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습지조사

Search Result 6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Suncheon Bay (순천만 수저질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sook;Heo, Sung-sil;Choi, Jeong-min;Wo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10
    • /
    • 2019
  • 순천만은 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여 여수반도와 고흥반도의 사이에 있는 만 지형 형태로 만 전체를 순천만이라고도 하나, 보통 고흥군반도와 여수반도 사이의 만을 여자만이라 하고 만내부에 위치한 여자도라는 섬의 위쪽으로 순천시의 해안하구에 형성된 지역을 순천만이라 일컫는다. 순천만은 순천시에서 유입되는 동천과 이사천 및 해룡천의 하류에 형성되어 있어서 육지부에서 유입되는 퇴적물과 유기물로 인하여 갯벌과 갈대등이 잘 형성된 습지로서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 갯벌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동북아 두루미 보호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고, 2006년 1월 국내 연안습지로는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Suncheon Bay"로 등록되었으며, 2016년 6월에는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습지이다. 순천만습지에 형성되어 있는 갯벌($28.0km^2$)은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로서, 넓은 사니질 갯벌과 갈대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는 생태계의 보고(寶庫)이자 소중한 생태자원으로서, 순천시에서는 순천만을 자연생태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각종 자연학습자료들과 영상물들을 갖춘 생태전시관과 갈대숲 탐방로, 용산전망대, 야생화 정원, 담수습지, 갈대정자, 갯벌관찰대 등 사계절 생태체험을 위한 각종 시설들을 잘 갖춰놓고 많은 관광객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갯벌은 바닷가의 넓은 벌판이란 뜻으로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전체 면적이 약 $2,500km^2$에 달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종류의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으며 어민들의 생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있다. 이러한 갯벌은 퇴적된 입자의 구성에 따라 펄갯벌, 모래갯벌, 혼합갯벌 등으로 구별되는데 이에 따라 갯벌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도 바뀌게 된다. 순천만갯벌과 여기에 조성되어 있는 습지환경에 따라 확인되고 있는 수산자원으로는 새꼬막, 꼬막, 눈알고둥, 갯고둥, 비툴이고둥, 돌조개, 접시조개, 새알조개, 가무락조개, 바지락, 우럭, 가재붙이, 방게, 칠게, 농게 등의 저서 생물들과 짱뚱어, 문절망둑 등의 어류가 있으며, 해조류로 우뭇가사리 등이 있고, 인근의 어민들의 어업형태는 꼬막 등 패류의 채취나 종패를 뿌려 일정기간 양성하여 수확하는 양식업, 육상부에서 폐염전 등을 활용한 전어나 새우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 수산물을 직접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잡는 맨손 어업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근의 어민들의 생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순천만의 습지는 뻘층이 깊고, 분해성 미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하여 유기물 분해능력이 뛰어나며, 유기영양분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습지로 평가되고 있으나, 순천시 등 순천만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인간의 활동에 따른 간섭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끊임없는 생태환경이 변화하고 있어서 순천만의 효율적인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 저질 환경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오염물질의 70% 이상은 하천이나 강을 통해서 해역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태계의 보고(寶庫)라고 알려진 순천만의 지속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유입수계 하천의 수질현황 및 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의 수저질 특성과 여기에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환경 현황 및 오염원을 파악함으로써 순천만의 보전을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순천만의 수질평가지수에 의한 등급(WQI)은 III등급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득량만, 광양만 등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기물 및 T-N, T-P의 농도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순천만에 유입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와 도시하수가 유입되어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해룡천 및 연안에 위치한 어촌으로부터 직접 방류되고 있는 일부 정화조 유출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의 관리가 부실할 경우 순천만의 갯벌과 습지의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유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순천만 연안의 오염물질 방류를 총량관리로 전환하여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over Goheung bay Wetland (고흥만 습지에서 증발산량의 산출 방법)

  • KWON, Byung Hyuk;KIM, Dong Su;KIM, Geun Hoi;KANG, Dong 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1
    • /
    • pp.21-30
    • /
    • 2008
  • Evapotranspir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nergy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air. Over a vegetable canopy, evapotranspira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sensible heat flux, the soil heat flux and the net radiation flux. Evapotranspiration based on routine AWS data i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estimated from the energy balance equation except for weak wind shear less than $1s^{-1}$ and a cloudy period. Soil heat flux can be approximately to 10% of net radiation flux at the lower layer. When the slope of the saturation vapor pressure versus temperature curve ($de_s/dT$) is approximated to 1.5, the evapotranspiration can be described in function of the net radiation energy flux over Goheung bay wetland covered with the vegetable canopy, reeds.

  • PDF

The Present Condition Of Free Water Surface Wetland In Tandong-River And The design Of It's Water Quality Improvement (탄동천의 현황 및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방안)

  • Yoon, Jin-Ho;Seo, Dong-Il;Seo, Mi-Jin;Lee, Y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57-1961
    • /
    • 2008
  • 대전광역시는 대전시의 3대 하천 살리기 사업 중 하나로 갑천을 2009년까지 수영이 가능한 하천으로 개선하는 '갑천 수질개선 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지류의 수질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대전의 탄동천은 상류에 군부대 시설이 밀집해 있고 하수처리장이 운영되고 있는 관계로 하천 수질은 일반적인 하천에 비하여 높은 오염도를 나태내고 있다. 또한 중류지역의 주거시설에서 하수시스템으로 완벽하게 연결되지 못한 부분에서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구단지등에서 강우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등이 하천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동천의 상류 자운동의 자운1교부터 갑천과 합류되기 전의 국립중앙과학관 앞까지의 7.4km 구간의 6개 지점과 하수처리장 방류수, 우수 관거 및 지류인 삼성천 등 6개 점오염원 지점의 총 12개 지점에 대하여 현장조사 및 수질측정 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으로 더 이상 제어하기 어려운 오염물질 농도를 추가로 저감하기 위하여 지표형 인공습지 운영 및 설계방안을 연구하였다. 인공습지를 합리적으로 설계하는 경우 결과 탄동천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을 개선하고 경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도시형 소하천들의 수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서부 민간인 통제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의 유형분류)

  • Kim, Seung-Ho;Kim, Jae-Hyun;Kim, Jae-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275-289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civilian control zone of Paju city in Korea. Among 85 small irrigation ponds, water level of 52 ponds changed seasonally and that of 33 was constant. Water sources of 12 ponds were surface water, 29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and 44 ground water. 4 ponds locate in the edges of forests, 33 in flat-lands, and 48 in valleys. Water in 45 ponds was exchanged with paddy fields and 40 ponds were isolated from paddy fields. Endangered or endemic species were inhabited in 26 ponds, which have ground water as water source and constant water leve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we suggested 4 types of small irrigation ponds: spring, water exchanging, stagnant/spring, stagnant water. This classification system will help ecosystem managers to investigate ponds systematically and manage them based on pond type.

Study on Topographical Changes by Frame of Wooden Groyne at the Riparian of the Pyungchang River (유도틀 설치에 따른 평창강 수변의 지형변화 연구)

  • Kim, Byoung-Moon;Kim, Hyun-Ho;Hwang, Gil-Son;Kim, Dong-Oug;Park,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0-970
    • /
    • 2012
  • 최근 치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원래 자연하천의 모습을 보전 혹은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시설물의 조성 시 유황에 따른 자연 하안 유도와 습지형태의 생물 서식공간 조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창강 일원에 목재 유도틀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지형변화, 저서무척추동물을 포함한 수생생물들의 서식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창강 금당계곡 일원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통해 수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산에 있는 수리모형 실험장에서 기본 수리특성 실험 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된 지점에 목재 유도틀을 2009년 9월에 설치하여 유도틀 설치 전과 설치 후 2010년 10월까지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형의 측량은 광파측정기(니콘 DTM-520)로 하였으며 측량된 자료를 이용하여 Contour Map을 작성하여 지형변화를 분석하였고, 유도틀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에 3차에 걸쳐 지형 및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량 및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유도틀 설치 후 2010년 하절기에 집중호우에 의한 유도틀의 파손 및 형태변형 등 문제가 없어 수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유도틀 조성 전 사질로 되어있던 단순한 선형의 하안이 유도틀 설치 후 다양한 하상재질 및 형태가 변화했으며 유도틀의 배치에 따라서 굼치 및 둠벙형 습지가 형성되었다. 유도틀 설치지역의 3개지점(상부, 중간배후습지, 하부)에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설치된 유도틀의 중간지점에서 가장 높게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상부지점 보다는 하부지점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개체수의 변화에서는 종수변화와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깔다구와 꼬마줄날도래등 특정종의 증식이 많았다. 또한, 굼치 및 둠벙형 습지 내에 어류의 치어 및 유어, 양서류, 파충류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도틀에 의해 생성 및 유도된 지형변화가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에게 다양한 피난처 및 은신처 역할을 잘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 Lee, Geun-Joo;Sung, Kijun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3
    • /
    • pp.289-300
    • /
    • 2013
  • In this study, two types of wetland plants, Eichhornia crassipes (a floating plant) and Ceratophyllum demersum (a submerged plant) were introduced to wetland mesocosms to understand how the water properties of wetlands such as pH, dissolved oxygen content, water temperature,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re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wetland plant. The floating plant lives on the water surface and can block light penetration; it exhibited the lowest water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lower and upper layers. After the addition of contaminants, the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decreased abruptly but recovered continuously in all mesocosms; especially the submerged plants, which photosynthesize in water, showed the largest increases in DO and diel periodicity DO, as well as in pH value.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in both water and sediment were affected by the presence of wetland plants and plant type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aspects of wetland biogeochemistry are affected by the presence and type of wetland plants. The total nitrogen and phosphorous concentrations in water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Water only < Water + Soil < Floating Plants < Submerged Plants. Although both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can control algal concentrations, the effect was more prominent for floating plants.

Geomorphology and Spatio-Temporal Land Cover Changes in Sincheon Wetland, Mangyeong River (만경강 신천습지의 지형과 시공간적 토지 피복 변화)

  • Jangsoo Kim;Jeong-Sik Oh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34 no.1
    • /
    • pp.41-51
    • /
    • 2024
  • The Sincheon wetland shows a remarkable diversity of fluvial landforms, such as river islands, anastomosing channels, braided channels, and sand-gravel bars, which contribute to its rich ecological habitat. The wetland area is characterized by a ecological diversity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Significant changes in land cover within the wetlands were observed from 2008 to 2020. Notably, there was a rapid decrease in agricultural area from 18% to 0.04%, while the vegetation area expanded from 45% to 54%. Concurrently, the water area also experienced a notable increase from 34% to 41%. The surface sediment composition in the studied area displays sandy loam characteristics and exhibits acidic soil properties. Sediment acidity tends to increase downstream and in the central part of channels. Variations in acidity are also observed at nearby collection sites due to the tributaries and local discharge. The presence of dense vegetation in river islands and bars has led to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of sediments into soil, with this change being more pronounced downstream, particularly near the weirs. The installation of a weir in Sincheon wetland is believ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tering flow velocitie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sections, as well as influencing erosion and sediment deposition patterns. However, given the formation of landforms in response to weirs,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re essential to address potential risks of catastrophic environmental disruptions, such as the removal of weirs and/or the maintenance of river channels.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경상남도 남해안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평가)

  • Park, Kyung-Hun;Yu, Ju-Han;Song, Bong-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4
    • /
    • pp.395-40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data to minimize the indiscreet development and damage of coastal wetlands through an evaluation from an ecological standpoi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coastal wetland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The result of the macrobenthos survey for the coastal wetland assessment showed that Dongdal and Hwasan-ri, Yongnam-myeon, and Tongyeong city had the largest species number; Oegan-ri and Naegan-ri, Geoje-myeon, and Geoje city had the largest population and biomass; and Miryong-ri, Samsan-myeon, Goseong-gun ha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 the halophytes survey, Imyeong-ri, Jinjeon-myeon, Masan city and Oegan-ri and Naegan-ri, Geoje-myeon, Geoje city had the large character species and companion speci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coastal wetland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ades based on the field surveys, an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factor in the case of Danghang-ri, Hoehwa-myeon, and Goseong-gun; Miryong-ri, Samsan-myeon, Goseong-gun; Guho-ri, Gonyang-myeon, Sacheon city; Sulsang-ri Yangpo-ri, Jingyo-myeon, Hadong-gun; and Seokpyeong-ri, Idong-myeon, Namhae-gun, were appraised at the highest rating of grade II. The halophytes factor in the case of Imyeong-ri, Jinjeon-myeon, Masan city, Dongdal-ri and Hwasan-ri, Yongnam-myeon, Tongyeong city and Oegan-ri and Naegan-ri, Geoje-myeon, Geoje city, were highly evaluated as grade II. The macrobenthos factor in the case of Imyeong-ri, Jinjeon-myeon, Masan city and Oegan-ri and Naegan-ri, Geoje-myeon, Geoje city was highly evaluated as grade II. The final evaluation grade was calculated by the mean values of three evaluation factors, and Imyeong-ri, Jinjeon-myeon, Masan city and Oegan-ri and Naegan-ri, Geoje-myeon, and Geoje city had the highest rating of II. On the other hand, Seokpyeong-ri, Idong-myeon, Namhae-gun had the lowest rating of IV. These locations will require future research to survey and monitor the coastal wetland ecosystems by season,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GIS-based wetland information system with a view to manage the coastal wetla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Change and Management in Urban Wetland - Focusing on the Dunchon-Dong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Seoul - (도시 습지 자연생태계 변화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 Han, Bong-Ho;Park, Seok-Cheol;Kim, Jong-Yu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3
    • /
    • pp.1-20
    • /
    • 2023
  • The present study has monitored the changes in the biodiversity of Dunchon-Dong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the wetland, identified and analyzed the threats to the ecosystem, and presented a management plan accordingly. In this area which was forests and rice paddies in the past, apartment reconstruction is currently underway, with some hinterland forests and wetlands remaining. When we look into the change in the floras, the total number of species was 193 in 2000 before the restoration, it decreased from 2004 to 2006, and as of 2019, it was 149, showing an increasing trend.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pecies that emerged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showed an increase in Cyperaceae herbs such as Carex maximowiczii and Carex dispalata growing in wetland areas within forests and Schoenoplectiella juncoides and 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growing in areas within wetlands where shallow water is mainta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area ratio of each type of extant vegetation, the wetland native herbs formed the power at the highest ratio after the restoration. The change in the power of the wetland native herbs was on an increasing trend until 2007, after which it decreased much in 2010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showing values of 26.6% in 2000, 44.6% in 2002, 49.0% in 2005, 53.3% in 2007, 28.7% in 2010, and 37.3% in 2019. The cause of the decrease in 2010 was judged to be due to the vegetation management conducted to secure open water and remove organic matter in freshwater reservoirs. The amphibia which emerged from 2000 to 2019 was a total of 9 species including Hynobius leeshii, Bufo gargarizans, Kaloula borealis, and Rana uenoi.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the emerging wild bird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before the restoration was 0.9922 in 2000,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after the restoration gradually increased to 1.2449 in 2005, 1.2467 in 2010, and 2.2631 in 2019. The amphibia and wild birds inhibiting in the Dunchon-Dong forest and wetland were judged to have increased through continuous wetland maintenance such as naturalized plant removal management, native plant maintenance, and open water securing management. For the ecosystem preservation management of the Dunchon-Dong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t was suggested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Dunchon-Dong reconstruction project, reorganize the indiscriminate access roads adjacent to the wetland, and reorganize the main entrance to the wetland. For ecosystem restoration management, systematic restoration and ecological buffer planting were suggested to be carried ou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ence demolition.

주원천유역의 생태하천 조성계획

  • 박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0-83
    • /
    • 2004
  • 본 연구는 주원천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생태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하천수리, 수문 및 기타수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자연형 하천 공법에 의한 하천복원 및 비오톱 조성 사례를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국내하천에의 적용방안을 검토하여 주원천에 하천 습지 및 생물비오톱 등에 대한 계획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