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팸 메일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1초

링크구조분석을 이용한 스팸메일 분류 (A Spam Mail Classification Using Link Structure Analysis)

  • 이신영;길아라;김명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호
    • /
    • pp.30-39
    • /
    • 2007
  • 기존의 내용기반 스팸메일 분류는 전자메일이 이미지를 많이 가지고 있고 텍스트는 적게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내용을 분석하기 어려우므로 스팸메일을 분류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자메일의 구조를 분석하는 링크구조분석 스팸메일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것은 전자메일 안의 하이퍼링크의 개수와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웹 문서들이 다른 웹 문서에 의해 링크된 수를 측정하여 전자메일의 중요도를 계산한 후 의사결정트리를 학습하여 스팸메일과 정상메일을 분류한다. 또한 위의 링크구조분석 알고리즘과 하이퍼링크의 서버 주소만을 이용한 변형된 링크구조 분석 알고리즘, 그리고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내용기반 방법을 다수결 원칙으로 결합한 통합 스팸메일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링크구조분석 알고리즘은 기존의 내용기반 방법 보다 스팸메일 분류 정확도가 94.8%로 약간 향상되었으며 또한 통합 스팸메일 분류 시스템도 내용기반 방법과 비교하여 향상된 97.7%를 나타냈다.

스팸메일 방지를 위한 MDA의 필터링방법 개선방안 (An improvement of MDA(Mail Delivery Agent) Filtering method for prevention of spam mail)

  • 박은옥;김영현;최은정;유주영;김미애;박유미;김윤정;김명주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03
  • 인터넷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메일 사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전자메일 사용으로 통신상의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지만 소수의 유저들이 상업적 목적으로 많은 유저에게 원하지 않은 메일(스팸메일)을 보냄으로써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입히고 있다. 따라서 스팸 메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팸 메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전자메일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살펴보고 MTA, MDA를 이용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도구들을 비교 분석한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탐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은 공개 배포용 MDA인 procmail에 기반한 것으로, 규칙(rule)을 매칭(matching)시키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 PDF

Privacy 속성 기반의 오인된 메일 복구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Recovery-algorithm of False-Positive Mail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Privacy)

  • 서상진;박노경;진현준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08-114
    • /
    • 2005
  • 현재 전자우편은 정보통신 사회의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되고 있으나, 스팸 메일의 증가로 인해 각종 사회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스팸 차단을 위해 관련 기관 및 기업이 다양한 형태의 스팸 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나, 다양한 스팸 유형에 따른 대응이 각각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처리 비용과 시스템의 복잡도가 가중되고 있다. 그리고 스팸 차단 기술 적용 시, 스팸 방지 필터의 적용 순서에 따라 차단 오인율(False-Positive Error)이 달라져 이용 신뢰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스팸 차단 필터의 이용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rivacy 정보 기반의 False-Positive 메일 복구 기법을 제안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토 타입을 통해 False-Positive 메일 복구 과정을 검증하고, 처리 결과를 분석 및 요약한다.

  • PDF

자동 생성 메일계정 인식을 통한 스팸 필터링 (Spam-Filtering by Identifying Automatically Generated Email Accounts)

  • 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378-38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필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대부분의 스팸 필터링 시스템은 메일의 제목이나 혹은 그 문서 안에서 발견되는 단어들의 분포를 조사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의 스팸 발송자들은 메일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웹메일 계정을 이용하여 스팸을 발송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웹메일을 통해 발송되는 스팸 메일의 특징을 보면, 그 메일 계정이 자동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의 메일 계정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발송자의 메일 계정이 자동 생성된 메일 계정인지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스팸을 필터링하고자 한다. 메일 계정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패턴 인식 문제에서 사용되어 온 결정 트리를 이용하였으며, 메일 서비스 업체로부터 수집된 약 215 만개의 메일 계정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96.3\%$의 정확률을 나타내었으며, 기존 시스템과 연동하여 새로운 형태의 스팸을 필터링할 수 있었다.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와 메일 주소 유효성 검사를 이용한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 (Spam-Mail Filtering System by Using Naive Bayesian Classifier and Mail Address Validation Check)

  • 임정택;김형준;강승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523-52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가중치가 부여된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와 스팸 메일의 특성을 이용한 주소 유효성 검사를 결합하여 필터링하는 방식의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주소 유효성 검사를 통해 스팸 메일을 효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으며,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분류를 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인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비중을 부여함으로써 메일의 특성을 고려한 필터링 환경을 구현하였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요인들이 실제로 필터링 성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최적의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정책기반의 계층적 스팸메일 제어모델 설계 (Design of A Spammail Control Model Based on Hierarchical Policy)

  • 이영진;백승호;박남규;이상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1
    • /
    • 2005
  • 초고속 인터넷망의 확산에 따른 인터넷 이용과 전자상거래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저 비용 고 효율적 특성의 전자우편 광고가 마케팅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반면 스팸메일의 빠른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메일서비스업체와 메일사용자에게 정신적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대학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스팸메일 차단을 위해 참여자-사용자, 관리자 그리고 ISP들이 상호 협력하는 계층적 스팸메일 차단정책을 설계하고 그 정책을 기반으로 스팸메일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스팸메일 제어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모델에 대한 분석평가를 통하여 모델의 효율성을 보인다.

  • PDF

텍스트정보와 하이퍼링크에 기반한 지능형 스팸 메일 필터링 (Intelligent Spam-mail Filtering Based on Textual Information and Hyperlinks)

  • 강신재;김종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95-901
    • /
    • 2004
  • 본 논문은 텍스트 정보와 하이퍼링크에 기반한 2단계 지능형 스팸 메일 필터링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스팸 메일의 본문에는 텍스트 문장보다는 그림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어의 블랙리스트와 같은 전형적인 방법으로 스팸 메일을 구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팸 메일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퍼링크를 추출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가져온 후, 이를 확장된 형태의 메일 본문이라 간주하여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스팸 메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두 가지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는데, 메일 송신자의 정보와 확실한 스팸 키워드 리스트를 확실한 정보군으로 구분하여 먼저 적용하고, 이보다 덜 명확한 정보들은 따로 구분하여 속성벡터를 만들어 SV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하이퍼링크를 통하여 웹페이지를 가져온 방법이 그냥 원본 메밀만 사용한 방법보다 F-measure 값이 평균 9.4% 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발송자와 수신측 MTA 간의 스팸메일 거부 에이전트 설계 (A Spammail denial Agent Design between sender and receiving MTA)

  • 정용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3-1156
    • /
    • 2004
  • 누구나 제한없이 전자메일을 발송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전자메일 사용자들은 스팸메일이라는 원하지 않는 메시지의 홍수에 노출되어 있고 이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스팸메일을 제한하려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방식에 추가로 적용이 가능한 수신측 MTA와 발송자 사이에서 발신 확인 과정을 통한 스팸메일 검증 에이전트를 구현 한다.

  • PDF

컨텐츠 필터를 이용한 스팸메일 차단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pam I-Mail filtering System)

  • 김진만;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65-468
    • /
    • 2003
  • 전자메일은 가장 오래된 인터넷 서비스중의 하나로서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사회에 아주 중요하고, 필수적인 통신수단이 되었다. 개인적인 목적에서부터 중요한 비즈니스적인 목적으로 까지 이용되고 있는 전자메일은 그 특성상 보안에 취약하고, 그를 이용한 상업적 또는 악의적인 목적으로까지 이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최근 스팸메일의 차단과 상업성 광고 메일에 관련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관련된 대처 방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스팸메일 및 상업적 목적의 광고성 메일 둥의 분류 및 차단에 관련하여 세 가지 측면, 즉 서버 레벨 차단, 네트워크구조 레벨 차단, 클라이언트 레벨 차단방법 중 클라이언트 레벨에서의 정보통신부 유해 사이트 DB를 이용한 스팸메일차단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유해컨텐츠 접속 동기에 기초한 기술적 차단 방법의 종합적 제시 (A Synthetic Proposal of Technical Blocking Method Based on the Harmful Internet Contents Access)

  • 조동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5-648
    • /
    • 2004
  • 본 논문은 유해콘텐츠를 접속하는 동기를 통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전체적 방법에 대한 제시를 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인터넷 유해 콘텐츠의 접속 동기를 분석한다. 또한 인터넷 유해 콘텐츠를 접속하는데 있어 가장 큰 요소인 스팸메일에 대해 실태 파악 및 분석을 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스팸메일이 증가하는 이유, 스팸메일 발송자가 전자우편을 수집하는 방법 그리고 각종 스팸메일 방지 방안 및 스팸 방지 기술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수신측에서 행해지고 있는 스팸메일 차단에 대해 여과를 안 하는 이유 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스팸메일 차단에 대한 연구 방향을 잡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며 이를 기초로 이메일을 수집 단계에서부터 차단이 이루어 지게 하기 위한 종합적 차단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