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팸메일 필터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filtering performance of Korean and English spam-mails (한국어와 영어 스팸메일의 필터링 성능 분석)

  • Hwang Wun-Ho;Kang Sin-Jae;Kim Tae-Hee;Kim Hee-Jae;Kim J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9-39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메일을 대상으로 2단계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2단계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은 블랙리스트를 활용하는 1단계와 기계학습을 통한 지능적인 분류를 하는 2단계로 구성된다. 만약 새로 도착한 메일이 블랙리스트의 내용을 포함한다면 이 메일은 스팸 메일로 분류되고 그렇지 않은 메일은 2단계로 넘어가서 스팸 메일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메일의 본문이 영어로 작성된 영어 스팸 메일을 일반 메일로부터 분류해내기 위해서는 우선 Stemming과 Stopping 기법을 이용하여 본문에서 정형화된 어휘정보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어휘정보들을 대상으로 속성벡터를 구축한 후 SVM 기계 학습을 시켜 SVM 분류기를 생성하여 지능적인 스팸 메일 필터링을 수행한다. 속성벡터를 구축할 때 기준이 되는 자질을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의 성능이 좌우된다. 따라서 SYM 기계 학습을 위한 속성벡터를 구축할 때 기준이 되는 자질을 선택하는 여러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어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과 비교하여 영어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PDF

Junk-Mail Filtering by Mail Address Validation and Title-Content Weighting (메일 주소 유효성과 제목-내용 가중치 기법에 의한 스팸 메일 필터링)

  • Kang Seung-Shi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2
    • /
    • pp.255-263
    • /
    • 2006
  • It is common that a junk mail has an inconsistency of mail addresses between those of the mail headers and the mail recipients. In addition, users easily know that an email is a junk or legitimate mail only by looking for the title of the email. In this paper, we tried to apply the filtering classifiers of mail address validation check and the combination method of title-content weight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junk mail filtering syste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ed an experiment by applying them to Naive Bayesian classifier. The experiment includes the unit testing and the combination of the filtering techniques. As a result, we found that our method improved 11.6% of recall and 2.1% of precision that it contributed the enhancement of the junk mail filtering system.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rean Spam mail Filter using the Place of Dispatch Tracking and IBL (발신지 추적기법과 사례기반학습을 이용한 한국어 스팸메일 필터의 설계 및 구현)

  • Ha, Hong-Joon;Weon, Ill-Young;Park, Ho-Joon;Song, Doo-Heo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43-346
    • /
    • 2002
  • 스팸메일이 급증함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전자메일 필터의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다. 스팸메일을 보내는 스패머(spammer)의 거의 대부분은 광고가 주요 목적이다. 멀티미디어(multimedia)기반의 전자메일은 정보전달 및 시각효과가 뛰어나 스패머가 선호하는 전자메일의 한 형태이다. 이런 종류의 전자메일은 텍스트 기반(基盤) 스팸메일 필터의 성능을 떨어뜨리거나 필터링을 아예 불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발신지(發信地) 추적기법과 사례기반학습을 이용해 신뢰할 수 있는 한국어 스팸 메일필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Comparison of Performance for Korean E-mail Filtering using Bayesian Classifier (한글 전자메일에 대한 베이지언 필터의 성능비교)

  • Lee, Chang-Beom;Kim, Ji-Soo;Kim, Soo-Hyung;Park, Hyuk-R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214-219
    • /
    • 2004
  • 전자 메일은 매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통신 수단이다. 그러나 전자메일 주소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면 점을 악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메일 즉 스팸 메일에 대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스팸 메일을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스팸 필터는 주로 영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규칙 기반 필터링보다는 통계적 학습을 통한 필터링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즈 정리를 기반으로 하는 3가지 분류 알고리즘을 한글 전자메일을 대상으로 하여 스팸 메일 특히 음란성 메일을 분류하는데 있어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단어의 스팸일 확률만을 이용하는 방법이 나이브 베이즈 알고리즘이나 m-estimate를 이용하는 방법보다는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단어의 스팸일 확률만을 이용하는 방법은 false positive rate를 0%로 유지하면서도 다른 방법들보다는 필터링을 잘 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질 선정에서는 명사나 명사/형용사를 사용할 경우에 그 에러율이 가장 적었다.

  • PDF

Two-phase Spam-mail Filtering System Applying Hyper]links (하이퍼링크를 활용한 2단계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

  • 강신재;이새봄;김종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4.06a
    • /
    • pp.20-25
    • /
    • 2004
  • 본 논문은 하이퍼링크를 활용한 2 단계 스팸 메일 필터링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스팸 메일의 본문에는 텍스트 문장보다는 그림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어의 블랙리스트와 같은 전형적인 방법으로 스팸 메일을 구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팸 메일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퍼링크를 추출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가져온 후, 이를 확장된 형태의 메일 본문이라 간주하여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스팸 메일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두 가지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는데, 메일 송신자의 정보와 확실한 스팸 키워드 리스트를 확실한 정보군으로 구분하여 먼저 적용하고, 이보다 덜 명확한 정보들은 토로 구분하여 속성벡터를 만들어 SV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하이퍼링크를 통하여 웹페이지를 가져온 방법이 그냥 원본 메일만 사용한 방법보다 F-measure 값이 평균 2.8%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of Neural Network and Genetic Algorithm based Spam Filtering Technique (신경망과 운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팸 메일 필터링 기법에 구현과 성능평가)

  • Kim Bum-Bae;Choi Hyoung-Kee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2 s.105
    • /
    • pp.259-266
    • /
    • 2006
  • As the volume of spam has increased to extreme levels, many anti-spam filter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Among these techniques, the machine-Loaming filtering techniqu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ilter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chine-learning spam filtering technique based on the neural network, the genetic algorithm and the $X^2$-statistic. This proposed filtering technique is designed to overcome the problems in existing filtering techniques, and to achieve high spam filtering accuracy. It is able to classify spam and legitimate emil with 95.25 percent and 95.31 percent accuracy. This accuracy of the sum filtering is 7.75 percent and the 12.44 percent higher than rule-based filtering and the Bayesian filtering technique, respectively.

Spam-Mail Filtering System by Using Naive Bayesian Classifier and Mail Address Validation Check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와 메일 주소 유효성 검사를 이용한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

  • Lim Jung-Taek;Kim Hyung-Joon;Kang Se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23-52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가중치가 부여된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와 스팸 메일의 특성을 이용한 주소 유효성 검사를 결합하여 필터링하는 방식의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주소 유효성 검사를 통해 스팸 메일을 효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으며,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자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분류를 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인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비중을 부여함으로써 메일의 특성을 고려한 필터링 환경을 구현하였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요인들이 실제로 필터링 성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최적의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였다.

  • PDF

Spam-Filtering by Identifying Automatically Generated Email Accounts (자동 생성 메일계정 인식을 통한 스팸 필터링)

  • Lee Sangho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5
    • /
    • pp.378-384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ovel method of spam-filter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spam-filtering systems. Conventional systems filter emails by investigating words distribution in email headers or bodies. Nowadays, spammers begin making email accounts in web-based email service sites and sending emails as if they are not spams. Investigating the email accounts of those spams, we notice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automatically generated accounts and ordinaries. Based on that difference, incoming emails are classified into spam/non-spam classes. To classify emails from only account strings, we used decision trees, which have been generally used for conventional pattern classification problems. We collected about 2.15 million account strings from email service sites, and our account checker resulted in the accuracy of $96.3\%$. The previous filter system with the checker yielded the improved filtering performanc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pam I-Mail filtering System (컨텐츠 필터를 이용한 스팸메일 차단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진만;장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465-468
    • /
    • 2003
  • E-mail, one of the oldest services in internet become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way to communicate with development of internet. Due to E-mail has a property which is not complete for security, sometimes it is used for purpose of commercial or bad things, therefore it becomes the latest problem to keep off a Spam-mail and commercial advertising E-mail, many ways to keep off were perposed for it. In this paper, I explained how to sort and keep off these Spam-mail and commercial advertising E-mail with three way, prevention by server level, prevention by construction of network level, prevention by client level. we designed a prevention system for Spam-mail and implemented it by Visual Basic.

  • PDF

A Development of the SMBC platform for supporting advanced performance of blocking spam-mails (향상된 차단 성능 지원을 위한 SMBC 플랫폼 개발)

  • Sso, Sang-Jin;Jin, Hyun-Joon;Park, Noh-Ky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8 no.2
    • /
    • pp.89-94
    • /
    • 2007
  • Even though lots of research have been doing about spam mail blocking technologies and their systems, the emergence of spam mails of new types causes the spam mail filtering rate to decrease and the occurrences of false-positive mails to increase. Therefore, existing spam mail filtering algorithms suffer from increasing load to be processed and decreasing reliability in spam mail blocking systems due to the shortage of newly developed algorithms and their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Fit-FA Finder which is able to select appropriate algorithms to be applied and their procedur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MBC platform. The Fit-FA Finder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SMBC platform in which recovering process based on privacy information is employed for false-positive ma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