho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138-143
    • /
    • 2015
  • 운항승무원 갈등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기장과 부기장 간 갈등이 주요원인이 되어 항공기가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갈등관련 기장 및 부기장 인터뷰 결과, 기장 승급 기준 불투명, 무리한 비행스케줄에 따른 불만, 대립적인 노사문제, 기장의 권위주의, 군 경력자와 민간비행훈련원 출신 간에 갈등, 격무와 스트레스 등이 주요 갈등원인 이었다. 항공안전관리를 위해서는 갈등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부정적인 갈등이 표출되기 전에 해소시켜야 한다. 또한 건전한 조직문화를 위해서 상호신뢰와 CRM을 바탕으로 한 안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갈등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해소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갈등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와 운항승무원 갈등원인을 시스템적, 조직 문화적, CRM 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각 분야별로 갈등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