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승마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etting the Harvest Period by the Types of Planting of Wild Vegetables (산채류 재배유형별 수확기간 설정)

  • Yeom, Gue-Saeng;Moon, Jung-Seob;Yang, Jin-Ho;Kim, Dong-Won;A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2-52
    • /
    • 2019
  • 산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과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산야에는 480종의 식물이 식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하나 현재 전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작목은 36종으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80여 종이 개배 가능한 작물로 추정된다. 산채류의 이용형태별 생산가능시기는 3~5월의 생채 생산과 6~7월의 건채 생산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신선 생채의 소비한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유형별 생채 수량검정을 통해 수확시기 연장 및 재배품목을 다양화 시킬 필요 있다. 이에 본 시험은 산채류 재배유형별 수확기간을 구명하고자 표고 500 m의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5월 말 갯기름나물 등 15 종을 노지와 하우스에 정식하여 각 작물의 생육특성, 수확한계기 등을 조사하였다. 1년차 지상부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참취, 개미취, 섬쑥부쟁이, 질경이, 갯기름나물, 두메부추, 돌단풍, 참당귀의 경우 초장, 엽장 등은 노지보다 하우스에서 높은 편이었고 생존율은 비슷하거나 하우스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우산나물, 단풍취의 생존율은 하우스에서 더 높았으나 생육 초기 엽소현상으로 인해 1년차 생육은 노지, 하우스에서 둘 다 저조하였고 곤달비, 어수리, 곰취, 눈개승마의 경우 노지에서는 7월 중순이후 지상부가 전부 고사하였으나 하우스에서는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11월 상순까지 후기 생육을 하였다. 2년차 산채류 출현기 조사한 결과 하우스 재배에서 산마늘이 2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고 갯기름나물, 곤달비 등 10종이 2월 하순에 출현하였으며 참당귀 3월 상순, 단풍취 및 우산나물 3월 중순, 돌단풍이 가장 늦은 3월 하순에 출연하였다. 생체수확 시기는 갯기름나물, 눈개승마, 산마늘, 두메부추, 섬쑥부쟁이는 3월 중순부터 가능했고 곤달비 등 12개종은 3월 하순, 우산나물은 4월 상순, 돌단풍은 4월 중순으로 가장 늦게 생체수확이 가능했다. 노지 재배의 경우 산마늘과 눈개승마가 3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고 갯기름나물 등 10종이 3월 하순에 출현하였으며 돌단풍, 참당귀, 단풍취가 4월 상순으로 가장 늦은 출연을 보였다. 생체수확 시기는 눈개승마와 산마늘이 4월 상순으로 가장 빨랐으며 갯기름나물 등 10종이 4월 중순부터 가능했고 돌단풍, 참당귀, 단풍취가 4월 하순으로 가장 늦었다. 수확한계기 조사 결과 눈개승마, 산마늘, 우산나물은 하우스 및 노지재배에서 20일정도로 가장 짧았으며 그 외 작물들은 계속적으로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6월 상순 이후에는 품질이 나빠져 생체상품으로서 가치가 없었다.

  • PDF

협회소식 및 회장동정

  • Korea Advanced Farmers Association, Inc
    • 농업기술회보
    • /
    • v.42 no.5 s.499
    • /
    • pp.46-51
    • /
    • 2005
  • 본 협회,농진관 재소송 결과 지방법원(1심) 승소/도시민웰빙농사 교육 6월11일 성료/제주도연합회 총회 개최/백영철 회우,산악승마장 개장식/진창근 이사 장남 결혼/중국 산동성, 과수·채소·식품박람회 및 연태농업시찰단 참가안내/남북농민 교류 및 금강산 여행단 참가안내/40년 역사의 자랑스런 농업기술회보!회원여러 분의 정성과 참여를...

  • PDF

A study on 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1. Report; Identification of 3-hydroxy 4-methoxy cinnamic acid- (승마(升麻), 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第 1 報) : 3-hydroxy 4-methoxy cinnamic acid 의 동정(同定)-)

  • Cho, Han-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 /
    • v.3 no.1
    • /
    • pp.1-4
    • /
    • 1967
  • A colorless needle crystal mass is isolated from rhizom of 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which is used as antipyretic ana antiinflammatory drug. This substance is ientified as 3-hydroxy 4-methoxy cinnamic acid.

  • PDF

Studies on Ringworm in Military Horses 1. Clinical Observations and Therapeutic Experiments (군마(軍馬)에 발생(發生)한 윤선(輪癬)에 관한 연구(硏究) I. 임상증례보고(臨床症例報告) 및 치료시험(治療試驗) 성적(成績))

  • Kim, Man Young;Kang, Yung Bai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13 no.2
    • /
    • pp.165-170
    • /
    • 1973
  • 1972년 여름, 사관생도(士官生徒) 승마교육용(乘馬敎育用)으로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 군마대(軍馬隊)에서 사육(飼育)하고 있는 승마용(乘馬用) 마필(馬匹)(오스트레일리아 및 일본산(日本産))과, 군용마(軍用馬)로서의 개발시험(改發試驗)에 공시중(供試中)인 제주도산(濟州道産) 재내마필(在來馬匹)에 발생(發生)한 14예(例)의 피부사상균성(皮膚絲狀菌性) 윤선(輪癬)을 대상(對象)으로 그 치료시험(治療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임상증례(臨床症例) 관찰(觀察) (1) 초기증상(初期症狀) 발현(發現)은 군마고유번호(軍馬固有番號) 15번(番), 마명(馬名) 거상(巨象)(원명(原名) Shane)의 이마 및 이근부(耳根部) 견부(肩部)에 직경(直徑) 3cm 정도(程度)의 원형(圓型) 병소(病巢)가 나타났으며, 곧 이어 다른 마필(病巢)에 산발적(散發的)으로 발생(發生)했다. 발생률(發生率)은 31.8%(군마(軍馬) 44%, 조랑말 15.8%)로서 지난해 군부대(軍部隊) 목장(牧場)에서 집단발생(集團發生)했던 Bovine Ringworm의 발생률(發生率)(56.4%)보다 낮았다. (2) 증상(症狀)은 원형발진(圓型發疹) 및 양감(痒感), 가피형성(痂皮形成), 피모탈낙(皮毛脫落), 농포형성(膿疱形成) 및 신모발생등(新毛發生等)의 순(順)으로 진행(進行)했으며 환축(患畜)과 접촉(接觸)하는 사람에게도 감염(感染)하는 인축공통전염병(人畜共通傳染病)의 일종(一種)이었다. (3) 품종(品種) 및 성별(性別), 연령에 따른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치료시험(治療試驗) 결과(結果) (1) 본병(本病)은 Ichthammol이나 Undecylenic Acid 처리(處理)에 있어서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나타냈다. (2) 상기(上記)한 항사상균제 처리(處理)와 동시(同時)에 Hydrccortisone의 보조요법(補助療法)을 실시(實施)하였을때, 약효(藥效)가 빨리 나타나고 치료기일(治療期日)도 단축(短縮)되었다. (3) 본증(本症)은 조기(早期)에 발견(發見) 치료(治療)해야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완치(完治)하는데 장기간(長期間)을 요(要)하였다.

  • PDF

Studies on Herbal Resources Plants in Chollabuk-do Area (전라북도 지방의 한약자원 식물에 관한 연구)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유현경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3 no.1
    • /
    • pp.61-65
    • /
    • 2000
  • It was investigated 91 families, 305 genera, 470 species, 1 subspecies, 30 varieties, 2 forma and total 503 taxa of herbal resources plants in Chollabuk-do area in this study. Among them 45 taxa belong to Compositae, 30 taxa belong to Rosaceae and 23 taxa belong to Leguminosae in order were occurred frequently. In general the herbal resources plants were distributed abundantly in Togyusan, Naejangsan, Changansan and Taedunsan area. Comparatively high frequent species was surveyed as follows: Schizandra chinensis, Cimicifuga heracleifolia, C. simplex, Asarum sieboldii,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and Veratrum patulum etc. There was growing 30-50 individuals of Codonopsis lanceolata in 5m$\times$5m quadrat, 90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plant in 1m$\times$1m and 100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lant in 1m$\times$1m quadrat from Togyusan quantitatively. Rare and herbal worth species were observed to distribute such as Gastrodia elata in Naejangsan and Togyusan and Acanthopanax senticosus in Mandoksan, Chinan-gun, respectively. Cultivating species in the farm now and/or favorable species in the future will be recommended here, for example, Codonopsis pilosus, A. senticosus, G. elata, Rubus coreanus, C. lanceolata and Pleuropterus multiflorus.

  • PDF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en's items in women's equestrian clothing (여성 승마복의 남성복 아이템 도입에 관한 연구)

  • Kim, A-Ra;Lee, Young-Ja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21 no.1
    • /
    • pp.31-41
    • /
    • 2013
  • By researching Western equestrian cloth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in which styles of menswear are introduced into women's sportswear. In addition to women's equestrian clothing shown in paintings and illustrations kept in overseas museums, this study also analyzed books addressing 200 years of Western dress style history,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analysis data present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omen's equestrian clothing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A total of 21 work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wo from periods prior to the $17^{th}$ century, three from the $17^{th}$ century, ten from the $18^{th}$ century, and six from the $19^{th}$ century.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tems of trendy menswear were commonly used in women's equestrian clothing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 to be specific, in all forms of clothing worn on the upper body, including coat and cravat, tricomhat, and accessories. Women's equestrian clothing after the $18^{th}$ century took the form of menswear. However, the uniform was also generally worn with a fitted, tailored redingote on top of the robe, along with pants. In the $19^{th}$ century, women's equestrian clothing became longer in length, like men's styles. The uniform gradually lost volume, and the jacket became shorter and narrower. In addition, the drawers were replaced with pants that came down to the ankles, which were similar to men's trousers. Breeches also became knee - length, thus following the style of menswear. These results show that women's equestrian clothing, worn during horseback riding, a sport previously enjoyed by Western aristocrats, were similar to what men wore. Also, in contrast to the distinct differences seen between men's and women's daily clothing, the equestrian uniforms of women showed a tendency to follow the clothing style of 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