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인 게이기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9초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측정 및 응용 (Stress Measurements Using Strain Gages)

  • 강대임
    • 기계저널
    • /
    • 제33권7호
    • /
    • pp.661-670
    • /
    • 1993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측정 방법 및 응력 측정시의 오차 발생의 원인에 대해서 설명하 였고 현재 많이 사용되고있는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의 원리 및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변형도를 측정할 경우 1% 이내의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나 측정된 변형도로부터 응력을 계산할 경우 재료상수들의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5%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측정값은 부착위치에서의 값이므로 구조물의 최대 응력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구조물의 응력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큰 오차가 발 생할 수 잇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게이지 작업 기술과 함께 하중에 대한 대상물의 거동을 파악하는 기술 습득이 요구된다.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을 직접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량, 정밀도, 설치 공간, 사용조건 등을 고려하여 감지부의 형상, 감지부의 재질, 스트레인 게이지의 종류, 부착 방법, 보상회로 구성방법, 보호 케이스의 부착 여부 등을 결정하여야 하고 제작이 완료된 후 힘 표준기 등으로 교정검사를 실시하여 사용하여야만 정확한 측정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작업기의 치즐 및 디스크해로우암의 구조해석 및 스트레인 게이지 위치 선정 (Structural analysis and selection of strain gauge point of chisel and disk harrow arm for unpowered disk harrow working implement)

  • 신인경;박영준;강가애;한정우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6-16
    • /
    • 2017
  • 국내 농업인구 감소 대비 식품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가의 인력을 대체하고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한 국내 기계화 기술이 필요하다. 무동력 디스크해로우 작업기는 경운과 배토가 가능한 복합작업기로서 작업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들은 필드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구조적 강도와 신뢰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로 필드 작업 시 작업기에 걸리는 하중은 복합하중 형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단순한 형태 하중에 비해 하중계측에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하중계측점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중계측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복합기의 주요 구성품인 치즐(chisel) 및 디스크해로우암(disk harrow arm)에 대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3축 방향의 단위하중 응력 계산결과로부터 load reconstruction을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 위치를 선정하였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의 신호가 하중해석에 적절한 값이 되도록 기존의 형상을 수정하였다.

  • PDF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접촉식 용접선 추적 센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ct Seam Tracking Sensor by Using Strain Gauges)

  • 안병원;배철오;김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019-1025
    • /
    • 2003
  • 조선과 자동차 등의 금속 가공분야의 용접산업부분에서는 용접을 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용접선 추적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다. 용접선을 검출하는 센서에는 용접모재와 센서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 센서로 크게 대별할 수 있고, 현 산업전반에서는 대부분 접촉식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도 접촉식센서의 일종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응용하여 센서를 제작하여 용접부위를 얼마나 잘 추적하는지 실험하였다. 실험장치는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신호의 증폭회로, 삼각파 발생기, MOSFET 파워 드라이버 회로와 DC 모터로 구동되는 X-Y 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접선의 추적범위는 상하좌우로 동작을 하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변화가 X-Y 슬라이더에 연결된 DC 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실험결과 용접부위를 센서가 잘 추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 산업현장에 있어서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트레인 게이지 계측용 차동 증폭기와 A/D 변환기를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의 내력 측정 장치 설계 (Design of Load and Strain Measuring Equipment Using Strain Gage, Instrumental Differential Amplifier and A/D Converter in a Truss System)

  • 백태현;이병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4
    • /
    • 2008
  • 트러스는 교량이나 건축물 설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기본적인 설계요소이며, 설계자는 이러한 구조물의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여 설계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트러스 구조물의 힘을 기본역학에서 예측되는 오차범위 이내로 실험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구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상용으로 제작된 재래식 변형률 측정 장치는 고가이고 복잡하므로 구조를 이해하기가 어려우므로 본 측정기구에서는 휘트스톤브리지 회로를 적용, 스트레인 게이지 및 A/D 변환기 조립하여 하중과 변형률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된 기구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하중을 가하여 변형률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이론적으로 예측한 값과 비교하여 실용성을 입증하였다. 이 측정 기구는 저렴한 값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아 탁상에서 교육용 실험 및 실습 장비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30 MN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 힘 센서의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30 MN Strain Gage Type Force Sensor)

  • 강대임;송후근;이정태
    • 센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4-32
    • /
    • 1994
  • 힘 증강기법을 이용하여 10 MN 로드셀 3개로 30 MN 힘 센서를 설계 제작하였다. 로드셀은 스트레인 게이지방식으로서 기둥형 감지부로 설계되었으며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온도보상회로등이 내장되어 있다. 특성실험 결과 제작된 힘 센서의 총오차는 0.1 %이내로 추정되어 4.5 MN 이상의 대용량 재료시험기의 교정 및 시험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선박에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디젤엔진의 축 동력 측정과 평가 (Measurement and Assessment on the Shaft Power Measurement of Diesel Engine using Strain Gauge in Marine Vessel)

  • 이돈출;송명호;김상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1152-1161
    • /
    • 2009
  • 신조선 선박에서 시운전 중 주 추진 시스템의 동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축의 변형률로부터 얻어지는 직접적인 방법과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픽업을 이용하여 계측한 실린더연소압력으로부터 환산된 면적에 의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은 장주기로 선박의 여러 가지 해상 운동에 의해서 그리고 단주기로는 축계의 비틀림, 축계 배치 및 횡진동의 영향에 의해서 변동한다. 본 논문에서는 축동력측정과 평가를 위하여 통계적인 해석법을 소개하고 있고, 저속2행정디젤엔진과 감속기를 포함 중속 4행정 디젤엔진 모델에 의해서 이들이 확인되고 있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회전체의 축정렬 연구 (A Study on Shaft Alignment of the Rotating Machinery by Using Strain Gages)

  • 김경석;장완식;나상수;정현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6-132
    • /
    • 2002
  • Misaligned shafts of the rotating machinery have caused noise, vibration. bearing failures, and stress concentration of coupling parts which decrease the efficiency and life of shaft systems. Therefore the proper shaft alignment of those system should be monitored continuously in dynamic condition. To solve these problems under dynamic condition a telemetry system is used.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the least bending moment which is known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stress induced by misalignment is found. After the shaft is aligned by dial gage, a telemetry system with strain gages is installed on shaft. The relationship between bearing displacement and moment of coupling part influenced by misalignment is investigated. The moment derived from two shaft strain at the nearby coupling is measured. The bending strain is measured 5 times for average in static state as well as in dynamic state with 100∼700 rpm.

쇄빙연구선 ARAON호의 빙하중 추정을 위한 6자유도 운동계측 및 스트레인 게이지 데이터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the 6-DOF Motion Sensor and Stain Gauge Data for Ice Load Estimation on IBRV ARAON)

  • 민정기;천은지;김진명;이상철;최경식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529-535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measured data from 6-DOF motion sensor and strain gauge installed in the IBRV ARAON during 2015 summer voyage in the Arctic. Procedures to calculate the global ice load from MotionPak II inertial measurement system and the local load from stain gauge system are discussed. The ship's speed and peak load are determined in the concept of an ice collision "event". It is found that the peak values in the global ice calculated form whole ship motion analysis fall in the range of 1.5~3 times of the local ice load based in strain gauge measurement.

最近의 새로운 變換器에 대하여 (For the New Type Transducers)

  • 한응교
    • 기계저널
    • /
    • 제18권4호
    • /
    • pp.20-25
    • /
    • 1978
  • 이 제2차대전시부터 시작되여 금일에 이르기까지 발전과 개발을 거듭하여 응력측정및 공업 계측, 제어분문의 일대혁신을 일으켜 응력해석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응용면에서는 변환기부문의 비중이 더욱 크게 되고 있다. 변환기의 전망은 고정도에 소형화로 내구도가 강하면서도 특수환경하에서 도 안정성을 유지해야 되는 트랜스주셔개발이 활발하게 진전되고 있는 싯점에 있다. 스트레인 게 이지 자체도 고분자재료의 개발로서 많은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고온용, 저온용게이지에 대 대해서는 연구과제로 봐야 되겠다. 끝으로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고등화와 국제경쟁력강화를 위해 서도 새로운 트린스쥬서의 활용은 물론, 국산화 및 개발연구도 아울러 서둘러야 될 것으로 안다.

  • PDF

지능형 박막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 변환기 (Smart Pressure Transducer with Cu-Ni Thin Film Strain Gages)

  • 박찬원;이성재;민남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1564-1567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a smart thin film pressure transducer which is highly suitable for a precise and remote measurement of pressure and has the following smart functions: automatic zero tracking, automatic span adjustment, temperature compensation, continuous self-diagnostics for faults(open strain gages, abnormal data, incorrect A/D conversion, and overpressure), data memory and multi-drop communication with P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