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대처 방식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9초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변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Variables Related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Firefighters)

  • 강민주;김영화;한승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164-1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PTSD 관련변인들을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을 검색하였고 검색 용어는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소방공무원이었다. 총 146편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그 중 10편의 문헌이 본 연구의 주제와 부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된 10편의 문헌은 모두 상관관계를 연구한 비 실험 연구였다. 정적상관 요인은 연령, 근무기간, 외상사건 경험, 출동횟수,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의 수와 강도, 업무 부담감, 대처방식, D유형 성격, 정서조절 곤란, 우울, 분노반추, 부적상관 요인은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PTSD의 보호 변인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전문적인 중재 프로그램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대처방식,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ess, Stress Coping Style and Health Symptom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조남진;박인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93-20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ors and stress coping styles of 6th grade el 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ymptoms and the effects of coping style which is theoretically conside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symptom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29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eong-Ju city. Of the 329 subjects, 171 were boys and 158 were girls. For this study,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adopted as follows ; 1) Feel Bad Scale (FBS) by Lewis et al., 2) lazarus-Folkman's Way of coping questionnaire 3) Hee Sun Shin's Health Symptom questionnaire (HSQ) The researcher visited the school and collected data in the class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fter an explanation of the purpose and procedures was given to the children. Data collection was done for 10 days (from 5th to 15th of July 1997) .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A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the FBS was 211.37(range : 77-427), The most severe stressors perceived by children were parental divorce and other's smash or steal of my thing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tressful life events were conflict with siblings and being scolded for other's fault. 2. The most frequently used stress coping style was the active coping (M=17.85), followed by passive (M=13.64) and magical one (M=13.42). 3. The mean score for the HSQ was 23.30(range : 0-72) The most frequently complained health symptoms were headache and having much worry about everything. 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health symptoms (r=.60, p<.001). Also, stressful life event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ve coping(r=.27, p<.001) and magical coping (r=.38, p<.001). Health symptom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ssive coping(r=.33, p<.001) and magical coping (r=.41, p<.001). 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the variable of stressful life events. Health concerns, magical coping style, passive coping style and active coping style accounted for 49.15% of the variance in health symptoms. This study revealed that stressful life events correlated with health symptom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passive coping and magical coping had mediating effects on this relationship. The implication for nursing i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supportive interventions for high risk population to decrease health problems due to stress.

  • PDF

공황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신체 증상 지각에 대한 인지적 특성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c Symptom Perception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정해원;이무석;박우영;양종철;임은성;박태원;정영철;정상근;황익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6-122
    • /
    • 200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stress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c symptom perception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Methods : A total of 101 patients who met the DSM-IV criteria for panic disorder and 60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ubjects using The Way of Stress Coping Questionnaire (SCQ),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SIQ), and the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We analyzed the data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0.05). Results : The patients who used emotionally focused coping strategies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the SCQ.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howed greater amplification of body sensations in the SSAS,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physical interpretation subset of the SIQ, and a lower score on th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subset of the SIQ than the normal controls. The PDSS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AS score and physical interpretation score on the SIQ.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have poor emotionally focused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greater amplification of body sensations, and a tendency towards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somatic symptoms.

  • PDF

보건계열 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ing 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of the allied health students)

  • 류혜겸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81-990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학생들의 구직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취업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소재 M대학교 보건계열 3학년 학생으로 치위생과 90명, 안경광학과 50명, 물리치료과 80명, 작업치료과 60명 총 26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 방식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계열 학생에서 남자인 경우, 경제수준이상 인 경우, 전공만족도가 불만족인 경우 구직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는 물리치료과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고용정보관리기술이 높은 경우, 남자의 경우, 경력유동화능력이 낮은 경우의 순으로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건계열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신입생부터 효과적인 면접기술능력과 본인의 개인적 성향과 특성을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구직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혁신적인 교육과정개발과 현장실습 규정을 보완하여 현장실습 시 관찰시간 보다는 실습 양을 증가시켜 확고한 구직동기에 의한 취업부담감을 해결하고, 학교에서는 취업에서 비교우위에 있을 수 있는 자기개발의 기회제공 및 경제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전민경;김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0-4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서조절능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K시와 B시에 소재한 4개의 간호대학에서 3,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1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정조절 능력 평균은 5점 만점에 $3.79{\pm}0.48$점, 적극적 대처는 4점 만점에 $2.79{\pm}0.41$점, 소극적 대처는 $2.53{\pm}0.36$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58{\pm}0.46$점 이었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정서조절능력(r=.391, p<.001), 적극적 대처(r=.361, p<.001) 및 소극적 대처(r=.276,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beta}=-.318$, p<.001)와 정서조절 능력(${\beta}=.230$, p<.001)으로, 이들 모형의 설명력은 28.1%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통증과 스트레스 (Pain and Stress)

  • 신우용;유범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1호
    • /
    • pp.29-34
    • /
    • 2007
  • 통증은 주관적인 증상이며 이전의 경험에 의해 많이 영향을 받지만, 환자가 없는 증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것이다. 객관적인 병리가 뒷받침되는 통증은 쉽게 설명되고 치료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통증은 많은 혼란과 좌절을 초래한다. 통증의 종류는 1) 해부학적인 특징과 객관적인 소견이 있는 경우 2) 해부학적인 특징이 있고 객관적인 소견이 없는 경우 3) 해부학적인 특징이 없고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과 연관된 경우 4) 해부학적인 특징이 없고 신체적인 손상과 연관이 있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만성 통증의 경우 감정적, 신체적 또는 성적인 학대를 당한 병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심리적으로 신체화 증상은 고통스런 기억을 억압하고 관심을 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또한 학대의 병력이 생리학적인 변화를 유발하거나 발달과정 중에서 통증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유기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스트레스와 연관된 통증의 치료에는 운동, 명상, 인지치료, 약물치료, 바이오피드백 치료 등의 다각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인지치료는 통증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대처방식을 바꿈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치료에 효과적이다. 약물치료로는 주로 항우울제 계열의 약물이 효과적인데, 항우울제는 기분증상의 호전과 무관하게 통증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긴장이완 훈련과 병행하는 바이오피드백 치료 역시 통증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그밖에 적절한 운동과 명상요법 같은 방법 역시 통증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Experienc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Focused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Incheon)

  • 박길순;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95-605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에 관한 적응과정과 스트레스 경험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에 대처하는 삶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참여자는 인천시 ◯◯구에 소재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생활 5년 이상된 여성 결혼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Braun & Clarke의 주제 분석기법 6단계를 활용하여 중점주제 3개, 하위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생활에서 경험한 문화차이(일상생활문화, 전통성, 가족관계)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한 문화적응과정(어려움과 두려움-문화차이 이해-극복노력)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을 통한 문화적응이란 모국과 한국문화에서의 생활방식 차이를 알고 한국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려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 실천함으로써 한국의 생활방식이 자연스럽고 익숙해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문화적응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Stress due to End-of-Life Care,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권은희;주현옥;정은옥;한춘희;임진주;이유리;정민승;박소연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75-48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ress levels due to end-of-life care,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on their well-being. Methods: A total of 128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general hospitals in B city participat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coping strategy that nurses most often used was seeking social support. The factors affecting the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were wishful think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in order. Those 3 variables explained 21 % of the total vari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wishful thinking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es with a program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o improve their problem-based coping skills.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Type and Self-esteem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필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type and self-esteem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descriptive study. Methods: A set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as completed by 197 nursing college student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prime}s$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 by SPSS ver. 22. Results: The mean age was 20.9 years. The mean scores were 2.4, 3.6, and 1.7 out of 5 Likert scales for items of life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The mean score for stress coping type was 2.36 out of 4 Likert scal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life stress related to tasks, life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motion-focused coping of stress coping type (r=.537, p<.01);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emotional-focused coping of stress coping typ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life stress related to tasks and suicidal ideation. Also,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life stress related to tasks and suicidal ideation as well as between life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program to stress coping skill and self-esteem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우울의 차이와 우울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Teacher Efficacy,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Their Influences on Depression)

  • 이경숙;채진영;김명식;박진아;이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40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job stress, teacher efficacy,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backgrounds, 2)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se variables on depression. 586 teachers in ECEC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e,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One-Way ANOVA, Bonferroni post hoc test,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PSS 21.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EC teachers' ages and types of centers they were employed at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s and education levels,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were respective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s, types of centers and education levels. Second, ECEC teachers' depression was influenced by undercontrolled expressionof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home connection and promotion of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of teacher efficacy, undercontrolled thinkingof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work overload and job stress in order. These results imply that a support system and a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for ECEC teachers to express and understand their emotions in a positive way and relate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m through workshops.