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습지 생태계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Wetlands Simulation using CLM-FATES (CLM-FATES 모델을 이용한 습지 모의 )

  • Hyunyoung Oh;Yeonj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1-191
    • /
    • 2023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생태계의 가장 큰 메탄 저장소로서 지구의 탄소 순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습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전지구 지면 모델인 Community Land Model(CLM)에 Functionally Assembled Terrestial Ecosystem Simulator(FATES) 외부 모듈을 함께 구동한 지면 생태계 모델 CLM-FATES는 지면 heterogeneity와 다양한 식생 종류를 고려하여 에너지 플럭스, 토양 수문, 생화학적 과정 등을 모의함으로써 탄소 동태 변화를 포함한 장기적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CLM-FATES 모델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Mayberry Wetland (US-Myb)와 Twitchell East End Wetland (US-Tw4)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대기 입력 자료로는 FLUXNET-CH4에서 제공하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 CLM-FATES 모델은 토양이 장기간 포화 혹은 침수되어 지표 위 혹은 지표면 가까이 발달한 지하수면을 가지고 있는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해 정밀한 습지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M-FATES를 통한 보다 정확한 습지 생태계 모의를 위해 모델 내 토양 수문 관련 모듈을 수정하여 모델이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도출한 잠열,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과 순생태계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 플럭스, 메탄 플럭스,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지표수 높이에 대해 관측값 대비 RMSE 및 R2 값을 계산하여 모의 결과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우리나라 습지 사이트에 모델을 적용하여 습지 탄소 동태 예측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

Classification System of Wetland Ecosystem and Its Application (습지생태계 분류체계의 검토 및 적용방안 연구)

  • Chun, Seung Hoon;Lee, Byung Hee;Lee, Sang Don;Lee, Yong T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3
    • /
    • pp.55-70
    • /
    • 2004
  • The wetland ecosystem is a complex products of various erosion force, accumulation as water flows, hydrogeomorphic units, seasonal changes, the amount of rainfalls, and other essential element. There is no single, correct, ecologically sound definition for wetlands because of the diversity of wetlands and the demarcation between dry and wet environments occurs along a continuum, but wetland plays various ecosystem functions. Despite comprehensive integration through classification and impact factors there is still lacking in systematic management of wetlands.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the USFWS(1979) is hierarchical progresses from systems and subsystems at general levels to classes, subclasses, dominance types, and habitat modifiers. Systems and subsystems are delineated according to major physical attributes such as tidal flushing, ocean-derived salts, and the energy of flowing water or waves. Classes and subclasses describe the type of substrate and habitat or the physiognomy of the vegetation or faunal assemblage. Wetland classes are divided into physical types and biotic types. For the wise management of wetlands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methodology of USFWS classification system and discuss its application for Korean wetland hydrogeomorphic units already known. Seven wetland types were chosen as study sites in Korea divided into some different types based on USFWS system. Three wetland types belonging to palustrine system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Wangdungjae wetland and Mujechi wetland, but Youngnup of Mt. Daeam was different from the former two types at the level of dominant types. This fact means that setting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management of wetland is needed. Although we may never know much about the wetland resources that have been lost, there are opportunities to conserve the riches that remain. Extensive inventory of all wetland types and documentation of their ecosystem functions are vital. Unique and vulnerable examples in particular need to be identified and protected. Furthermore, a framework with which to demonstrate wetland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is needed that is sufficiently detailed to achieve the identification of the integrity and salient features of an enormous range of wetland types.

  • PDF

The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A review of ecosystem benefits, threats, and management strategies (인도 내 람사르 습지 현황 : 생태계 이점, 위협 및 관리 전략)

  • Farheen, K.S.;Reyes, N.J.D.G.;Jeon, M.S.;Kim, L.H.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2
    • /
    • pp.123-141
    • /
    • 2022
  • Wetland also known as "Jheelon" in Hindi langu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ural resources, contributing various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The study gave a short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The wildlife species, conservation measures, and their significance in Indian wetlands were also explored in this review paper. As of 2022, there are 49 Ramsar sites in India covering approximately 1,09363.6 km2 of land. The largest Ramsar wetland is Sundarbans, while the smallest is Chandertal. It was found that preventing wetland loss is important even though studies about wetland degradation in various nations including India, caused directly by human activities is still limited. Since Monitoring and protecting natural wetlands, supporting scientific studies on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s, demand on imposing regulations for limiting pollutant discharges were recommended allowing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to better maintain wetland and its ecosystem services.

Management Program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Wetlands located at Sinbul Mountain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 Yi, Gi-Chul;Nam, Jung-Ch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2
    • /
    • pp.1-14
    • /
    • 2008
  •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cological survey of wetland plants from Sinbul Mt. and suggest the ways of the sustainable ecological management and wise use. We found 167 plant species. Molinia japonica HACK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Asarum maculatum NAKAI, Drosera rotundifolia L. and Utricularia racemosa WALL we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species.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is area need strong conservation due to the necessity for species diversity. Such several management schemes as the designation for national wetland conservation area, continuous monitoring, cautious surveillance and wise management were suggested to implement successful conservation.

  • PDF

Dryness Evaluation of A Mountain Wetland Using Drought Index (가뭄 지수를 이용한 산지 습지의 건조화 평가)

  • Lim, Jong Hun;Kim, Jung Wook;Kim, Soo J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6-396
    • /
    • 2019
  • 습지는 가장 생산적인 생태계 중 하나이며, 인류에게 수문학적, 경제적, 문화적 가치로도 매우 귀중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인간의 영향으로 수위저하와 건조, 수문체계에 변화를 주어 습지의 건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산지습지는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하고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불규칙한 강수패턴 및 무분별한 개발은 습지수문환경에 영향을 미쳐 습지의 건조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 결과 자연적으로 습지의 면적이 감소하고 식생의 패턴 변화로 다양한 생물들과 보호가 필요한 종들이 사라질 것이므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건조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 내 지하수위 저하 또는 유입 유출량의 변화로 습지 토양의 수분이 감소하여 말라가는 현상을 습지 가뭄이라 정의하고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이를 지수화 하였다. 현재 산지습지를 대상으로 가뭄을 지수화 시킨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향후 산지 습지의 가치를 보존하고 생태계 관리의 목적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imulation of wetland storage volume using a classificatio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model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 예측 모델을 이용한 습지 저류량 모의)

  • Ji yu Seo;Ha eun Jung;Jeong Hoon Lee;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0-270
    • /
    • 2023
  • 습지 생태계는 복잡한 물리적 생지화학적 프로세스의 상호작용이 있으나,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습지 생태계에서의 물순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일 것이다. 또한 지역적인 물 균형 및 생태계 보전에서 습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도 습지 물순환에 대한 정량적인 이해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습지 물순환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인 관측 자료들은 현장 측정으로 획득하기 어려운 자료이거나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관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ntinel-2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습지의 유입량을 추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 동남부의 낙동강에 위치한 주요 다목적댐의 자료를 활용한 분류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이 설계된다. 인공지능의 학습을 위한 입력자료는 아래와 같은 절차에 의해 만들어진다. 1) 다목적댐의 수위-물 체적 관계를 이용하여 수위-수표면적 관계 곡선 도출. 2) 수위-수표면적 관계 곡선과 DEM을 활용하여 물과 육지 영역을 구분하는 식별자를 도출. 3) Sentinel-2 위성 정보와 물-육지 식별자를 비교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설계. 4) 위성 정보의 물-육지 정보로부터 미계측 습지 지역의 물과 육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도출. 이러한 과정을 경유하여 추정된 습지의 수표면적과 습지 지역의 DEM을 결합함으로써 습지의 수위-수표면적-물 체적 관계 곡선이 산정되어, 최종적으로 습지의 유입량이 모의된다. 모의된 습지 유입량은 다양한 수문 모델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검증된 수문 모델을 활용하여 습지의 물순환의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WangDungJae wetland type at Chiri National Park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유형분류와 평가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on;Kim, Yong-Sik;Cha, Yoon-Jung;Lee, Byung-Hee;Ko, Kwan;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4-164
    • /
    • 2000
  •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하여 미국야생생물보호청(US Fish & Wildlife Service)에서 개발한 습지 유형 분류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형분류와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리산왕등재 습지는 계(System), 아계(Subsystem), 강(Class), 아강(Subclass), 수영역(Water Regime), 수문지형 단위 (Hydrogeomorphic Units), 저질/우점유형 (Substrate/Dominants Type)의 계층적 분류체계에 따라 소호소습지생태계(Palustrine wetland system), 정수습지생태계 강, 영속형 정수식물 습지생태계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범주성 수화학(pH 6.1), 산악의 영구적인 초원 수문지형,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사초과와 고랭이속이 우점하는 습지로 분류되었다. 지리산 왕등재 습지와 비교하여 대암산 용늪의 분류체계는 이끼/지의류 강, 이끼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산성의 수화학,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물이끼가 우점하고 관속식물이 혼재하는 유형으로 분류되어 많은 차이가 난 반면, 무제치늪은 매우 유사한 습지유형으로 우점유형(진퍼리새 우점)과 특정 종에서만 차이가 났다.

  • PDF

A Study on Inhabiting Environment of Wetland using Inundation Analysis (침수분석을 통한 습지 서식환경분석)

  • Kim, Jung-Wook;Jung, Jae-Won;Choi, Young-Joo;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21-222
    • /
    • 2016
  • 습지는 생태자원의 보고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습지 생태계는 어느 생태계보다 생산성이 높다. 습지는 잦은 수위변동으로 인해 습지의 식물은 수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식물종의 특징과 최적의 생육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위에 따른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계가 잘 발달되어 있는 남한강의 비내섬 습지에 대해 유황분석을 하였고 유황에 따른 유량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유량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유황별 홍수위를 산정하였으며, RAS Mapper를 이용하여 침수심과 침수구역을 모의하였다. 이를 통해 침수심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식물의 서식환경을 분석하였다. 버드나무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8m의 침수심, 물억새군락은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및 0~0.4m의 침수심, 쑥-망초군락과 달뿌리풀군락은 0~0.4m의 침수심, 그리고 환삼덩굴군락은 0~0.8m의 침수심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황에 따른 침수심에 대한 식생서식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식생을 고려한 인공습지 조성이나 하천설계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Applied by Citizen Science in the Wetland Protected Areas(Inland Wetland) (시민과학을 활용한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교란 식물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 Inae Yeo;Kwangjin C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5
    • /
    • pp.305-317
    • /
    • 2023
  • This study suggested a citizen science based model to enhance the efficacy of the managing invasive alien plants and examined whose applicability in 3 Wetland Protected Areas (Jangrok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Madongho of Goseo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Ungok of Gochang in North Jeolla Province). The process consists of (a) collecting citizen scientist including local residents of 3 protected areas and piling up information on the 4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Solidago altissima L) in a information platform Ecological Information Bank (EcoBank) from September 18th to October 31th, (b) constructing distribution map containing the location and density (3 phases: individual-population-community) of target plants, (c) providing distribution map to Environment Agency and local government who is principal agent of managing invasive alien plants in 3 protected areas, and from whom (d) surveying applications of the distribution map and opinion for future supplement. As a result, citizen science based monitoring should be continued to complement the nationwide information for the fiel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plants with the expansion of target species (total 17 plants species that Ministry of Environment in South Korea designated) and period of monitoring in a yea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urveyed information from citizen science. In the long run,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applied by citizen science should be reviewed including efficacy of field management process from citizen's participating in elimination project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time series distribution followed by the management of the species.

Considera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World Wetlands (습지보전에 관한 고찰)

  • Lee, Chan-Won;Yoon, Sung-Y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 no.1
    • /
    • pp.71-75
    • /
    • 1999
  • 세계각국 습지의 크기와 자연환경은 서로 다르지만 습지는 강과 관련이 되어있고, 여러 환경문제와 관련이 되어있다. 댐과 운하의 건설은 건기와 우기에 자연적인 홍수조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늪과 수질과 자연생태계는 정화되지 못한 가정하수와 강우 등에 영향을 받는다. 늪 주변의 산림벌채 및 습지저층 수로주위의 광범위한 퇴적지대가 형성된다. 습지유역의 경작으로 인하여 비료, 퇴비 등의 사용으로 습지의 부영양화를 가중시키게 된다. 습지의 부영양화와 오염된 퇴적물에 의한 수질악화는 전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습지의 근본적인 문제는 무분별한 탐조활동, 환경오염으로 인한 동 식물의 감소 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이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습지의 보전방법은 자연그대로 지속시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