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습관성 유산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on-Related Genes in Fetal Chorionic Villi Derived from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Patients (습관성 유산 환자의 융모막 조직에서의 면역억제유전자 발현 양상)

  • Shin, Ju-Mi;Kim, Jeong-Wook;Choi, Bum-Chae;Lee, Sook-Hwan;Baek, Kwang-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0 no.3
    • /
    • pp.233-240
    • /
    • 2003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상 환자와 습관성 유산 질환 환자에서 유래된 융모막 조직 내에서의 면역억제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임신 6주와 8주의 습관성 유산 질환 환자와 정상 환자로부터 융모막 조직을 채취하였다 (Normal N=6; RSA N=6).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해서 조직을 관찰하고 세포가 살아있음을 확인한 후에,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서 면역억제유전자인 placenta protein 14 (PP14), indoleamine 2, 3-dioxygenase (IDO) 그리고 mucin1 (MUC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GAPDH 발현에 기준한 면역억제유전자 발현을 정량 분석하여 Student's t-test를 시행하였고, p<0.05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습관성 유산 질환 환자의 경우, 임신 6주와 8주의 융모막 조직에서의 면역억제유전자 (PP14, IDO, MUC1) 발현이 현저하게 낮은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습관성 유산과 면역억제유전자의 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 론: 면역억제유전자 (PP14, IDO, MUC1)의 발현이 습관성 유산 질환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습관성 유산 질환의 진단과 치료 연구 방안에 이 유전자들의 발현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계 최초 습관성 유산 원인 규명

  • Park, Myeong-I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6 s.409
    • /
    • pp.14-15
    • /
    • 2003
  • 포천중문의대 차병원 생식의학 및 불임 유전체연구센터 백광현교수. 습관성 유산의 원인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해 현재 자연유산의 1/3에 이르는 습관성 유산의 예방과 치료의 길을 연 것으로 의학계에서는 크게 평가하고 있다. 백교수는 이같은 연구로 지난 5월 10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로 개최된 과학기술우수논문 시상식에서 수상한 것을 비롯 6월 30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유럽불임학회에도 같은 제목은 논문이 우수 논문상 후보로 올라있으며,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연구비 50억원을 수혜 받아 국내 최대규모의 불임 관련 유전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등 생식의학 및 불임 유전체 연구분야에서는 국내외적으로 높은 연구실적을 인정받고 있다. 이달의 과학자로 선정된 백교수로부터 세계 최초로 발견한 습관성 유산의 원인 유전자 발견 등 최근 연구동향 등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 PDF

Increased Peripheral NK Cell Fraction and Their Cytolytic activity in Patients with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 분획 및 세포용해 활성도 분석을 통한 습관성 유산 위험군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 Choi, Ji-Young;Hwang, Su-Jin;Han, Ae-Ra;Yoo, Ji-Hee;Park, Dong-Wook;Park, Chan-Woo;Kim, Hye-Ok;Cha, Sun-Hwa;Kim, Jin-Young;Song, In-Ok;Koong, Mi-Kyoung;Kang, In-Soo;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2
    • /
    • pp.115-124
    • /
    • 2010
  • Objective: To testify whether the increased peripheral blood natural killer (pbNK) cells fraction and their cytolytic activity could coincide with patient's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RSA) and to evaluate these factors are can be valuable diagnostic markers in RSA. Methods: Women with a history of RSA comprised the patient group (n=35). Normal fertile women, who were experienced at least one healthy term birth without history of infertility or recurrent miscarriage, were included as the healthy control group (n=15). The pbNK cells of $CD3^-/CD56^+/CD16^+$ and their cytolytic activities against K562 cells were measured by flow cytometry and the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Results: Proportions of pbNK cells among peripheral blood monocytes (PBMC) ($14.2{\pm}5.2$ vs. $9.4{\pm}3.7%$, p=0.00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 to 7.8)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The odds ratio of having RSA history was increased as 8.4 folds (59% of sensitivity, 80% of specificity, and 95% CI: 2.0 to 35.8) in patients who showed pbNK cells fraction above 12.1% which was determined as cut-off value by using ROC curve analysis. The cytolytic activities of pbNK cells which measured by three different ratio of effecter pbNK cells to target K562 cells and calculated by the percent of cytolytic K562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50:1 ratio, $48.3{\pm}19.0$ vs. $31.3{\pm}11.9%$, p=0.002; in 25:1 ratio, $37.0{\pm}18.1$ vs. $20.2{\pm}9.2%$, p<0.001; in 12.5:1 ratio, $23.5{\pm}12.7$ vs. $12.4{\pm}7.3%$, p=0.001). With the cut-off values of cytolytic activity of pbNK cells as 43.1% (50:1), 26.9% (25:1), and 17.4% (12.5:1) each, the risk of having RSA history was increased by 10.0, 11.4, and 15.0 folds in patients who had increased in each effector of pbNK to target of K562 cells ratio. Conclusion: The analysis of pbNK cells fraction and their cytolytic activity can be valuable diagnostic markers for RSA. We are going to planning the large scaled studies which include the data of obstetric outcomes in subsequent pregnancies to clarify our result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